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의생활

[한겨레신문] 버린 옷에 추적기를 달았다

[한겨레신문] 버린 옷에 추적기를 달았다 다 아는 내용이라도 형식이 달라지면, 데이터와 팩트가 근거하면 이렇게 충격적인 사실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새 옷이 사고 싶을 때마다, 헌

[슬슬라잎] 화장품 리필스테이션 확대를 위해 필요한 것은

슬슬라잎의 화장품 리필스테이션 확대를 위해 제도적, 사회적 개선사항을 잘 짚은 글. 화장품 리필 스테이션, 대체 뭔일?  리필스테이션의 과거 한때,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4년전쯤, 야심차게 출발했던 화장품 리필스테이션들- 제로웨이스트 활동의 일환으로

내 모든 것의 탄소발자국 : 화장품 용기 편

화장품 용기의 탄소발자국, 얼마나 될까요? 화장품 리필하면 과연 환경적으로 효과가 있을지, 있다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궁금했답니다. 그래서 알맹상점에서 다 쓴 화장품 용기를 수거하고 기후변화행동연구소에서 수거된

[유해성] 일회용 탐폰에서 중금속 검출되다

2024년 7월 일회용 탐폰에서 납, 비소 등의 유해한 중금속이 검출되었다는 해외 뉴스가 나왔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연구팀은 미국, 영국, 그리스의 온라이 샵과 매장에서 14개 브랜드에

[옷캔 참여] 안 쓰는 헌 수건 기부하세요:)

안 쓰는 쟁여둔 수건을 값지게 쓸모 있게 쓰는 법 = 옷캔에 기부하면 동물보호소에서 사용됩니다. 더 중헌 것은 한번 사용하기 시작한 수건은 끝까지 오랫동안 사용하고, 행사나

[대안] 고장난 우산을 수리하는 리페어우산 ‘호우호우’

고장난 우산을 매만져 수리하는 손길의 환경적, 사회적 의미를 경향신문 칼럼으로 풀어썼는데요. https://www.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405302033005 국내에서만 해마다 약 4000만대의 우산이 버려진다. 이때 이산화탄소와 유해가스가 약 280만t 발생한다. 우산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