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웨이스트유럽 보고서] 일회용 음료병 소재별 탄소중립 가능성

일회용 음료병, 탄소중립 가능할까? (2023년 9월 발표) 제로웨이스트유럽 (Zero Waste Europe)이 Eunomia Research & Consulting 에 의뢰해 발표한 보고서입니다. 포장재 소재에 따른 탄소중립 달성 가능성을 따져봅니다. 소재별 탈탄소화 경로에 대한 Eunomia의 이전 조사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고 해요. 전 세계적으로 음료병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알루미늄 캔, 페트병, 유리병 3가지 소재의 탈탄소화 가능성을 조사하였어요. 2050년까지 1.5°C 아래로 온실가스 […]

[변화] 라트리아에서 음료 보증금제 시행 후 일어난 변화

🌎라트리아에서 전체 음료병에 보증금을 붙인 다음 일어난 변화🌎 라트리아가 어디 있는지도 모르다가 ‘제로웨이스트 유럽’에 나온 정보를 보고 지도를 찾아보았어요. 👀👀 핀란드 헬싱키 아래 에스토니아가 있고 그 아래 라트리아가 있고, 그 옆에 벨라루시가 붙어 있는, 이렇게 말해도 어디가 어딘지 도통 모르겠는, 그런 낯선 나라입니다. 하지만 북유럽 국가답게(?), 2022년 2월 1일 모든 음료와 주류, 시럽 제품의 용기에 […]

[동영상] 플라스틱의 독성 화학 물질로 인한 문제 노출 |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까? 🧐

플라스틱은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요? 바로 땅에서 뽑아낸 석유입니다! 그리고 이 플라스틱은 우리 인간에게, 생태계에 어마어마한 위협이 되고 있죠. 독성 화학 물질이 가득한 플라스틱! IPEN의 영상을 통해 어떤 위험이 있는지, 우리는 어떻게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 확인해 보아요🤓 우리 모두는 플라스틱이 어떻게 지구를 오염시키고 있는지 알고 있지만, 여기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건강 위협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플라스틱은 […]

[해외 뉴스]미세 플라스틱은 치매를 촉진한다

PLASTIC SOUP FOUNDATION 2023. 09. 04. 미세 플라스틱의 인체 위해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 중인데요, 지난 2023년 8월 말 국제 분자 과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에 로드아일랜드 대학의 제이미 로스(Jaime Ross) 교수가 진행한 연구의 충격적인 결과가 게재되었습니다. 📑 미세 플라스틱이 인간과 다른 포유동물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물과 식품에 첨가되어있는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해 심각한 […]

[조선일보][단독] 해양 미세플라스틱 R&D 예산 88% 삭감, “사실상 중도 포기”

기사 원문 :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3/10/12/SWYAHA7H75EUNN5QMCNO5Q2W2Y/ 해양수산부가 작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해양 미세플라스틱 관련 연구개발(R&D) 사업의 내년 예산이 올해보다 87.7% 삭감된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국제 사회가 해양 미세플라스틱을 바다 오염의 주범으로 지목하고 대책 마련을 위한 공조에 나서고 있는데, 우리 정부는 오히려 진행하던 사업조차 중단한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한국 정부는 또 다시 국제사회를 등지고 거꾸로 가려합니다. 국제적으로 해양 미세 플라스틱의 […]

[변화] 유럽, 화장품 포함 미세 플라스틱 사용 금지 강화!

국내에서 화장품에 미세 플라스틱 사용 가능할까요? 아님 금지되었을까요? 😳😳 반은 맞고 반은 아닙니다. 2017년부터 샴푸, 스크럽제처럼 씻어내리는 화장품에는 미세 플라스틱 사용이 금지되었으나 로션이나 색조화장품, 반짝이 등 바르는 화장품에는 여전히 사용할 수 있으니까요. 유럽연합은 미세 플라스틱 규제를 강화해, 유예기간을 두되 화장품 전 제품에 걸쳐 미세 플라스틱 사용을 금지한다고 합니다. 💪💪 화장품 뿐 아니라 인조잔디, 비료, 장난감, […]

[마감] 용기 재사용 탐정단을 찾습니다🕵️ | 2023 플라스틱 어택! 플라스틱 대신 유리병 재사용 캠페인

2023 플라스틱 어택! 플라스틱 대신 유리병 재사용 캠페인 유리병 음료나 먹거리, 참 좋아요. 유리병에서는 미세 플라스틱도, 환경호르몬도 나오지 않아 안심할 수 있어요.  단, 유리병을 일회용처럼 한 번만 사용할 경우에는 가볍고 저렴한 플라스틱보다 탄소발자국이 많아요. 하지만 유리병을 다회용 컵처럼 씻어서 재사용하면, 플라스틱보다 탄소발자국이 적게 나옵니다. 진정한 기업 ESG는 플라스틱 재활용보다 유리병 재사용이 아닐까요? 결국 플라스틱 용기에서는 […]

[보고서] 폐가전 쓰레기에 대한 시민 설문조사 결과 by 녹색연합

👉 응답자의 60% 폐가전 처리에 어려움, 72% 수리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어👉재활용의무대상 제품 외에도 수거 품목과 수거처 확대해야👉중금속 가득한 전자폐기물의 안전한 관리와 희귀금속 자원 확보 위해서는 전자폐기물에 대한 면밀한 관리 필요 녹색연합이 10월 14일 세계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입니다. 가전제품이나 개인 디바이스는 수리하기도 어렵고 버리기도 어렵고 그렇지만 더 많은 전자제품이 소비되는 현실에서 제도 […]

선거 쓰레기 막는 액션!💪 선거 현수막 미 철거 단속 소홀에 대한 공익감사 청구💪

지구를 지키는 배움터(지지배)에서 2024 총선을 앞두고 선거철 쓰레기 문제를 다룬 ‘선 그어’ 캠페인을 하고 있어요. 그 중 하나로 선거일 후 현수막 미 철거 단속 소홀에 대한 공익감사 청구에 참여할 쓰레기 덕후들을 모집하고 있답니다! 최소 300명이 되어야 공익감사 청구가 가능하니 #많관부 지지배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일 후 현수막 미 철거 단속 소홀에 대한 공익감사 청구’를 추진하고 […]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해양오염 주범 미세플라스틱, 최대 출처 ‘타이어 분진’

http://g-enews.com/article/Global-Biz/2023/10/2023100410053867879a1f309431_1 자동차 타이어 분진이 전 세계 해양 오염시키는 미세플라스틱의 78%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 우리 일상에서 플라스틱이 없는 곳을 찾아볼 수 없는 그야말로 ‘플라스틱 시대’에 살고 있는데요, 도시에서 사용한 플라스틱들이 물길을 타고 흘러 바다로 유입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동차의 타이어 분진이 제일 높은 비율로 해양 오염을 시키는 미세 플라스틱의 주요 원인으로 발표되었습니다. 6PPD은 자동차 타이어가 아스팔트와 마찰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