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 제로웨이스트 숙소 @전주

오래 전 교토에 놀러갔을 때 1인용 도미토리 클라쓰에 놀랐다. 분명 침대 한 개짜리 저렴한 도미토리였는데…. 블라인드를 닫으면 나만의 폐쇄된 큐브가 돼서 완벽한 사생활이 생긴다. 고시원처럼 침대 큐브 안에 콘센트, 조명, 책 거치대, 옷걸이 등이 있고 이불은 습기 없이 바짝 말린 바삭바삭한 면에 포근했더랬다. 그 큐브 안에서 <금각사>란 책은 읽으며 이게 일본이지, 아 재수 없어 (응?) […]

[1차 화장품 어택] 화장품 빈용기를 수거합니다!

빠띠 캠페인 서명 2월~3월 집중 1만명 서명 운동! 환경부 및 화장품 회사에 전달 https://campaigns.kr/campaigns/290 ​ 화장품 어택을 위한 용기 회수와 기자회견: 1차 화장품 어택 빈 용기 수거 다 사용한 깨끗한 화장품 용기를 보내주세요! 화장품 회사 별로 분류해 쓰레기를 줄이는 화장품 용기 개선을 제안합니다. ​ ★ 샴푸 바디워시 면도 쉐이빙 폼 등의 바디케어 ★ 로션 크림 […]

[행사 전시] 다음 역은 사이 숲

재미있고 의미있는 작업을 하는 로테이트 나영 님의 업사이클링 전시가 열린다. 나영님은 알맹상점에서 모은 일회용 젓가락으로 비누 받침대를 만들고, 과자 봉지로 모빌을 만드는 능력자. 이번에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영상을 보니 행위예술도 하셨드랬다. 그래서 더욱 기대되는 전시. 보통 전시 후 남는 것은 쓰레기요, 투입되는 것은 새 원료인 것을… 나영 님의 전시는 주변에서 긁어모은 쓰레기들의 향연. 쓰레기로 뽀대나는 예술을 […]

[대안] 종이팩 세제 출시, 고급진 물건의 정체는?

이런 거 소개할 때, 기분이 조커든요. 상품을 사지 말라고 소리쳐 외쳐보지만 사실 지름신 돋는 시간을 좋아하는 영락없는 자본주의의 노예인 나. 예쁘고 좋아 보이는 대안 상품을 소개할 때마다 마음은 뿌듯해지고 통장은 비어간다. 이왕 텅장될 거 쓰레기 덜 나오고 내 몸과 지구에 유해하지 않은 제품을 사고 싶다! 플라스틱 대신 종이팩에 든 세제가 출시된다. 성분도 유해하지 않은 친환경 […]

[변화] 플라스틱 프리로 바뀐 기업들 이야기

기업들의 플라스틱 프리로의 변화가 느껴진다. 이렇게 미래가 밝아도 되는 건가, 얼떨떨할 정도로 빠른 변화랄까:) 주요 기업들의 변화 큐, 그런데 왜 진작 안 했어!! 아니지, 이런 변화를 요구하지 않은 내 탓인데 누굴 탓혀!!! 1. 한국 맥도날드, 맥플러리 뚜껑 바꿔 플라스틱 14톤 줄여 맥도날드는 지난 2019년 5월부터 아이스크림 디저트 메뉴 ‘맥플러리’의 플라스틱 리드(컵 뚜껑)를 없애고, 종이 리드 […]

[행사] 나무만 없었더라도, 플라스틱 천국이었을텐데

나무만 없었더라도, 플라스틱 천국이었을텐데 인간이 지구에 존재하는 행위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 일시 02월 19일(금) 12:00 ~ 02월 21일(일) 19:00 신청 01월 23일(토) 17:00 ~ 02월 19일(금) 12:00 장소 어반플루토 9호선 선유도역 2번 출구에서 1~2분 거리 비용 무료 카메랄트(대학생 연합 전시기획 동아리) 작가: 공예은, 김정하, 김진희, 김채연, 김희선, 박서현, 이예영, 지혜민, 채나경 (9명) 전시구분 : 디자인, […]

[규제] 경기도민 76%, “물티슈 일회용품 규제 찬성”

아, 그렇다고 하네요. 물티슈 좀 공짜로 안 나와주시면 안 되나요? 아니면 안 썩고 미세플라스틱 되는 부직포로 만드는 물티슈에는 규제 팍팍! 경기도는 지난 14일부터 15일까지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물티슈 사용실태 및 인식’과 관련한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31일 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물티슈의 원재료가 무엇인지 묻자‘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44%로 가장 높았으며,‘폴리에스테르’라고 답한 비율은 35%였다.‘천연 펄프’와‘면 원단’이 각각 15%, 5%로 조사됐다. […]

[재활용] 블리스고, 내손안의분리배출 이면 끝!

요즈음의 최대 화두, 재활용 분리배출. 이렇게 분리배출하면 도대체 재활용 되는 거니? 하고 사람들이 드디어 묻기 시작했다. 분리배출만 하면 재활용 된다고 믿던 순진했던 시절을 지나 어떻게 해야 재활용되겠니, 도대체!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뜻. 좋은 일이다. 그런데 말입니다. 애초에 재활용 안 되도록 생산된 물건들이 많아 노오력해도 재활용되지 않는 빡치는 현실, 이거 어쩔 겁니꽈아아아아앙! 알면 알수록 종량제 봉투에 […]

[재활용] 화장품 용기 90% 이상 애초에 재활용 안 된다

실제로도 화장품 용기의 90%가 재활용 안 되는 거 맞다. 환경부 보고서에서도 90%라고 했고, 조선일보에서 국내 화장품 중 2019년 기준 시장점유율이 높은 화장품을 뽑아서 직접 조사한 결과도 90%가 재활용 안 된다고. 아, 화장품 너를 어쩌면 좋으냐. 조선일보 2021.2.2 화장품 용기, 재활용 안 되는 OTHER가 90% [Cover Story] 국내 주요 화장품 제품 재활용 여부 살펴보니 문일요 더나은미래 […]

[대안] 생분해 플라스틱 오해와 진실 보고서

녹색연합에서 2021년 초에 발간한 생분해 플라스틱 보고서에는 지금까지 생분해 관련해 나온 국내외 자료들이 빼곡히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녹색연합 플라스틱 이슈페이퍼 2021년 1월 녹색연합, <플라스틱 이슈리포트-생분해 플라스틱의 오해와 진실> 내용 정리 ‘생분해 플라스틱’의 실상 및 국내외 정책 조사 플라스틱의 대체재로 사용량 증가추세, 실상은 재활용 어렵고 생분해 조건에서 처리되지 않고 있어 순환경제 추구하는 유럽에서도 생분해 제품 장려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