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웨이스트 대안] 국내 최초 제로 웨이스트 셰어하우스(@부평) 입주자 모집!

모두들청년주거협동조합에서 국내 최초 제로 웨이스트 셰어하우스를 부평에 오픈합니다.⠀일인실 6가구가 모여 플라스틱 프리 물건을 만들고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서로 협동하며 쓰레기를 줄이는 청년 공동체 실험을 시작합니다.⠀일인실에 300만원 정도의 보증금과 30만원 중반대의 월세를 내는 사회주택입니다. (보증금과 월세는 조건별로 약간씩 달라져요) 현재 3인 모집되었고 3자리가 남았다고 합니다.⠀#제로웨이스트셰어하우스 #제로웨이스트공동체 #뮬랭이주의보 #청년주거 #플라스틱프리홈

[제로웨이스트] 독일 프라이부르크 시의 제로 웨이스트 숍

제로 웨이스트에 관심이 많아서 어딜 놀러가면 여기는 벌크 샵이 있나, 전통시장은 포장을 얼마나 까서 파나, 제로 웨이스트 숍이 시내에 있는지 살펴보고는 합니다. 2019년 운 좋게도 울산방송ubc와 함께 독일의 환경수도 프라이부르크에 다녀오면서 제로 웨이스트 샵에 들렀습니다. 제가 그동안 봐온 그 어떤 제로 웨이스트 숍보다도 크고 다양한 품목을 갖춘 최고의 포장재 없는 가게였습니다. 이 숍을 통째로 들어다 […]

[제로 웨이스트] 제로 웨이스트 숍 풍년! 춘천 요선당에 다녀왔습니다.

포장재 없이 알맹이만 소분해서 살 수 있는 곳을 쓰레기 없는 가게라고 해서 ‘제로 웨이스트’라고 합니다. 독일, 미국, 일본 등은 물론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도 제로 웨이스트 샵이 운영 중입니다. 주로 서유럽과 북미 지역 위주이긴 하지만, <<나는 쓰레기 없이 산다>>의 비 존슨의 홈페이지에는 재사용 용기에 내용물만 리필할 수 있는 벌크 숍(대용량 가게)의 지도가 실려 있어요. 국내에서는 서울 […]

[대안] 국내산 고체치약 / 알맹 & 지구샵 & 디어어스

독일 고체치약을 알맹에서 낱개로 리필하세요 독일 제로 웨이스트 샵에서 구입한 물건 중 가장 만족도가 높은 아이템이 바로 고체치약이었어요. 가볍게 어디든 들고 다니기 편하고 쓰레기가 나오지 않고 씹어서 양치질 하는 것이 재밌었거든요. 립밤을 다 쓰고 남은 틴트 통을 닦아서 고체치약을 넣어 다니는데 지름 5센치 정도의 작은 통에 40여개가 들어갑니다. 여행갈 때 들고가기도 좋고 선물하기도 좋아요. 현재 […]

[정책 투표] 21대 총선 투표 일회용 비닐 장갑이 63빌딩 7개 높이?

21대 총선 사전투표가 시작되었습니다. 정당별 정책 분석자료가 쏟아지는 가운데 우울한 소식이 있었으니! 안 그래도 투표 홍보물이 재활용이 안 되는 코팅지에 스테플러 팍팍 찍혀 온 것도 모자라, 코로나 때문에 투표에서 일회용 비닐 장갑을 써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우울한 소식에 생분해 비닐 장갑으로 바꿔달라는 청와대 청원도 올라왔으나, 이미 투표는 시작되었고… 플라스틱 프리 실천러들이 사전 투표에서 자기 장갑 […]

[정책 미세플라스틱] EU 씻어내는 화장품에 일부 실리콘 성분 사용 제한

EU 씻어내는 화장품 내 일부 실리콘 성분(실록세인) 제한 발효 EU는 2020년 2월 1일부터 씻어내는 화장품 내 실리콘 성분의 일종인 D4와 D5의 사용제한을 발효하였습니다. 이는 지난 2015년 영국의 법령을 수용한 것으로 지속성, 생물축적성, 유해성을 고려해 수질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그 농도를 0.1%로 제한한다고 합니다. 실리콘 중 일부는 미세플라스틱으로 환경에 잔류하고 생태독성을 띈다고 합니다. 한국은 아직 D4와 D5 […]

[제로웨이스트] 포장용기 안 쓰는 제로웨이스트 마켓 정착 토론회 자료집

토론회 개요 □ 일 시 : 2019년 12월 10일(화) 14:00~16:00 □ 장 소 :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실 □ 공동주최 : 신창현 국회의원실, (사)자원순환사회연대 □ 후 원 : 환경부, LH 토지주택연구원 프로그램 ■ 발 제 ············································································ 11 발제1. 환경부 녹색소비문화 개편 방향 ····················································· 11이율범 과장(환경부 환경산업경제과) 발제2. 해외 제로웨이스트 마켓 현황 및 국내 도입방향 제언 ············· 21김태희 […]

[정책] ‘플라스틱세’ 어떠세요?

이탈리아, 킬로그램당 1,300원 플라스틱세 도입 유럽연합 중 이탈리아가 최초로 플라스틱 세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10월, 이탈리아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에 제출한 2020년 예산법안에 따르면 2020년부터 1kg당 1유로(한화 1300원)의 플라스틱세를 도입할 것이라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로서 이탈리아 플라스틱세에는 플라스틱 병, 폴리에틸렌(비닐) 봉지 및 세제 용기, 완충제(뾱뾱이), 가전제품 포장 및 제품 라벨 등이 포함된다. 과세 대상자는 플라스틱을 생산, 제조, […]

[재활용 노동] 공정무역 플라스틱, 웨이스트 피커를 위한 Plastic for Change

웨이스트 피커(Waste Picker) 쓰레기 수거하는 사람들, 우리에게는 그들을 지칭하는 이름조차 없습니다. 웨이스트 피커를 ‘폐지 줍는 사람’이라고 할지 ‘넝마주이’라고 할지 ‘고물 줍는 분’이라고 할지 ‘폐기물 수거하는 분’이라고 할지 고민하다… 웨이스트 피커로 쓰겠습니다. 웨이스트 피커들에 대한 경제적, 사회적 가치를 깊숙이 들여다 본 좋은 기사가 충북인에서 나온 적 있습니다. 일독을 권합니다. http://m.cb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4334 저는 약 일년 전 인도 벵갈루루와 […]

[건강 유해성] 플라스틱&건강 : 플라스틱 지구에 감춰진 비용

지금까지 플라스틱에 관한 연구와 문제 해결은 사용과 폐기에만 집중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원료를 추출하고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플라스틱은 이미 환경과 건강에 막대한 위험을 불러일으킵니다. 새로운 관점으로 플라스틱 지구를 바라보는 보고서, 함께 볼까요? 🙂 Chapter 1. 소개 Chapter 2. 추출과 운송– 대기오염– 오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 및 인권– 어린이, 영유아, 임신부에 대한 위험– 수질– 파이프라인 Chapt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