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 드립커피는 역시 다회용 커피필터

세계 3위 규모의 커피 소비국 한국. 홈카페를 즐기는 분들도 나날이 늘어가는만큼 일회용 커피필터 사용도 늘어가는 현실. 쓰레기 문제 뿐만 아니라 표백한 커피 필터의 경우 뜨거운 물을 부을 때에 유해물질이 방출될 우려도 있습니다. 쓰레기를 만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더욱 깊은 풍미를 느끼게 해줄 다회용 커피필터를 알아볼까요? 융 필터 & 소창 필터 (플라넬 드립) 융이나 소창을 이용해 […]
[대안] 빨대를 꼭 사용해야 한다면

일회용 컵과 함께 대두되었던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 바다 거북의 코에 플라스틱 빨대가 꽂힌 모습이 널리 알려지기도 했는데요. 재활용이 아닌 일반쓰레기로 분류할 수 밖에 없는 현실 속에서 스타벅스 등 일부 업체는 종이빨대를 내세우기도 했습니다. 일치감치 빨대 사용량이 많은 동남아 국가에서는 공심채, 대나무 등 식물을 활용한 빨대를 사용하기도 했구요. 일회용 빨대를 쓰지 않는게 가장 좋겠지만 어린이, 환자, […]
[아크릴 수세미 대안] 다양한 천연 수세미

환경을 생각해 친환경 세제를 만들어 쓰시나요? 혹은 세제를 사용하지 않으시나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거지를 할때마다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한다는 사실! 범인은 바로 ‘수세미’. 아크릴 등의 섬유를 직조하여 만드는 수세미는 설거지 과정에서 지속적인 마찰을 통해 섬유가 풀리고 헤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해서 나오는 작은 미세플라스틱, 마이크로 화이버 섬유는 그대로 하수구로 흘러들어가곤 합니다. 아직까지 미세플라스틱 처리 공정이 미비한 하수처리장을 거쳐, 바다로까지 […]
[대안] ‘랩퍼’ 탈출, 비닐랩 말고 비즈왁스랩!

남은 반찬도 쫙, 식재료도 쫙, 전자렌지에 음식을 데울때도 쫙- 부엌에서의 비닐랩 사용은 너무나 당연해졌습니다. 배달음식 시장이 커지면서 더더욱 많이 쓰이고 있는데요. 가정에서 쓰이는 PE(폴리에틸렌) 소재의 랩과 달리, 업장에서 사용하는 PVC(폴리염화비닐) 소재의 랩은 소각시 유독물질이 발생합니다. 물론 가정에서 사용하는 PE 소재의 랩 역시 음식물이 묻거나 하는 등의 문제로 재활용 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한번 쓰면 무조건 버리게 […]
[정책/쓰레기] 일회용 월경용품, 아기 기저귀, 물티슈의 환경적&경제적 영향

<The environmental & economic costs of single-use menstrual products, baby nappies & wet wipes> Report by ReZero, Zero Waste Europe, ReLoop and Break Free From Plastic. 유럽 28개국의 사례를 통해 일회용 월경용품, 기저귀, 물티슈의 환경적 & 경제적 영향에 대해 살펴본 보고서입니다. 막연하게 생각했던, 때문에 마구마구 썼던 일회용품들이 미치는 영향력을 구체적인 수치와 분석을 통해 알아볼 수 […]
[재사용 대안] 녹색연합: 배달음식: 배달은 용기를 실고~

배달용기에 대한 시민들의 공론장 지난 2019년 11월 녹색연합에서 주최한 배달용기 문제에 대한 시민공론장 자료와 내용을 공유합니다. 참으로 좋은 토론회였어요. (이렇게 행사를 알차고 내용 있게 하다니 감동 먹음) 공론장의 주체는 다섯가지! 생분해성 용기 등 대체재 : 홍수열 자원순환경제사회연구소 소장 그룻 회수 세척 등 다회용기 사용 서비스 제공: 리디쉬 기업 사례 현행 법률 검토 및 법 개선 […]
[소식] 쓰레기덕후 X 숲과나눔재단

피프리미 사이트는 숲과나눔의 2019년 풀꽃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숲과나눔은 환경 안전 보건 분야의 지속가능한 삶을 주제로 국내외 연구자, 활동가, 개인의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네트워크하는 기관입니다. 피프리미를 운영하는 자몽팀은 숲과나눔 재단의 풀씨사업을 통해 300만원의 쌈지돈을 마련해 인도와 케냐에 다녀왔고, 그 여정을 ‘쓰레기덕후소셜클럽’이라는 다큐로 담아내고 있어요. 그렇게 진행하다가 아, 플라스틱 프리 콘텐츠가 모여있는 사이트, 그리고 재미있는 제로 웨이스트 […]
[정책 건강 유해성] EU 재활용에 허용되던 유해물질 면제를 철회하다

“유럽연합은 이 결정으로 위험한 구멍을 메우는, 공공보건을 위한 진일보한 결정을 내렸다.” 케미컬와치 2020. 1. 27 (Chemical Watch 27 January 2020) 스톡홀름 협약을 아시나요? 유엔환경계획(UNEP) 주도로 독성, 생물농축성, 장거리 이동성 등의 특성을 가진 잔류성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로부터 건강과 환경 보호를 위해 해당 물질을 단계적으로 저감·근절하는 국제 협약입니다. 2001년 5월에 협약을 채택함에 따라 2004년 5월에 국제적으로 발효하였으며, […]
[재사용] “재사용, 포장을 다시 생각하다”

엘렌맥아더 재단의 2019 재사용 보고서: ‘뉴트로’의 시대 엘렌맥아더재단(Ellen Macarthur Foundation)에서 2019년에 펴낸 재사용에 대한 전 세계 사례를 모아놓은 보고서입니다. 비위생적이고 비효율적으로 생각되던 용기를 회수하고 세척해 재사용하는 옛날의 ‘서울우유’ 유리병 모델이 핫하게 ‘뉴트로’로 돌아옵니다. 재활용과 재사용의 차이 재활용은 만들어진 물건을 해체한 소재를 사용해 기존의 용도나 다른 용도의 물건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을 뜻합니다. 종이박스를 재활용 분리배출하면 이를 가져가 […]
[쓰레기 행동] 비워서 남주자

맛나게 식사 하셨나요? 환경부에서 맛있게 먹고 쓰레기 없이 비워서 남주는 캠페인을 열었어요 🙂 다 먹은 빈 그릇 사진을 해시태그와 함께 인증하면 인증샷 하나 당 500원이 적립되고,적립된 금액은 결식아동에게 지원돼요. 참여방법 ① 다 먹은 빈 그릇 사진을 찍기② 인증샷과 해시태그를 인스타그램 @zero.foodwaste 태그 후 업로드#비워서남주자캠페인#빈그릇#음식③ 같이 도전하고 싶은 친구를 지목하면 캠페인 참여 완료! 이렇게 하면 게시글 당 결식아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