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뉴스] “육식 대신 채식, 1회용품 NO”…대구 치맥축제 대안 ‘N맥축제’ 열린다

https://www.pn.or.kr/news/articleView.html?idxno=30692 사실 대구 치맥 축제에서 다회용기를 사용할 것이라는 소식을 접했음에도 관련 소식을 업로드하지 않았는데요, 그 이유는 과도한 육식을 조장하는 행사를 홍보하기 싫었기 때문(?)이랄까요… 그대신 대구 N맥 축제 소식을 가져왔어요! 무포장과 다회용, 탈육식을 지향하는 대구 N맥 축제에서는 다양한 비건 음식들과 함께 무포장 장터, 워크숍, 토론회 등을 즐길 수 있습니다. 기후위기와 동물권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대구 N맥 […]

[라이프인]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상급종합병원 최초로 다회용기 도입

https://www.lifein.news/news/articleView.html?idxno=17446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이 큰 규모의 장례식장 중 처음으로 다회용기를 도입했습니다! 7월 1일부터 다회용기를 사용한다는 안내와 함께 6개월간 시범 운영한다고 해요. 모든 장례식장에서 다회용기를 사용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장례식장 갈 때마다 일회용품 걱정까지 하기 싫습니다…ㅠㅠ)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에서는 혼선을 최소화하고자 올해 12월까지 약 6개월간은 다회용기 사용 시범 기간으로 정하고, 전체 14개 빈소 중 대형 3곳은 의무 사용, […]

[녹색연합] 🌏 플라스틱 A to Z까지! 함께 공부합니다.🌏

🌏 플라스틱 A to Z까지! 함께 공부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오염 문제 해결에 목소리가 모아지고 있습니다. 최근 정부의 플라스틱과 일회용품 규제가 완화되면서 후퇴된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가 높습니다. 정부가 정책을 제대로 이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이 요구하고 행동해야 합니다. 우리가 사회를 바꾸는 목소리를 내려면 내용을 자세히 알아야 하겠지요^^ 플라스틱의 A부터 Z까지 함께 공부합니다. 플라스틱은 기후변화와 어떤 […]

[그리니엄] 세계 섬유 폐기물의 80%가 버려지는 섬유유출, 어떻게 해야 할까

자원순환을 연구하는 ‘엘렌맥아더재단’의 2024년 ‘섬유에 대한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정책 경계 확장’ 보고서를 그리니엄에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놓았습니다. 다음은 그 내용을 인용한 것입니다. 섬유 폐기물, 왜 문제일까 섬유폐기물 문제 원인 “박리다매·일회용 디자인·수거 인프라 부족” 🗑️ 보고서는 막대한 섬유폐기물이 발생하는 원인을 3가지로 꼽았습니다. 먼저 패션 산업 자체가 생산량과 수익이 연동돼 있습니다. 일종의 ‘박리다매(薄利多賣)’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패스트패션의 등장으로 더 공고화됐습니다. 패스트패션 브랜드 쉬인이 […]

[대안] 의료가운, 병원에서도 다회용이 가능하다!

일회용 의료 가운 대신 빨아서 75회 정도 재사용 하는 친환경 의료가운을 생산하고 서비스하는 업체 스테리케어가 있습니다. 알고 계셨나요? 기사에 따르면 의료폐기물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데요.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 등에 따르면 전국 환경폐기물 연간 발생량은 2022년 22만9천503t(톤)으로 2020년 19만5천351t보다 17.5% 늘었다고 합니다. 늘어나는 의료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서 전체 의료폐기물의 97.5%는 소각하는 방식으로 처리됩니다. 하지만 전국에 전용소각시설을 갖춘 곳은 13곳에 […]

[참여] ‘수리하는 자들’에서 여러분의 고쳐쓰기 일기를 자랑해 보세요!

이런 건 또 가열차게 참여하는 것이 쓰레기 덕후의 예절 ㅎㅎ —————- 구멍 난 애착 티셔츠, 지퍼 손잡이가 떨어진 가방, 클릭이 안 되는 마우스, 깨진 도자기, 우리 강아지가 찢어놓은 최애 장난감😂직접 고쳐본 적 있는 사람 손!!!🙋‍♂️넘넘 뿌듯해서 어디든 자랑하고 싶지 않나요? ‘수리하는 자들’에서 여러분의 고쳐쓰기 일기를 자랑해 보세요! ☀️고쳐쓰기 일기를 써주신 분들 중 우수 참여자 20분을 […]

[라이프인] 종이팩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품목 분류에 주목할 것!

https://www.lifein.news/news/articleView.html?idxno=17336 종이팩은 종이일까요? 정답은… 종이가 아닙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종이류와 종이팩류는 다른 재질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분리배출을 할 때도 종이와 종이팩은 분리해서 배출해야 하는데, 종이팩류만 분리배출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니 대부분의 시민들이 종이와 함께 배출합니다. 종이팩의 분리 회수에 대한 목소리를 몇 년 전부터 내고 있지만, 아직까지 종이팩 회수 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많은 제웨숍이나 생협에서 […]

[그리니엄] 캐나다 허드슨만 일대 북극곰 2030년대 멸종…“기후변화로 해빙 기간 늘고, 사냥 가능성 줄어”

환경문제의 대표적인 피해동물로 꼽히던 북극곰. 캐나다 허드슨만 일대에 사는 북극곰들이 2030년대에 결국 멸종할 것으로 보입니다. 캐나다 북극해는 가장 많은 북극곰들이 살고 있는 서식지인데요, 기후 변화로 인해 생존이 어려워져 이들의 생존 가능성이 0%에 이른다는 것입니다. 인간들의 이기심으로 인해 많은 생명들이 생존의 위험과 더불어 멸종의 위험까지 겪고 있습니다. 연구팀에 의하면, 캐나다 허드슨만 동부 해빙(海氷)은 지난 5월 모두 […]

[동영상] 독일 풀은 돈이 된다길래 찾아가봤다 | 침수도시 ep.05 베를린

너무나 흥미로운 내용의 영상을 소개합니다! (내용을 말할 것도 없고 편집 스타일까지 깔끔하고 재미있고… 바로 구독했어요…) 독일의 빗물요금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영상인데요 ‘빗물요금’이라는 말이 한 번에 이해되는 단어는 아니죠. ‘빗물에 왜 돈을 내야 해?’라는 생각이 절로 듭니다만, 빗물을 처리하는 시스템을 운용하는데도 비용이 필요하니 이 비용을 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물이 통과되지 않는 불투수면의 면적만큼 빗물 요금을 […]

[연합뉴스] ‘친환경 K팝 앨범’ 컨설팅 나선 환경부…실효성은 ‘글쎄’

https://m.yna.co.kr/amp/view/AKR20240614109700530 K팝을 좋아하는 팬들이라면 내 최애 그룹의 앨범 한 장씩은 가지고 있을 겁니다. 팬사인회에서 직접 만나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요. 그런데 이 팬사인회는 어떻게 응모할 수 있는지 아시나요? 바로 앨범을 구매하는 것입니다. 당첨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더 많은 음반을 구매하는 것이 일종의 ‘팬 문화’로 자리 잡은 지 오래입니다. 그렇게 구매한 음반은 팬덤의 규모에 따라 1,000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