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당신이 폭염에도 플라스틱 물병을 얼려 마시지 말아야 하는 이유

https://www.khan.co.kr/environment/environment-general/article/202408111523001

지금까지 미세 플라스틱은 높은 온도에서 많은 양이 용출된다고 알고 있었습니다만,

영하의 온도에서 동결시킨 후 해동 시 용출되는 미세 플라스틱의 양도 어마어마하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더운 여름철, 많은 사람들이 병입수(생수)를 얼려 마시곤 하는데 더위를 피하는 것도 좋지만 ‘안전한 물’을 마시는 것 또한 중요하겠지요!

11일 중국 저장대, 미국 버지니아공대 등 연구진이 지난 2월 국제학술지 ‘유해물질 저널’에 게재한 논문을 보면 물이 든 플라스틱 용기를 영하의 온도에서 동결한 후 해동시킬 때 용출되는 미세플라스틱 등 유해물질의 양이 60도로 가열했을 때 나오는 양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동결·해동을 반복한 플라스틱 용기 내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하루에 70~220여개 정도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나왔다. 가열했을 때는 하루에 70~130여개 정도, 염소 소독을 했을 때는 60~160여개 정도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용출됐다.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Uncategorized

미세 플라스틱이 나오는 식품용기, 지퍼백과 배달음식!

미세 플라스틱이 어디서 나오겠어요. 플라스틱 용기에서 나옵니다. 사필귀정이랄까요. 뉴욕타임즈는 지퍼백에 음식이나 식재료를 보관하는 광고가 건강을 해칠 수 있다며 집단소송을 제기한 뉴스를 내보냈고, 헤럴드경제는 미세 플라스틱에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