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집] 농산물의 일회용 포장 감축 개선방안을 위한 토론회 by 환경정의
환경정의에서 시민 모니터링단을 꾸려 시장, 대형마트, 생협 등에서 농산물 포장재 실태를 조사하고 포장재 감축을 제안하는 토론회를 개최했습니다. 농산물 포장은 다른 공산품에는 이미 금지된 2+1 같은
환경정의에서 시민 모니터링단을 꾸려 시장, 대형마트, 생협 등에서 농산물 포장재 실태를 조사하고 포장재 감축을 제안하는 토론회를 개최했습니다. 농산물 포장은 다른 공산품에는 이미 금지된 2+1 같은
비닐 포장된 음식 섭취시 포장되지 않은 음식보다 7배 더 많은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다고… 포장된 음식을 먹으면 일년에 약 10그램의 미세플라스틱을 먹는 셈인데 이는 비닐봉지 2장에 해당한다고
안녕하세요. 알맹상점입니다. 알맹상점 창업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알맹이만 팔아요, 알맹상점>> 책에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만, 그 내용 중 일부를 아래에 공유합니다. 아래 글을 읽어보신 후에도 창업이 궁금하실 경우
2022년 3월 뜨끈뜨끈한 식품 소분 판매에 대한 식약처의 가이드라인이 나왔다. 제로 웨이스트 가게 창업자들이 식품 판매에 대해 궁금해 하며, 이건 덜어서 팔아도 되나요? 영업 허가
화장품은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가 있어야 소분이 가능해 2021년 상반기 현재 국내에서 화장품을 리필하는 곳이 10군데 밖에 없다. 왜 해외에는 화장품 리필하는 가게가 많은데 우리 제로 웨이스트 가게들은
환경부에서 일회용 포장재 줄이고, 일회용컵과 잃회용 용기를 줄이고, 플라스틱 빨대를 줄이고, 다회용품을 세척하고 렌탈하는 전국 네트워크를 모은다. 그 가게들을 모아 ‘줄여가게’ 지도에 담는 중. 카테고리는
한국일보 프란의 제로웨이스트 실험실 콘텐츠 대단! 엄지척. 홈런볼 낙하시험부터 튜브형 용기 재활용 안 되는 것까지, 그리고 이번에는 재포장 금지법의 예외조항을 마트 장보기 시전을 통해 낱낱이
그린피스는 “2021년 1월 우리 집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얼마나 될까? 시민들의 직접 조사로 만든 플라스틱 리서치 보고서”를 발표헀습니다. 국내 기업의 일회용 플라스틱의 배출 실태를 파악하기
플라스틱 포장재 안 쓰는 그린뉴딜은 가능할까? 일시 : 2020.10.30(금) 오전 10시~12시 장소 :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 공동주최 : 국회의원 양이원영, (사)자원순환사회연대 후원 :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발제(1)
2020년 국내 제로 웨이스트 가게와 리필스테이션 등이 90여 곳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식재료부터 세제, 화장품까지 액체형 리필스테이션, 카페와 접목된 플라스틱 프리 베이커리, 자동차 세척용품을 파는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