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니엄] EU 핵심원자재법(CRMA) 초안 발표…“핵심원자재 제3국 의존도 65%↓·재활용 15%↑”

유럽연합(EU)이 재생에너지 설비·전기자동차 배터리 등에 필요한 핵심 원자재 공급망을 다각화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핵심원자재법(CRMA·Critical Raw Materials Act)’ 초안을 발표했다는데요. 안정적인 경제 운영을 위해 원자재 공급망을 중국 등 한 국가에 의존하지 않기 위한 법이기도 하지만, 원자재를 캐지 않고 재활용을 높여 원자재를 충당한다는 점에서 자원순환 법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그 핵심 내용은 전체 기사 보기 (그리니엄)
[액션] 야구도 용기내 다회용품 인증샷과 요구!

⭐️야구도용기내 캠페인 시작⭐️ 전구장 다회용기 도입 확대를 위한 #야구도용기내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야구장이 스포츠 시설 중 페기물 배출량 1위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야구 관람에서 빠질 수 없는 먹거리지만, 포장용기는 대체로 일회용기이고 분리배출도 잘 이뤄지지 않아 일반 쓰레기 취급을 받죠. ???????? 잠실야구장에서 지난 가을 진행되었던 다회용기 시범사업에 많은 야구팬들이 쓰레기 배출 감소를 위해 함께 동참했고, 쓰레기가 줄어든 것을 목격하며, 지속적인 […]
[시민모니터링] 매장 내 일회용품 시민모니터링 결과 ‘과반수 이상 일회용품 규제 위반’

◌ 윤석열 정부 들어 환경부는 작년에 예정된 일회용품(일회용 컵, 수저, 빨대, 봉투 등) 관련 규제를 모두 후퇴시켰다. △4월 1일 시행 예정이던 매장 내 플라스틱 컵 사용금지는 11월 24일까지 계도기간을 가지고 △6월 10일 전국적으로 시행하기로 했던 일회용컵 보증금제는 12월 2일로로 유예하고 △다시 시행지역을 세종·제주 지역으로 축소시켰다. △작년 11월 24일 시행 예정이던 종이컵, 비닐봉투 등 일회용품 규제까지 […]
[일사불란] 매장 내 일회용품 사용 가게, 안전신문고에 신고해요!

????일회용품 사용하는 매장을 지자체에 제보하는 안전신문고 신고 캠페인????♀️ 여러분~! 작년부터 매장 내 일회용품 사용 규제가 시행되었지만 1년 계도기간으로 현재 일회용품 사용하는 매장이 여전히 많은 현실••• 다들 알고 계시죠?????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지자체도 무시못할 ❕안전신문고 캠페인❕ ????안전신문고? 안전신문고는 시민이 신고하면 담당 지자체를 지정하여 시정 조치를 취하는 정부 앱,사이트 입니다. 이 앱을 […]
[그린피스] 대한민국 플라스틱 보고서

최신 대한민국 플라스틱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플라스틱 너무 많이 쓰다보니 무뎌졌지만, 다시 모아놓은 자료를 보니 어마어마하네요. 너 혼자 텀블러 쓰면 뭐해?가 아니라 나 혼자라도 안 하면 정말 이거 어쩌냐 하는 마음이 드는 수치네요. 수치스러운 수치랄까요. 그린피스 플라스틱 보고서 https://www.greenpeace.org/korea/update/25806/report-disposable-korea-ver2-results/ 내용 엿보기 대표적인 일회용 플라스틱 얼마나 소비할까? 조사 결과 모든 항목의 1인당 연간 소비량이 증가했으며, 특히 2017년 […]
[대안] 텀블러 커피 오피스 정기 배송 ‘텀블러리’

매일 아침 모닝 커피 테이크아웃하는 직장인이라면? 회의 때마다 커피 테이크아웃 컵에 사서 짜잔! 세팅한다면? 일회용 테이크아웃 음료 주문할 때는 편해도 결국 쓰레기 처리도 주문자의 몫… 음료가 남아있으면 음료 버리고 빨대 떼고 컵홀더 떼고 컵 캐리어 종이로 분리배출하고… 일회용품 한 두 개도 아니고 치우는 것도 일인데요. 합리적인 가격에 직접 배달도 해주고 내놓기만 하면 가져가고, 먹고 싶게 […]
[보고서] 제주연구원 폐기물 자원 전단계 관리방안 연구 호로록 요약

다소 긴 제목이고 우리와는 멀리 떨어져 들리지만(빅데이터라니!) 좋은 정책적 자료와 데이터가 응축되어 있습니다. 2023년 제주연구원에서 나온 <<빅데이터 기반 제주특별자치도 폐기물 자원 전단계 관리방안 연구>> 보고서를 공유합니다. 제가 가장 ‘삘’ 받은 부분은 역시 폐기물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이고도 검증된 방향은 기업, 소비자에게 모두 책임을 지우는 보증금제 (DRS) 시스템이라는 점이었어요! 소주맥주병을 제외하면 한국에서 처음 소비자 일회용품에 도입되는 일회용 […]
[그리니엄] G20 플라스틱 소비량, 추가 대책 없으면 2050년 4.5억 톤…“순환디자인 도입 필요”

증말 답이 없습니다. 신규 플라스틱 생산량을 줄이고 / 강력한 일회용품 금지 규제와 / 재활용생산자책임제도(EPR)을 강력히 부과해 기업 책임을 강조하는 수 밖에는요. 말랑말랑 캠페인이나 느린 전환으로는 쏟아지는 플라스틱의 문제를 해결할 방안이 없다고, 여러 보고서에서 경고하고 있습니다. 최신 나온 해외 보고서를 그리니엄에서 잘 요약해놓았습니다. 글 공유드려요! 정독을 권합니다. 주요 20개국(G20)의 플라스틱 공급 및 소비가 계속될 경우 2050년 […]
[서울환경연합] 월간 쓰레기! 쓰레기 박사님이 알려주는 2023년 2월 국내외 쓰레기 이슈

서울환경연합의 ‘월간 쓰레기’에는 쓰레기 박사님이 알려주는 2023년 2월 국내외 쓰레기 이슈가 실렸어요! 쓰레기 계(?)를 뒤흔들 환경정책의 정책적 변화가 담겨 있으니 아래 동영상을 시청해주세요. 서울환경연합에서는 이렇게 쓰레기 이슈를 다루는 ‘월간 쓰레기’ 유튜브를 달마다 오픈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2023 2월 월간쓰레기~! ????첫번째 뉴스, EU 포장폐기물 지침 개정안 발표 관련 기사 https://c11.kr/1b1tu 유럽연합 애들이 또 한 발자국 앞서 […]
[해외 동향] 유해한 PVC 수도관 대신 안전한 소재를!

수돗물이 꼬불꼬불 저 멀리 수원에서 우리 수도꼭지까지 흘러오는 루트가 바로 수도관입니다. 예전에는 이 수도관이 금속관으로 만들어졌어요. 그러다 보니 오래 되면 녹이 슬고 수도관끼리 이어진 부분이 새고 금속에서 유출된 납이 수돗물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었습니다. 납은 지능저하, 신경 발달 저하 등 건강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유해 중금속입니다. 이런 문제로 금속 수도관은 PVC 수도관으로 교체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PVC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