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죽어택] 본죽은 재사용 리필 체계를 마련해주세요

알맹상점 망원점, 서울역점 본죽어택에 참여할 용기 수거중???? 8/28까지. 집에 본죽 용기 100개…나혼자 여러번 써도써도느무 많이 들어와결국 쌓이는 본죽용기…이런 적 많으시죠? ???????? 저희 알맹살점에도 꽤 본죽 용기가많이 들어옵니다.그럼 소독하고 말려 재사용하는데요. 정작 본죽은 재사용 시스템 마련에일도 관심이 없는 거 같아요. ???????? 본죽용기도 다회용 세척 전문서비스,뽀득이나 트래쉬버스터즈,리턴잇 이용하면 될 텐데!용기 보증금 받으면 가능해요. 다회용 용기 사용자들에게텀블러 할인처럼 […]
[물건] 리스토어: 청소기 배터리 교체 서비스

무선 청소기 등의 가전제품이 늘면서 멀쩡해도 배터리가 다 돼서 교체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배터리뉴’는 다이슨처럼 인기 많은 무선 청소기 배터리를 셀프 교체할 수 있는 온라인 스토어를 열었다. 바로 리스토어! 배터리 교체 뿐 아니라 청소기 클리닝 서비스를 통해 오래되고 냄새 나는 청소기를 환골탈태 시켜준다. 가전제품, 오래 쓰는 게 답이다! ‘리스토어’는 여기:) https://smartstore.naver.com/re-store 배터리 교체 서비스 신청
[대안] 보드레 천 기저귀 사업단 + 차원이 다른 천 기저귀 구독서비스 해외 임팩트스타트업 ‘피카’

‘그리니엄’에서 보고 처음에는 천 기저귀 대여 서비스야 몇 번 시도되었지만 사람들의 위생 관념과 장벽을 넘지 못하고 종국에 사그라들었지 않냐, 고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 그런데 차이가 있다. 그 전의 다회용 천 기저귀 사업은 대여와 세척을 대행해주는 곳이었다면, 이번 스타트업 사업은 사용자가 직접 천 기저귀를 빠는 구독 시스템이다. 세척을 대신해주지 않는다! 그러면 결국 천 기저귀 세척 서비스가 […]
[플라스틱어택] 그중에서 ‘일회용 케찹’ 너부터 어택!

<1회용 소스 어택!>그중에서 ‘일회용 케찹’ 너부터 어택! 와이퍼스 닦원으로 한강공원 플로깅 캠페인에서 줍깅을 하다가 작은비닐조각이 계속 눈에 띄더라구요. 집게로 잘 집히지도 않는 비닐조각! 유심히 보니 1회용 소스에서 떨어져나온 삼각 꼬다리 (커피믹스, 짜파게티올리브유 이것들은 기막히게 잘 뜯어져서 문제) 서울환경연합에서 <아무거나 쓰레기어택>을 한다기에 저희 베초단(better choice)이 1회용소스 어택을 하기로 했어요. 1회용소스(아무거나) 20개 이상을 베초단에게 보내기, 1회용소스 인식조사 […]
[서명] 성북구에서 버려지는 종이팩을 자원으로 되살려 쓰기 위한 책임 있는 조례 제정을 촉구합니다.

서울시 성북구 초등학교 선생님, 학생, 그리고 주민들이 모여 성북구 종이팩 재활용 조례 제정을 촉구합니다! 서명하시면 성북구의원 22명에게 우리의 목소리가 바로 전달됩니다. 서명 참여하기! (1분이면 똮 끝나요:) https://campaigns.kr/campaigns/687#anchor-all-order-status
[대안] 트래쉬버스터즈: 청결도 대결 일회용컵 VS 다회용컵

코로나와 한국인들의 뛰어난 청결도 때문에 다회용 컵 사용을 말하면 안전과 위생을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트래쉬버스터즈 같은 다회용 식기 세척서비스에서도 가장 신경을 쓰는 것이 바로 청결과 위생. 이번에 뉴스펭귄에서 나온 기사에서 미생물 테스트기로 객관적으로 위생상태를 측정한 기사가 나왔다. 결론은? 다회용 컵, 안심하고 드셔도 됩니다!! 탕탕:) 오염도 측정에 쓰인 기기는 일본 기업 키코만(Kikkoman)사의 ATP측정기다. 키코만사의 위생검사 […]
[쓰레기] 서울이 배웠으면… 쓰레기로 에너지 직접 만드는 코펜하겐(feat. 오염물질 제로)

쓰레기와 에너지 소비 자체를 줄일 것이 아니라면 쓰레기 소각장이나 발전소를 도심 밖으로 멀리 내보내지 말고, 가까이 두고 생활에 포섭시키기! 에너지 전달 루트도 짧아지고 가까이 있으니 오염물질 감시도 허투루 할 수 없고 쓰레기 문제를 눈앞에서 치워버리지 않게 하니까. 멀어질수록 더욱 내 일이 아닌 것 같고 그럴수록 ‘혐오시설’이 되어 소외된 지역으로 옮겨갈 수 있으니까. “소각장이 도시 한가운데 […]
[참여 시민액션] 매장내 1회용컵 신고센터를 운영합니다!

매장에서 먹고가는데도 1회용컵을 받아 당황스러웠던 기억, 누구나 한번쯤은 있으셨겠죠? 코로나19 펜데믹으로 한시적으로 허용됐던 ‘매장내 1회용컵 사용’.이로 인해 1회용품 폐기물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올해 4월 1일부터 다시 금지가 됐지만, 과태료 부과는 유예되고, 단속도 흐지부지…이런 상황에서 소비자분들도, 알바님도, 점주님도 혼란스럽긴 마찬가지입니다. 이에 환경운동연합은 <1회용컵 신고센터>를 운영하려고 합니다. 매장을 이용하는데도 1회용컵을 제공받았던 사례들을 제보해주세요! ▪︎ 제보 기간 : 2022년 8월 4일 […]
[대안] 일회용 없는 행사 준비: ‘쓰레기와 헤어질 결심’ 요즘 축제들 “일회용품 안씁니다”

일회용품 없이 축제 없을 것 같고 불편해서 사람들이 싫어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일회용품 없는 축제를 성공시킨 멋진 지자체들의 축제 이야기. 그러나 좋은 게 좋은 거야, 하고 자율에 맡길 것이 아니라 지자체 조례에 행사에 일회용품 사용 금지를 명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혹은 지자체 예산 지원 시 일회용품 대체 계획을 실행하면 가산점을 주거나 예산 지원 기준으로조건을 달아서 […]
[대안] 바이오 플라스틱, 생분해 플라스틱, 플라스틱 연료 등이 대안일까? 리뷰 사이트 등장

플라스틱 문제가 불거지자 식물성 플라스틱, 생분해 플라스틱, 플라스틱을 열분해해 기름(연로)로 뽑아내는 방식, 완전 소각 등의 해결책이 제시되고 있다. 모두 재활용과 새로운 소재로 플라스틱 문제를 한방에 해결할 것 같은 장미향 기대감을 주는데… 과연, 대안일까? 현실적으로 플라스틱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까? 이들은 다 그린워싱일까, 아닐까. break Free from Plastic 에서 플라스틱 솔루션을 냉정하고 과학적으로 리뷰하는 홈페이지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