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신문] 농산물 ‘무포장’ 선별·포장비 절감…가격 안정 도모

농산물 가격 중 사과의 경우 선별비와 포장비가 실제 농산물 가격의 70%를 차지했다니!!! 충격이다!! 벌크 포장을 통해 쓰레기를 줄이고 유통비를 낮춰 농산물 가격도 낮추는 정책이 추진될 예정입니다. 프랑스처럼 채소와 과일에 단계를 정해 무포장 농산물을 확산하고 묶음 포장을 금지하는 정책으로 나아가길 고대해봅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사과 출하 비용에서 선별·포장 작업비가 24.7%, 포장재비는 44.7%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강혜영 농식품부 […]

[코메디닷컴] 인공눈물에서 미세플라스틱 우수수수수

인공눈물과 콘택즈 렌즈를 통해서도 우리 몸이 미세플라스틱에 오염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인공눈물 제품에서 최대 1만 8천 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니… 오소소소소 소오름.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인공눈물 대체 용액에서 각종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 이전에 콘택트 렌즈를 통해서도 안구 표면에 미세플라스틱이 노출되는 사례가 보고되기도 했다.… 분석 결과, 실험에 사용된 모든 인공눈물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됐다. 광학 현미경을 사용한 […]

[유해성] 플라스틱 건강 영향, 취약 계층 더 위험

플라스틱에 첨가된 유해화학물질은 ‘환경호르몬’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특히 건강에 취약한 어린이, 태아, 임산부 등에게 그 영향이 더 크다고 합니다. 플라스틱 오염방지 연합(PPC)에서 정리한 자료를 공개했습니다. 플라스틱과 환경호르몬, 그리고 취약계층 플라스틱은 모든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만, 일부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 큰 피해를 입습니다. 민감한 호르몬과 면역 체계, 발달 중인 신체로 인해 태아, 유아, 어린이, 임산부는 플라스틱의 […]

[그리니엄] “韓 타국보다 대비 늦어” 지속가능성 정보 담긴 EU ‘배터리 여권’ 대비 필요

디지털 배터리 여권(DBP) 제도를 아시나요? 유통되는 전기자동차와 산업용 배터리의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로 수집·저장해 공유하는 제도입니다. 유럽연합에서는 QR 코드를 활용한 디지털 배터리 여권 제도가 2027년 2월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이고, 라벨 형태의 배터리 여권은 오는 2026년부터 바로 시행됩니다. 유럽으로 수출하는 기업은 모두 의무화해야 하는데요. 우리나라도 2022년 11월부터 ‘배터리 얼라이언스’를 통해 준비, 2027년까지 ‘배터리 전주기 이력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단 […]

[보도자료] 이·미용업소에서 혈액 묻은 타올·가운 소독 후 재사용 가능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31577&pWise=sub&pWiseSub=C1 이미용업소에서 혈액이 묻은 타월, 가운을 재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개정내용에 명시되어 있는 세탁, 소독 방법을 거치면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건데요! 개정 전에는 오염 정도와 관계없이 모두 폐기 처분 대상이었다고 합니다. (혈액이 묻으면 폐기해야 하는지 몰랐어요…😱) 깨끗하게 소독 과정을 거친 타월과 가운으로 영업장은 비용도 절감하고, 폐기물도 줄이고! 일석이조 효과네요:)

[토론회] 웨어마이폴; 일회용 선거운동복 해결방안 모색을 위한 밋업

선거운동복을 수거했던 웨어마이폴에서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한다고 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신청 없이도 참여 가능하고,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도 가능합니다:) 13일만 입고 버려지는 일회용 선거복에 대해 의견을 내고 싶거나 궁금하신 분들은 참여해 보세요! 안녕하세요.정치가 만드는 문제 해결의 대안을 찾는 프로젝트 중심의 비영리스타트업 웨어마이폴입니다. 우리는 전국 14곳의 제로웨이스트샵과 협업하여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사용되었던 선거운동복 일부를 […]

[MBC] 9월부터 1천 명 이상 모이는 서울시 행사서 일회용품 사용 전면 금지

https://imnews.imbc.com/news/2024/society/article/6599854_36438.html 다가오는 2024년 9월부터 1,000명 이상이 모이는 서울시 주최 행사에서 일회용품 사용이 금지됩니다! 또한 ‘개인컵 사용 포인트제’도 도입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일회용품이 사라지고 다회용품의 물결이 될 행사의 모습이 기대됩니다:) 시가 주최하는 참여 예상 인원 1천 명 이상 행사에서 일회용품이 금지되고, 행사 계획을 수립할 때 폐기물 감량 계획을 의무적으로 포함해야 합니다.  하반기부터는 ‘개인컵 사용 포인트제’도 시행됩니다.  포인트 […]

[에너지경제] EPR 도입 20년…플라스틱, 재활용률 높였지만 배출량은 막지 못해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40520029349416 99% 화학연료로 만들어지는 플라스틱, 생활계폐기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플라스틱의 배출량은 5년새(2017년-2022년) 79.9% 증가했습니다. EPR을 통해 재활용률도 높였지만, 재활용되지 않고 혼합배출된 양도 많이 늘어났습니다. 재활용을 마냥 긍정적인 의미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그러나 지금은 기후위기! 재활용 신화에 기대기에는 이미 한계치를 넘었습니다. 플라스틱 오염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생산량을 감축해야만 합니다. 생산자에게 폐기물의 회수 및 재활용 책임을 […]

[그리스트] 경제성장과 탄소배출을 분리하는 방법? 경제학자들, ‘그런 거 없습니다’🙅

https://grist.org/economics/how-to-decouple-emissions-from-economic-growth-these-economists-say-you-cant/?utm_medium=email&utm_source=newsletter&utm_campaign=daily 안녕하세요, 예람입니다. 오늘은 그리스트의 기사를 추려서 가져와 보았어요. 🤓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탈성장을 해야만 한다고 합니다. 정부와 기업은 GDP를 높이고 끊임없는 성장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말이죠. 성장과 탄소 배출은 운명공동체일 수밖에 없는 걸까요? 🤔 [그리스트] 경제성장과 탄소배출을 분리하는 방법? 경제학자들, ‘그런 거 없습니다’🙅 거의 200년 동안 경제 활동과 탄소 배출은 변혁적인 글로벌 파워로 함께 […]

[대안] ‘얼싱팩’ 성수동 팝업스토어 리유저블컵 지원사업

얼싱팩에서 다회용 컵을 사용할 성수동 팝업 업체를 모집한다고 합니다! 핫플 of the 핫플 성수는 하루에도 엄청난 팝업스토어가 운영되는데요, 반짝 운영하다 보니 그만큼 많은 폐기물이 발생하게 됩니다. 식음료 행사의 경우 먹거리 포장재도 더해지겠죠. 그래서 프리사이클링을 위해 얼싱팩이 지원사업으로 다회용 컵을 대여, 세척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해요. 올해 하반기 성수에서 음료 관련 팝업을 준비하고 있는 브랜드라면 8282 신청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