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유니레버 까발리기 uncovered

유니레버 까발리기 uncovered : 유니레버와 플라스틱 오염 문제, 그리고 해결방안 영국 그린피스에서 유니레버의 말로만 플라스틱 줄인다 해놓고 실은 1회용 봉지에 소분해 재활용 안되는 쓰레기를 더 많이 생산하는 다국적 기업 행태를 지적하는 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 사쉐(Sachet) 라고 불리는 1회용 봉지 제품은 쉽게 말해 패스트푸드점에 있는 일회용 케찹 봉지 같은 거에요. (이하 1회용 봉지로 명명) 현실 (문제) 주요 […]
[비즈니스포스트] PVC 위해성 평가 시작된다!

플라스틱은 썩지 않고 환경에 잔류해 미세플라스틱 오염을 일으키는 문제 외에도 유해한 물질이기도 합니다. 플라스틱 중 가장 유해하고 재활용이 안 되는 넘버 원 악당 플라스틱은 뭐니뭐니해도 ‘PVC’인데요. PVC는 흔한 플라스틱 재질로 장난감, 신발, 투명 포장재, 가방은 물론 상하수도 수도관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환경호르몬이 나오고 염소 가스로 인해 재활용도 못 하는 등, 오랫동안 […]
[서울경제] 현대백화점, 식품관 포장서 일회용품 없앤다

현대백화점 프레쉬테이블에서 과일도, 수산물도 사면 모두 손질해서 바로 먹을 수 있게 서비스해주는 거 아셨나요? 수박도 잘라주고, 감도 씨를 빼주고, 고등어도 잘라 조리까지 해서 밀키트 상태로 만들어주는 서비스가 있다고 합니다. 온라인이 따라갈 수 없는 오프라인만의 차별화된 서비스인데요. (저도 아직 경험하지 못한 신세계!) 앞으로 현대백화점 프레쉬테이블에서는 다회용기를 가져오거나, 용기를 구매해야 한다고 합니다. 일회용 플라스틱은 사용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
[레이디경향] 플라스틱 도마 쓸 때마다 ‘미세 플라스틱’ 천 개 나온다

https://lady.khan.co.kr/cooking/article/202312140715001 학술지 ‘생태독성학 및 공중보건(Ecotoxicology and Public Health)’에 발표된 최근 연구 결과는 두 가지 다른 유형의 플라스틱 도마를 거쳐 조리된 식품에서 발견되는 미세 플라스틱의 양을 측정해 충격적인 결과를 냈다.실험은 당근을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든 도마에서 잘게 썬 뒤 미세 플라스틱 총 노출량을 측정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플라스틱 도마로 인해 잘게 썬 당근에 1,114개의 미세 플라스틱 입자가 생겼다. […]
[OCEANA] 리필 어게인, 리필이 답이다

OCEANA 에서 재사용 가능한 음료병으로 전환할 때 이룰 수 있는 멋진 변화를 이야기 합니다. 이미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에 대한 해답은 나와 있습니다. 우리가 이를 얼마나 빨리 실현할 수 있느냐가 관건인 거 같아요. 보고서 내용을 보실까요? Oceana는 수생태계 플라스틱 오염과 포장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2030년까지 재사용 가능한 용기가 10% 포인트 증가하면 1조 개 이상의 일회용 플라스틱 […]
[변화] 유럽 비OECD 국가에 플라스틱 폐기물 수출 금지

유럽연합에서 반가운 소식이 날라왔습니다. 2023년 11월 말 유럽연합은 비OECD국가로 플라스틱 폐기물 수출을 보내는것을 금지하였습니다! victory ✌️✌️ EU 폐기물 운송 규정은 유럽연합 내에서 거래되고 제3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폐기물에 대한 의무를 명시합니다. 플라스틱 폐기물 거래는 환경 및 인간 건강에 심각한 해를 끼치며, 이는 불법 폐기물 밀매와 진짜 재활용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선진국의 폐기물이 제3세계에 옮겨져 환경과 거주민을 […]
[한국일보] 플라스틱 재활용 많아질수록, 재생원료 유해성 문제도 커진다

플라스틱 재활용이 만병통치약이 아닌데, 왜 기업들은 재사용 대신 재활용만 강조하는 것일까요? 실제 안전하게 플라스틱 재활용을 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폐기 후 엄정한 관리가 필요한 것인데요. ㅠㅜ [쓰레기 박사의 쓰레기 이야기] 스웨덴 예테보리대가 중심이 된 국제연구팀은 지난달 11일 인도 등 13개 개발도상국의 플라스틱 재생원료를 분석한 결과 살충제와 의약품 성분 등 수백 가지의 독성 화학물질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3월에는 […]
[위클리어스] 화훼 폐기물의 변신은 무죄!

서울환경연합에서 보내주신 뉴스레터에서 화훼 쓰레기 이야기가 나와 퍼왔어요. 꽃과 나무처럼 식물 소재도 산업적으로 시장에서 사고 팔리면 환경오염을 가져오는군요. ㅠㅠ 한 눈에 보는 주간 환경 이슈버려지는 꽃들 속에서 재활용이 느껴진거야~ 🥀안녕하세요! 위클리어스 킹크랩입니다🌊기쁜 날이나 슬픈 날, 다양한 행사에서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꽃인데요. 이처럼 행사에 사용된 생화들은 시들면 화훼폐기물이 됩니다. 화훼폐기물은 지구온난화와 수질오염에 악영향을 미치는 만큼 […]
[한국일보]’한 번 쓰고 휙’ 버리는 플라스틱 빨대 연 24억 개, 재활용도 안 돼

한국은 ‘플라스틱 빨대 공화국’입니다. 카페에서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하고 요구, 제공하는 것이 매우 당연하죠. 빨대 없이 음용 가능한 음료 뚜겅이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입구에 빨대를 꽂아서 마시는 시민들이 대다수입니다. 한국 사람들이 빨대에 목숨 걸게된 이유가 참 궁금해집니다. 빨대는 사실 음료의 섭취를 자유롭게 하지 못하는 영유아, 노인, 장애인 등을 제외하고 비장애 성인의 경우 필수적인 물품이 아닙니다. 필요하더라도 일회용 […]
[임팩트온]EU, 폐기물 처리할 수 없는 국가에는 폐기물 안보낸다

http://www.impacton.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48 사실 폐기물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이미 발생한 폐기물을 어떻게 처리하는지도 정말 중요합니다. 풀 대신 의류 페기물을 먹고 있는 소, 바다에 버려진 플라스틱을 잔뜩 먹고 죽은 해양 생물들, 쓰레기 더미에서 삶을 사는 지구촌의 어느 인간들. 대부분 ‘선진국’에서 발생한 쓰레기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서 벌어진 안타까움들이겠죠. 쓰레기를 배출한 곳에서 처리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고 바람직하겠으나 그렇지 못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