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아마존, 자사 식품 포장재에 유해물질과 일부 플라스틱 사용 금지

미국의 최대 유통기업 ‘아마존’ 은 최근 식료품 브랜드의 식품 포장재에 해로운 유해물질과 재활용되지 않는 플라스틱 사용을 금지하는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최근 아마존은 자사의 키친 브랜드의 경우 식품 포장재에 과불화화합물(PFAS), 프탈레이트, BPA(비스페놀 A) 및 비스페놀류와 같은 유해물질을 금지하였습니다. 그뿐 아니라 유해성을 의심받는 PVC, 폴리스티렌(PS), 스티로폼(EPS) 플라스틱도 식재료가 닿는 포장재에서 규제합니다. 아마존의 이번 발표는 2018년 처음 시작한 화학정책의 […]
[재사용] 알비백 VS 안녕 또보냉

SSG닷컴의 ‘알비백’이라는 재사용 백을 알고 계시나요? 신세계 쇼핑이나 이마트에서 신선제품을 구매하면 배달해주는 재사용 가방입니다. 소비자가 주문한 제품을 꺼낸 후 문 앞에 내놓으면 회수해서 재사용하는 거죠. 재활용 보냉백은 환경 보호와 함께 재주문시 수거방식을 통해 주문량을 늘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실제 이마트의 재사용이 가능한 보냉가방 ‘알비백’은 스티로폼 박스, 아이스팩 등 일회용 포장용품 사용을 줄이고, 론칭 1년 동안 일회용 […]
[수리할 권리] 한겨레21: ‘내돈내산’인데 수리는 회사 마음대로?

‘내돈내산’인데 수리는 회사 마음대로? [애프터서비스] 몇 년 지나면 그냥 ‘무거운 쓰레기’가 되는 전자제품들 2021년에는 고쳐 쓸 길 열릴까 한겨레21 1344호에 2021년을 여는 새해 표지 기사로 제로 웨이스트와 수리할 권리가 실렸습니다. 재택근무를 하며 2013년 프린터를 수리하면서 새 제품을 사는 것이 훨씬 싸고 좋다는 경험을 통해 쉽게 쓰고 버리는 전자제품에 대해 문제제기합니다. 아래 기사를 인용합니다. 고쳐 쓰면 […]
[기후위기] 플라스틱과 온실가스

기후위기 문제는 신재생 에너지, 건물 에너지 효율화 등에 집중되지만 플라스틱에서도 온실가스가 새어나옵니다. 플라스틱이 바로 화석연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이죠. 플라스틱의 원료인 화석연료를 캐내 플라스틱으로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우리가 쉽게 쓰고 쉽게 버리는 과정에서도, 그리고 폐기 후 소각되거나 자연계를 떠돌며 미세플라스틱으로 쪼개지는 과정에서도 기후변화를 일으킵니다. 기후변화행동연구소에서 국제환경법센터에서 펴낸 <플라스틱과 기후변화: 플라스틱 지구의 숨겨진 비용> 보고서를 요약해놓았네요. 감사! http://climateaction.re.kr/index.php?document_srl=176541&mid=news04 플라스틱을 […]
[변화] 상하목장 우유, 소비자들 ‘빨대 어택’에 응답했다

지난 해 멸균팩에 부착된 빨대를 제거할 것을 요구하는 ‘빨대어택’에 응했던 매일우유 ‘상하목장’에서 빨대를 제거한 제품을 선보인다고 합니다. 원문보기: (한겨레 신문, 2021년 1월 13일) http://www.hani.co.kr/arti/economy/consumer/978611.html#csidx3a0899f13ab9fc78c620d8f84396e58
[행동] 요구르트 뚜껑은 반납합니다 – 플라스틱 어택

쓰담쓰담에서 진행하는 플라스틱 어택 ‘요구르트 뚜껑’ 편에 함께 할까요? 2021년 1월 11일, ‘요굴껑은 반납합니다.’라는 이름으로 각 요구르트 제조사 고객상담실에 요굴껑과 함께 의견을 보내주세요. 요구르트에 뚜껑은 왜 있는거지? ‘요굴껑은 반납합니다.’라는 이름으로네 번째 반납의 시간이 돌아왔습니다! 매일유업 임직원의 손편지로 부착 빨대 이슈를 만들어 낸 1차 ‘빨대는 반납합니다.’환경을 위해 남양유업과 보다 실질적인 변화를 모색하게 만든 2차 ‘빨대는 선택입니다.’ […]
[마스크] 미세플라스틱을 들이마신다

재사용 천마스크 사용하시면 어떨까요. 세계보건기구에서도 세 겹 정도의 도톰한 천마스크는 비말 차단 된다고 병원처럼 위험한 환경이나 고위험군이 아니라면 천마스크 사용해도 된다고 하였습니다. 폴리프로필렌(PP)로 된 마스크를 착용하고 숨을 쉬면 미세 플라스틱이 호흡을 통해 인체에 유입됩니다. 매일신문 2020.1.5 http://news.imaeil.com/NewestAll/2021010519382338488
[성공] 2021년 국내에도 브리타 폐필터 재활용 수거 프로그램이 시행됩니다.

2020년 8월 7일 브리타 코리아에 재활용 회수 프로그램 및 필터 재사용 디자인을 요구하는 서명운동을 진행했습니다. [플라스틱 어택] 브리타 필터를 재활용하자 https://campaigns.kr/campaigns/257 152일 동안 14,546명이 서명하고, 약 1,500개의 폐 브리타 필터가 수거되었습니다. 이에 여러 제로 웨이스트 관련 상점, 단체, 개인이 함께 활동하는 브함사(브리타 필터 재활용 캠페인에 함께 하는 사람들)는 브리타 코리아로부터 다음과 같은 답변을 받았습니다. […]
[2021년] 새해 바뀌는 탈 플라스틱 정책

2021년부터 탈 플라스틱를 위한 정책이 시행됩니다. 2020년 12월 24일 정부는 제120차 국정현안조정점검 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포함한 ‘생활폐기물 탈(脫)플라스틱 대책’을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환경부는 이번 탈플라스틱 대책을 통해 2025년까지 플라스틱 폐기물을 올해 대비 20% 줄이고, 분리 배출된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비율도 현재 54%에서 2025년까지 70%로 상향한다고 밝혔는데요. 중장기적으로는 플라스틱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30% 줄이고, 산업계와 협력해 2050년까지 […]
[해외 보고서] 플라스틱, 환경호르몬과 건강

플라스틱, 환경호르몬과 건강 Endocrine Society / IPEN 2020년 12월 환경호르몬(EDCs)은 인체의 호르몬 시스템을 방해하고 암, 당뇨병, 생식 장애, 태아와 아동의 신경계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화학물질입니다. 이 보고서는 플라스틱의 유해물질이 내분비계에 작동하는 직접적인 건강 영향을 뒷받침하는 많은 증거를 제시합니다. 보수적으로 추정해도 현재 1,000개 이상의 환경호르몬 성분이 사용됩니다. 플라스틱에서 흘러나와 건강을 위협하는 것으로 알려진 환경호르몬에는 비스페놀A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