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플라스틱과 온실가스 기후위기 문제는 신재생 에너지, 건물 에너지 효율화 등에 집중되지만 플라스틱에서도 온실가스가 새어나옵니다. 플라스틱이 바로 화석연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이죠. 플라스틱의 원료인 화석연료를 캐내 플라스틱으로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우리가 2021-01-14
[해외자료] 쓰레기 소각과 매립, 그리고 기후변화 제로웨이스트 유럽 zero waste Europe의 기후변화 자료를 공유합니다. 쓰레기 처리는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온실가스를 얼마나 발생시킬까요? 요약 쓰레기 1톤이 연소 될 때마다 약 1.1 톤의 이산화탄소가 2020-08-13
[해외 보고서] 순환경제, 기후변화 대응에 나서다 순환경제와 기후변화순환경제, 기후변화 대응에 나서다 엘렌 맥아더 재단 2019. 9.26 보고서 요약 파리협정 목표는 2050년까지 기온을 1.5˚C 상승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이 목표를 달성하기 2020-08-13
[뉴스] 자동차 – 미세플라스틱 – 기후위기 삼각관계 자동차 합성고무 바퀴에서 떨어져 나온 미세 플라스틱이 전체 미세 플라스틱의 약 30%를 차지합니다. 그리고 이 가벼운 미세 플라스틱이 바람을 타고 날라가 북극 빙하에 이르고 표면에 2020-07-15
[행동 변화] 나중은 없다, 지금 당장 창작과 비평사에서 발간하는 ‘문학3’의 2020년 봄호 주제는 ‘주목’입니다. 환경위기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피프리미의 금자가 일개 개인의 생활 속 실천이 무슨 의미인가를 주제로 글을 기고하였습니다. ‘문학3’의 2020-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