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 분리배출] 헤어 드라이기로 이렇게 쉽게!

우산을 수리하는 호우호우 팀에서 가장 힘든 게 장우산의 꼭지와 손잡이 빼는 것이라고 한다. 우산을 수리하려 해도 우선 해체를 해야 할 때가 많고, 수리가 불가능해 분리배출을 하기 위해서도 우산살과 우산천을 분리해야 한다. 그런데 우산의 맨 위와 아래 쪽을 지키고 있는 수문장 같은 우산 꼭지와 우산 손잡이가 빠지지 않으면 분리가 안 되다는 잔인한 현실. 헤어 드라이어로 아래와 […]
[PPC 웨비나] 플라스틱을 적게 쓰는 대안 비즈니스 사례

플라스틱 사회에 대항하기 위해 해외에서 무슨 혁신적인 사업이 있나 싶어, 아침 7시에 눈 뜨자마자 영어 웨비나 들었는데… (나한테 말 시키는 건 아니고 듣기만 하면 되니까 ㅋㅋ) 요즘 번역기가 좋아서 연사들이 말 열라 빠르게 해도 번역기 커면 나름 다다다 번역해서 신기했다. 암튼 이 웨비나에서 나온 사례들 기업과 사례 짧게 소개. (나도 사고 싶었어!) Pirani Life : […]
[뉴시스] 배달 음식 어쩌나…’플라스틱 용기’ 심부전 위험 높인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플라스틱 노출 빈도가 높을수록 울혈성 심부전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그 이유는 장내 미생물군의 변화로 인한 염증 증가 때문이라고. 기사에 따르면 중국 닝샤의과대학 연구진은 플라스틱 용기에 뜨거운 물을 붓고 용출된 화학물질을 실험용 쥐에게 장기간 투여한 후, 장내 환경과 심장 조직을 분석하여 이와 같이 발표했다. 울혈성 심부전이란 심장에서 체내로 내보내는 혈액 펌프 […]
[해외 규제] 미국 캘리포니아주, 비닐 아세테이트 발암물질 목록에 올려

미국에서 환경 규제가 가장 앞서 나가는 캘리포니아 주에서 비닐 아세테이트를 유해물질 목록에 올렸다. 국제환경규제기업지원센터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 환경보건위험평가국(OEHHA)은 2025년 1월 3일부로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를 발암물질로 지정하고 이를 ‘Proposition 65’ 목록에 추가했다. 이게 무슨 뜻인가 하면, 기업들은 캘리포니아에서 판매되는 제품에 비닐 아세테이트이 포함된 경우 중대한 노출(significant exposure)로 알려야 하며, 이는 2026년 1월 3일부터 적용된다. 출처 | https://oehha.ca.gov/proposition-65/crnr/vinyl-acetate-added-proposition-65-list-cancer 비닐 아세테이트란? 위의 이미지는 대한화장품성분사전에서 ‘비닐 아세테이트’를 검색한 […]
[토론회] 순환경제 스타트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의 과제들

녹색전환연구소에서 아래처럼 국회 토론회를 열었다! 그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고, 토론회 자료집을 공유한다. 나중에 보면 이런 토론회 내용들이 다 공부고 자산이 되드라고… 나를 위해 기록해둬야지. [토론회] 순환경제 스타트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의 과제들 2024년 1월 1일부터, 국내에서는 순환경제사회촉진법이 시행되었으나, 대체로 선언적 규정에 머물러 순환경제 분야 산업을 활성화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국내 순환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제도 […]
[자료집] 종이팩 재활용률 13%,반전의 시작

숲과나눔 재단 초록열매 포럼 ‘종이팩 재활용률 13% 반전의 시작’ 포럼에 다녀왔다. 종이팩 재활용 문제가 이야기 된 지 좀 되었으나 종이팩 재활용률은 여전히 분리배출 품목 중 가장 낮고, 갈수록 재활용률이 떨어지고 있으니… 목차 자료집 살펴보기 https://drive.google.com/file/d/1tCS5vd2JZSrKQCSRqS5MFGBabxtmyJ7_/view 사진 출처 | 알맹상점 포럼에서 나온 에코야얼쓰와 멸균팩 재활용 협회의 자료는 위의 자료집에 잘 나와 있다. 에코야얼쓰는 분명 혁신적 사례고 […]
유리병, 이렇게 세척해서 재사용!

재사용 유리병이 세척되어 다시 사용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실감나게 드러난다. 헝가리에서 판매 중인 제품의 유리병이 회수된 후 어떻게 세척되는지 보여주는 영상으로, 한국에서 재사용 되는 소주 맥주병도 비슷한 과정을 거칠 것이다. 병 반납 기계를 통해 유리병이 회수되는 모습 반납 기계를 통해 모인 유리병이 세척 센터로 들어온 모습 유리병 거품 샤워 기계 샤워 중 세척된 병에 음료수가평규 ㄴ […]
재활용 선별원 노동안전 실태조사 : 내가 버린 쓰레기는 어떻게 재활용될까

여성환경연대의 재활용 선별원 노동안전 실태조사가 경향신문 단독으로 두 꼭지 기사로 발행되었다. 쓰레기, 노동, 여성 세 가지 교차점을 잘 짚어낸 내용으로 교과서에 실려야 하는 기사 아닌가 싶다. 정말 좋은 기사로 꼭 읽어보시길! ‘플라스틱 전쟁’ 최전선의 여성 노동자들…“이대론 안 된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412280900001 원 순환 여성 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제도·인식 변화 캠페인을 진행하는 시민단체 여성환경연대와 함께 2024년 9~11월 전국의 […]
[한국소비자원] 재활용품 선별시설 실태조사 : 선별 과정 중 발생 잔재물 중심으로

재활용 선별장에서 재활용 되지 않고 버려지는 잔재물을 조사해 문제점을 드러내고, 선별장 노동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개선방안을 제안한 연구 보고서이다. 재활용 어떻게 분리배출해야 하고, 어떻게 제도를 바꿔야 할까, 라고 고민한 적 있다면 딴 보고서 말고 걍 이 보고서 하나 읽으면 될 거 같다. 답은 이 안에. 결국 어떻게 개선사항을 사회적으로 구현할 것인가는 이 사회 구성원인 우리의 몫. […]
제로웨이스트 인증 관련 제도와 사례

마포 자원순환네트워크 준비 모임에서 국제 소각반대네트워크 ‘가이아 GAIA’의 문도운 연구원 님을 모시고 들은 제로웨이스트 인증 관련 워크숍. 유럽 최초의 제로웨이스트 시티인 ‘까판노리’와 일본의 재활용 마을로 유명한 ‘카미카츠’ 모두 소각장 반대 운동에서 대안을 찾다가 제로웨이스트 선언을 한 곳들이다. 소각장 반대 운동의 바람직한 사례는 우리 동네에 소각장이 안 된다면 남의 동네에도 안 되고, 그러기 위해서는 쓰레기는 줄이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