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모든 것의 탄소발자국 : 화장품 용기 편

화장품 용기의 탄소발자국, 얼마나 될까요? 화장품 리필하면 과연 환경적으로 효과가 있을지, 있다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궁금했답니다. 그래서 알맹상점에서 다 쓴 화장품 용기를 수거하고 기후변화행동연구소에서 수거된 용기들의 탄소발자국을 계산해보았습니다. ​ 화장품 용기 탄소발자국 설명하시는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이윤희 박사님 ​ 왜 화장품 용기일까? 왜 너만 이렇게 재활용이 어려운데? 한국소비자원의 화장품 용기의 재활용 등급 및 표시 실태를 조사한 결과, […]

[선정수의 팩트체크] 냉장고 플라스틱 밀폐용기 혈액 속 미세플라스틱 높여?

팩트 체크에서 확인된 사실 정리! (이동욱 인하대병원 연구팀 자료) 국내 건강한 36명 대상, 참여자의 88.9%인 32명의 혈액에서 미세플라스틱 검출 가장 많이 발견된 미세플라스틱 종류는 폴리스티렌(PS)와 폴리프로필렌(PP) 생활양식(즉석식품 섭취, 환기 정도, 해산물 섭취 등등) 별 미세플라스틱 연관성 중 냉장고 보관용기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경우 유의미하게 혈액 내 미세플라스틱 검출 농도가 높음, 생수의 경우 얼려서 마실 때 가열하는 […]

[물건이야기] 미국에서 텍사주에서만 재사용 유리병 콜라가 성행(?)하는 이유

물건 이야기 동영상은 늘 믿고 보는데요! 국제 플라스틱 협약 5번째 회의가 무산된 후 코카콜라가 재사용 목표를 슬그머니 홈페이지에서 지운 후 바로 이런 동영상을 내놓았습니다. 리스펙이다, 증말! 유리병 재사용 코카콜라는 인프라가 깔린 곳에서는 쓰고 버리는 게 국률인 미국에서도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현실에서 찾아낸 강력한 증거입니다. 배우 Yereli Arizmendi 님이 나레이션으로 참여하셨늗네요. 이미 태반을 통해 미세 플라스틱이 대물림되는 […]

[동아사이언스] 폐수 속 미세플라스틱에 병원균 숨는다

플라스틱 제품을 쓰면 미세 플라스틱이 발생하는데, 미세 플라스틱에는 병원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이 병원균은 폐수 처리시설을 거쳐도 여전히 건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세 플라스틱을 우려하게 하는 소식은 끊임없이 업데이트 되는 중이다. 물 속 미세 플라스틱에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균 군집이 형성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폐수 처리 과정을 거쳐도 미세플라스틱 속 병원균이 살아남아 공중보건과 환경을 위협할 […]

[동영상] 넷플렉스의 음모 시리즈! ‘쇼핑스피라시’ 개봉

넷플렉스에서 2024년 10월 말 새 다큐 오픈! 카우스피라시, 씨스피라시에 이어 이번 다큐는 ‘쇼핑스파라시’ 두둥! 이 또한 넷플렉스 프로모션 본다는 사실이 끊임없이 소비하고 광고하는 사회를 다시 한번 깨닫게 하지만… 쓰레기가 쌓여가는 지구, 그럼에도 끊임없이 사제끼고 버리는 사람과 사회가 폭로되는 컨스피라시 다큐… 에미상 수상 작가이자 영화 감독인 닉 스테이시가 연출한 Buy Now! The Shopping Conspiracy는 세계 최고 […]

[행사] 플라스틱 프리 할로윈!

이태원 참사가 터진 후 한국인에게 할로윈은 슬픈 날이 되어버렸지만… 할로윈을 즐길 어린이들이 있다면 PPC가 제안하는 플라스틱 프리 할로윈을 즐기는 방법을 참고하시라! 꽤 구체적이다! 한국적 상황이 아니라 구할 수 없는 것도 있지만 꼭 그 제품이어야 할 필요는 없으니, 우리도 국내 대체품으로 한국판 목록을 만들어도 좋을 듯 싶다. DIY 의상 만들기 (레이첼 & 아멜리아) 무섭든, 귀엽든, 상징적이든, […]

[국제협약] 플라스틱 문제를 끝내기 위해, 부산으로 가는 길

국제 플라스틱 협약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의(INC-5, 부산 벡스코 11.25~12.01)를 맞아 1123 부산 플라스틱 행진이 열립니다!  시민들은 각 정부 대표단에게 강력하고 실효성 있는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법적 구속력 있는 협약(국제 플라스틱 협약)’ 체결과 이행을 촉구하기 위한 평화적으로 행진하며 우리의 목소리를 알립니다.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강력한 국제 플라스틱 협약이 필요합니다! 가짜 재활용 해답이 아니라 플라스틱 생산 감축과 재사용 사회를 […]

[매일일보] 풀무원, 아임리얼 전제품에 100%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

https://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1167946 풀무원에서 아임리얼 전제품을 100%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한 용기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포장재에 사용되는 재활용 플라스틱의 비율을 높이고, 이를 표시하는 것은 식품 업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인데요, 대부분 일정 비율 이상은 사용하지 않으려 하던데 풀무원의 100% 재활용 플라스틱 용기 도입은 꽤나 놀랍네요! 재활용 플라스틱의 사용은 특히 병입수(생수) 업계에서 꺼린다고 합니다. ‘깨끗함’을 강조하며 ‘투명’한 플라스틱에 물이 담겨 […]

[뉴시스] 행주대교 미세플라스틱, 강변북로 2.3배…”물청소 않고 청소 빈도도 적어”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1012_0002917458 도로 위에도 미세 플라스틱이 가득하다는 사실, 알고 계실 거예요. 타이어가 마모되며 떨어져 나오는 미세 플라스틱이 주된 원인인데 도로의 청소 빈도가 적을 수록 쌓여있는 미세 플라스틱이 많고, 공기 중으로 더욱 퍼질 수 있다고 해요. 행주대교는 중장비 차량들의 통행이 잦지만, 청소 빈도가 낮아 강변북로보다 2.3배의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도로 위를 물청소한다고 해도 미세 플라스틱은 […]

[사이언스타임즈] 전 세계 인구 절반 이상, 안전한 식수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

https://www.sciencetimes.co.kr/news/전-세계-인구-절반-이상-안전한-식수에-접근하지-못하 안전한 식수에 대한 접근성 확보는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 하나인데요, 세계의 절반 이상이 안전한 식수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44억 명 이상의 인구가 이에 해당됩니다. 생명의 근원인 물.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위해 인간에게 안전한 식수는 필수적이지만 기후 변화로 인해 물 부족 현상이 심화되어 가뭄·폭우 등의 이상기후로 물의 공급이 안정적이지 않다는 것이 주요 문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