
[행사 전시] 다음 역은 사이 숲
재미있고 의미있는 작업을 하는 로테이트 나영 님의 업사이클링 전시가 열린다. 나영님은 알맹상점에서 모은 일회용 젓가락으로 비누 받침대를 만들고, 과자 봉지로 모빌을 만드는 능력자. 이번에 인스타그램에
재미있고 의미있는 작업을 하는 로테이트 나영 님의 업사이클링 전시가 열린다. 나영님은 알맹상점에서 모은 일회용 젓가락으로 비누 받침대를 만들고, 과자 봉지로 모빌을 만드는 능력자. 이번에 인스타그램에
요즈음의 최대 화두, 재활용 분리배출. 이렇게 분리배출하면 도대체 재활용 되는 거니? 하고 사람들이 드디어 묻기 시작했다. 분리배출만 하면 재활용 된다고 믿던 순진했던 시절을 지나 어떻게
실제로도 화장품 용기의 90%가 재활용 안 되는 거 맞다. 환경부 보고서에서도 90%라고 했고, 조선일보에서 국내 화장품 중 2019년 기준 시장점유율이 높은 화장품을 뽑아서 직접 조사한
그린피스는 “2021년 1월 우리 집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얼마나 될까? 시민들의 직접 조사로 만든 플라스틱 리서치 보고서”를 발표헀습니다. 국내 기업의 일회용 플라스틱의 배출 실태를 파악하기
기후위기 문제는 신재생 에너지, 건물 에너지 효율화 등에 집중되지만 플라스틱에서도 온실가스가 새어나옵니다. 플라스틱이 바로 화석연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이죠. 플라스틱의 원료인 화석연료를 캐내 플라스틱으로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우리가
2021년부터 탈 플라스틱를 위한 정책이 시행됩니다. 2020년 12월 24일 정부는 제120차 국정현안조정점검 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포함한 ‘생활폐기물 탈(脫)플라스틱 대책’을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환경부는 이번 탈플라스틱 대책을
서울환경연합이 운영하는 위클리어스 뉴스레터에서 가져온 소식입니다. 바젤협약 2021년 개정안을 한 큐에 잘 정리해놓았습니다. 그럼 아래서 개정된 바젤협약 뉴스를 알아보세요. 미국은 바젤협약 가입국이 아니란 사실(그래서 비준한
https://www.instagram.com/eviegraceillustration/ @eviegraceillustration 의 백문이 불여일견 마스크 일러스트 일러스트 작가의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eviegraceillustration/에 들어가보시면 더 많은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관련한 일러스트뿐 아니라 여성의 몸, 신체
로이터: 플라스틱 팬데믹 스페셜 리포트 코로나 사태가 쓰레기 통에 버린 재활용의 꿈 야생동물 서식지 파괴라는 환경오염으로 인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류에게 퍼진 것인데, 그에 대응하기 위해
#플라스틱#쓰레기대란#분리수거 우리가 쓰는 플라스틱이 기후위기🌏🔥를 악화시킨다고? | 피카츄희의 에너지 대모험 환경운동연합에서 만든 동영상입니다. 기후위기와 플라스틱 이야기를 쉽게 잘 풀었습니다. 석유화학제품(플라스틱) 생산과 소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플라스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