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어택] 과자 받침접시 썩 사라지지 못할까

과자 플라스틱 받침접시 한국일보 제로웨이스트 실험실서 패대기 100번 쳐서 파손 안 됨을 증명하였으니… 예쁘지도 않은 쓰잘데기 없는 쓰레기. 오리온 제과가 먼저 나서서 트레이 받침 접시 제거 선언. 미적거리다가 롯데에서도 뒤늦게 욕 먹고 제거 선언할 바에야 지금이라도… 라는 심정으로(?) 카스타드 종이박스로 변경 선언. 그런데 농심, 동원, 해태는 불가능이거나 무대답으로 일관… 과자 파손 안 된 동영상 오조오억번 […]
[변화] 양식장 스티로폼 부표 드디어 철퇴!

며칠 전 남해에 놀러갔다. 한려수도의 고장 답게 섬과 만이 발달해 만으로 둘러싸인 바다마다 양식장을 쉽게 볼 수 있었다. 그런데 여기가 물고기 양식장인가 스티로폼 양식장인가.… 양식장 주변에는 쓰다 버린 스티로폼이 쓰레기 산처럼 쌓여있었고, 바다 양식장의 파도가 일 때마다 스티로폼 부표가 한없이 요동치고 있었다. 대나무 친환경 부표 기사도 읽었는데, 그건 어디 있니… 하나도 못 찾고 스티로폼에 정신 […]
[변화] 서울시 건설폐기물 줄이는 분별해체 의무화 시행

가정용 생활 쓰레기만 눈에 보이는 우리야 이 쓰레기가 제일 걱정되지만, 사실 생활폐기물은 건설폐기물이나 산업폐기물의 절반도 안 된다. 생활폐기물은 약 20%, 사업장과 건설폐기물이 80%를 차지하는 현실… 서울에서 늘어만 가는 건설폐기물을 줄이고 재활용을 하기 위한 ‘분별해체’를 의무화한다. 즉 철거할 때부터 샷시 내장재 수도관 등을 분해해 재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서울시 분별해체 의무화 시행은 쓰레기 줄이는 데 있어서 […]
[뉴스] 한국일보 20210405 사직구장 ‘봉다리 응원’도 안녕… 전국 지자체 일회용품 퇴출 동참

봉다리 응원 넘나 귀여워서 플라스틱 어택 때 우리도 차용했었지… 하지만 암만 귀여워도 이제는 헤어질 시간. 사직구장의 일회용품 반입 금지 규제로 귀염귀염 봉다리 응원과도 이별이다. 이런 이별이라면 아픈만큼 성숙해지는 거 아니겠어. 전국 지자체와 공공기관에서 1회용품 퇴출 바람이 드세게 불고 있다. 민간 기업들이 일찌감치 이 대열에 합류한 것을 감안하면 늦은 감이 없지 않으나, 파급력에 있어서 만큼은 지자체 […]
[액션] 녹색연합 배달어택!

배달의 민족의 연 매출이 1조 995억원이라고 합니다. 전년 대비 약 100%가 늘었고 고속 성장 중이라고 합니다. 네. 쓰레기는 그 이상 늘었습니다. 쓰레기 문제가 이렇게 심각한데 배달 주문시<수저 안받기> 를 선택하는 기능만으로 배달앱이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배달앱을 통한 배달서비스가 늘고 배달앱이 성장할수록 우리는 쓰레기가 늘어가는 사회에서 살아가야 합니다. 그래서 시민들이 직접 행동합니다. 지금 사용한 배달용기를 […]
[뉴스] 화장품 용기의 운명 재활용 안 되는 예쁜 쓰레기

[한겨레 신문] 20210407 화장품 용기의 운명 재활용 안 되는 예쁜 쓰레기 실제로 해보면 안 된다, 얼마나 안 되는지. 이토록 오랫동안 과대포장, 재활용 안 됨으로 만들어진 예쁜 쓰레기들을 군소리 없이 용인해온 우리들 책임을 알라고 모니터링을 하는 것 같다. 기사 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89940.html
[액션] 화장품 용기 재활용을 위해! 시민모니터링 20여 곳에서 시작

전국 제로웨이스트 가게에서 이뤄진 화장품 용기 모니터링 전국 약 20여 곳에서 화장품 용기 시민 모니터링이 진행 중이다. 바로 화장품 어택으로 수거한 빈 용기의 재활용 여부와 재활용 안 되는 이유를 시민들이 직접 나서서 조사하는 것! 시민들이 한땀한땀 조사한 수동형 빅데이터라고나 할까. 이 데이터를 보아 화장품 기업에 재활용, 재사용 활동을 촉구하는 2차 화장품 어택으로 이어진다. […]
[정책]왜 우리가 비닐 쓰레기를 사야 하나요? Ep.7 재포장 금지법 | [제로웨이스트 실험실]

한국일보 프란의 제로웨이스트 실험실 콘텐츠 대단! 엄지척. 홈런볼 낙하시험부터 튜브형 용기 재활용 안 되는 것까지, 그리고 이번에는 재포장 금지법의 예외조항을 마트 장보기 시전을 통해 낱낱이 밝혀주시는 이 세심함. 기자님들 감사합니다. 넙죽! 동영상 5줄 요약! 재포장 금지법 환영한다! 암, 이거 되니까 우유팩 2개 들이 비닐이 띠지로 바뀌었다지. 6면이 플라스틱이어야만 재포장에 해당, 종이박스에 한 면 비닐 투명창 […]
[대안] 친환경 배달용기의 배신, 친환경 일회용이란 없는 것

SBS 뉴스에서 친환경 배달용기가 실제 ‘친환경’인지 재활용이 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답은 친환경 일회용이란 없다는 것! 코로나19 속에서 최근 음식 배달 시장이 연간 10조 원 규모로 성장했습니다. 그만큼 일회용품 쓰레기도 늘어났습니다. 그래서 최근 일부 배달 중개업체가 환경을 생각해서 재활용할 수 있는 배달 용기를 도입했다고 밝혔는데, 정말 재활용이 가능한 건지 저희가 취재해봤습니다. 김덕현 기자, 장세만 기자가 함께 전해드립니다. […]
[정책] 스페인 일회용품 VS 보증금제의 샅바 싸움

일회용품과 보증금제의 샅바 싸움이 스페인에서 일어나고 있다. 2018년 이후 플라스틱 문제가 떠오르면서 2주로 북유럽과 독일 등에서만 실시하던 병 보증금제가 네덜란드, 포르투갈 등으로 퍼지는 추세다. 유럽의 플라스틱 프리 단체들은 유럽 전역의 병 보증금제 실시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사실 병 보증금제는 기업이 좋아하는 제도는 아닌 것을…. 그리하여 플라스틱 업계는 스페인 정부가 보증금제를 도입하는 것을 막는 체계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