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자료] 플라스틱 역사부터 제로 웨이스트 대안까지 알맹의 교육자료
망원동에서 플라스틱 프리 캠페인을 하는 ‘알맹’은 리필스테이션 알맹상점을 운영하기도 하고, ‘알맹이만 원하는 자’라는 알짜 모임을 운영하기도 하는데요. 이 ‘알짜’들이 모여 마포구청과 함께 비대면 플라스틱 프리
망원동에서 플라스틱 프리 캠페인을 하는 ‘알맹’은 리필스테이션 알맹상점을 운영하기도 하고, ‘알맹이만 원하는 자’라는 알짜 모임을 운영하기도 하는데요. 이 ‘알짜’들이 모여 마포구청과 함께 비대면 플라스틱 프리
어린이 교육용 플라스틱 프리 자료를 여쭤보는 분들이 계시는데요:) 유해물질로부터 자유로운 건강한 학교 ‘유자학교’ 프로젝트에서 만든 플라스틱 프리 교육 워크북을 공유합니다. 유해물질, 학용품, 화장품, 플라스틱 생활용품으로
아일랜드의 더블린 트리니티대학의 공동연구팀은 한국 등 48개국의 12개월 유아가 젖병으로 인해 미세 플라스틱에 노출된 결과를 측정했습니다. 대상은 세계 유아 젖병 시장의 70%쯤을 차지하는 10개 회사의
해외에서 완구류로 판매금지된 ‘수정토’가 코로나를 틈타 아이들이 집에서 가지고 오는 핫 아이템으로 팔리고 있다고 합니다. 어린이 촉각놀이로 주물주물 손에 만지는 장난감으로 사용됩니다. 그런데 수정토는 대부분
개학이나 개원이 미뤄지면서 어린이들이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났습니다. 휴대폰이나 텔레비전만 보는 시간이 안타깝고 걱정된다면, 아이와 함께 손으로 만들고 노는 시간을 가지면 어떨까요. 반짝이는 합성 슬라임은
ECOVATIVE 디자인이라는 회사에서 버섯의 버려지는 뿌리 부분(균사체)를 이용해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소재를 만들었습니다.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하여 가볍고 썩고 스티로폼처럼 충격을 잘 흡수하는 신소재가 나온
“유럽연합은 이 결정으로 위험한 구멍을 메우는, 공공보건을 위한 진일보한 결정을 내렸다.” 케미컬와치 2020. 1. 27 (Chemical Watch 27 January 2020) 스톡홀름 협약을 아시나요? 유엔환경계획(UNEP) 주도로
어린이도, 어른도 모두가 즐기는 자원순환공간 자원순환, 재사용, 재활용, 에코라이프를 체험해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자원순환공간을 공유합니다. 서울과 청주의 새활용플라자, 한국업사이클센터(대구) 등의 경우 어린이 체험 프로그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