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책]서울 강북구 담배꽁초 수거보상제 실시
서울시 강북구가 미세플라스틱이 되는 담배꽁초를 주워오는 사람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한다! 서울 강북구가 ‘담배꽁초 수거보상제’를 다음 달부터 본격 운영한다. ‘담배꽁초 수거보상제’는 주민이 길거리에 버려진 꽁초를 가져오면 그
서울시 강북구가 미세플라스틱이 되는 담배꽁초를 주워오는 사람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한다! 서울 강북구가 ‘담배꽁초 수거보상제’를 다음 달부터 본격 운영한다. ‘담배꽁초 수거보상제’는 주민이 길거리에 버려진 꽁초를 가져오면 그
‘쓰레기 대란’이 터진 후 ‘쓰레기 산’이니 재활용품 수거 거부 대응이니, 급한 불을 수습한 환경부는 2019년 말 일회용품 함께 줄이기 거국적 로드맵을 발표한다. 인도 케냐가 하고
환경부에 따르면 환경부는 최근 공공기관 1회용품 사용 줄이기 실천지침 제정안을 행정예고했다. 앞서 환경부는 2018년부터 중앙부처, 지자체, 공기업, 학교 등 공공기관이 준수해야 하는 ‘공공부문 1회용품 사용
빠띠 캠페인 서명 2월~3월 집중 1만명 서명 운동! 환경부 및 화장품 회사에 전달 https://campaigns.kr/campaigns/290 화장품 어택을 위한 용기 회수와 기자회견: 1차 화장품 어택 빈
실제로도 화장품 용기의 90%가 재활용 안 되는 거 맞다. 환경부 보고서에서도 90%라고 했고, 조선일보에서 국내 화장품 중 2019년 기준 시장점유율이 높은 화장품을 뽑아서 직접 조사한
[성명]법 개정 2년 만의 선언, 또다시 2030년까지 기다리라는 것인가! 화장품 업계의 실효성 없는 선언을 규탄한다. 오늘 (2021년 1월 27일) 대한화장품협회는 <2030 화장품 플라스틱 이니셔티브 선언>을
‘내돈내산’인데 수리는 회사 마음대로? [애프터서비스] 몇 년 지나면 그냥 ‘무거운 쓰레기’가 되는 전자제품들 2021년에는 고쳐 쓸 길 열릴까 한겨레21 1344호에 2021년을 여는 새해 표지 기사로
2021년부터 탈 플라스틱를 위한 정책이 시행됩니다. 2020년 12월 24일 정부는 제120차 국정현안조정점검 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포함한 ‘생활폐기물 탈(脫)플라스틱 대책’을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환경부는 이번 탈플라스틱 대책을
한 편의점이 비닐봉투 대신 생분해 봉투로 교체한다는 소식이 들려오면서 ‘친환경’으로 환영받았는데요. 2020년 12월에 발간된 그린피스 동아시아 지부 보고서에 따르면 생분해 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위기를 타계할 해결책이
제로웨이스트 유럽(Zero Waste Europe 리루프(Reloop)는 위트레흐트 대학과 협력하여 유리병, 나무박스(crates), 도자기 등의 재사용 가능한 포장이 일회용 포장보다 탄소 배출량이 훨씬 적다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2020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