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1㎏당 0.8유로 ‘플라스틱세’… 친환경·재정 잡은 EU [심층기획-脫플라스틱 시대]

https://www.segye.com/newsView/20240102514280 파격적이고 진보적인 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는 유럽 연합! 2021년에 재활용 불가한 플라스틱 폐기물에 부과하는 ‘플라스틱세’로 환경과 국고 모두 든든히 지키고 있다고 하네요. 우리나라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 ‘규제 타파’, ‘킬러 규제 혁파’ 하겠다며 정부 차원에서 열심히 환경 관련 규제를 완화, 유예, 축소하고 있는데 말이죠. 2021년 1월 1일 ‘플라스틱세’ 도입, 유럽의회는 플라스틱세를 통해 재활용되지 않는 플라스틱 […]
[한국일보] 매년 2억개 버려지는 핫팩…’하루살이’에 멀고 먼 재활용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3123122510002313 추운 겨울, 어떤 방한 용품을 사용하고 계시나요? 저는 주로 후드를 뒤집어 쓰고 머리와 귀를 한 번에 보호하곤 하는데요, 목도리와 장갑도 애정하는 방한 용품입니다. 🧣🧤 그런데 핫팩을 가지고 다니는 사람들이 정말 많더라고요. 뜨끈뜨끈한 열을 내뿜으며 따스한 온기를 주는 핫팩, 겨울철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이것도 결국은 일회용이라는 사실! 매년 2억 개 가량 버려지는 핫팩들은 어떻게 버려지고 있을까요? […]
[보고서] 우리 아이들의 장난감, 유해 폐기물인가요?

지금 아이들이 가지고 놀고 있는 장난감은 안전할까요? 10개국의 플라스틱 장난감에서 높은 수준의 염화 파라핀이 검출되었다는 보고서가 발표되었습니다. 어린아이들은 구강을 통해서 사물을 탐색하기 때문에 장난감을 물고 빠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 아이들이 직접적으로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것입니다.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아이들의 장난감이 안전한지 확인해 보아야겠습니다. 그런데 유해 물질이 들어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안타깝게도 유해물질 및 화학물질 라벨링에 […]
[물건이야기] 당신이 플라스틱 국제협약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 이야기

<<물건 이야기>> 책은 현재까지 ‘물건 이야기’ 프로젝트로 지속되고 있습니다. 책도 훌륭한데 그 책이 매개가 되어 환경단체로서 활약하다니 정말 대단하죠? 🙂 이번 물건 이야기 영상 메시지는 바로 올해 말 전 세계적으로 시행될 플라스틱 국제협약에 대한 내용입니다. 3차례의 회의가 끝나고 올해 캐나다와 한국! 2차례의 회의만을 남겨두고 있는데요. 전 세계 175개국이 참여하는 회의인 만큼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 플라스틱 […]
[한겨레신문] 폐지수집 노인 4만2천명…한달 15만9000원 번다

드디어 ‘폐지 줍는 어르신’ (자원재생수거인) 에 대한 보건복지부의 공식적인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실은 이분들에 대한 제대로 된 통계도 없던 실정이었어요. 결과는 예상과 다르지 않았고, 우리의 ‘골목 재활용’을 도맡아준 분들에 대한 예우에 한참 모자르네요. 폐지를 수거해 파는 노인 나이는 평균 76살이었다. 혼자(36.4%) 또는 둘(56.7%)이 사는 경우가 대다수다. 하루 평균 5.4시간, 일주일에 6일 폐지를 팔아 한달 15만9천원을 벌었다. […]
[굿뉴스] 유럽연합, 글리터 사용 금지

2023년 10월 중순, 유럽연합(EU)은 5mm보다 작은 플라스틱 입자 (미세 플라스틱)로 만든 글리터를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로서 화장품은물론 장식용, 인테리어용, 파티용품, 장난감 등에 자주 사용되는 플라스틱 반짝이가 규제될 기반이 마련 됐습니다. 금지 조치에 따라 2027년에는 씻는 화장품에, 2029년에는 바르는 화장품에, 2035년에는 메이크업과 네일 화장품에 플라스틱 글리터 사용이 금지됩니다. 이는 환경과 우리 몸에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 오염을 줄이기 […]
모두를 위한 안전한 식수, 플라스틱 프리, 납 프리 식수!

언제부터 생수가 안전한 식수가 되었을까요? 그러나 생수는 미세플라스틱 오염과 환경파괴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스웨덴 등에서는 수돗물을 식수로 사용 하고 레스토랑에서도 예쁜 유리병에 담긴 수돗물을 공짜로 내놓습니다. 플라스틱방지연합 (plastic pollution coalition) 에서 긴급하게 모두를 위한 안전한 식수 캠페인을 열었습니다. 바로 미국 환경청(EPA)에서 수돗물 파이프라인에서 신장을 손상시키고 어린이 두뇌 발달을 해치는 독성 물질인 ‘납’이 검출되었기 때문인데요. 최근 연구에 […]
[서울경제] 테트라팩 한국 지사장 “멸균팩 ‘재활용 어려움 표기’ 결정, 놀라운 일” [지구용]

https://m.sedaily.com/NewsViewAmp/29YJ8MFJXX – 환경부가 내년부터 멸균팩에 ‘재활용 어려움’ 표기를 시행하기로 결정한 것. 환경부 측은 “지난 수년간 생산 기업들이 재활용 시스템을 갖추도록 유예 기간을 줬지만 별로 변한 것이 없기 때문”이라며 “내년 상반기 중으로 관련 업계와 논의 테이블을 마련해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환경 단체와 많은 시민들이 우려를 표하고 있어요. ‘재활용 어려움’이란 표기가 ‘딱’하고 박혀있으면 그렇지 […]
[보고서] 14% 종이팩 재활용률 어떻게 높일 것인가!

(재) 숲과나눔에서 종이팩 재활용을 위해 노력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제도적이고 실천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토론회는 아래 사진에 알 수 있듯 약 100여 명의 시민들이 모여서 북새통이었답니다! (아잉 좋아라….) 종이팩 재활용 상황 아래와 같이 종이팩 재활용률은 현재 14%로 재활용품 중 가장 낮으며, 멸균팩은 출고량 대비 1% 대의 재활용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헉, […]
[11월 월간쓰레기] 무엇이든 쓰레기 어택💥

무엇이든 쓰레기어택! ‘라면은 왜 번들 포장이 되어 있지?’ ‘스포츠 응원 문화, 다회용으로 확산할 수 없을까?’ ‘페트병 라벨은 왜 이렇게 떼기 어려운 걸까?’ 일상생활에서 마주한 쓰레기 문제들, 우리가 직접 해결한다! [11월 월간쓰레기] 무엇이든 쓰레기어택 성과공유회에서 확인해 보아요👀 꽃도안녕; 번들 어택 제로 웨이스트 숍 세 곳이 모여서 팀을 꾸렸어요! (꽃삼월-도가게-안녕상점) 번들어택을 하게 된 이유 제로 웨이스트 숍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