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뉴스] 미, 캘리포니아 수리할 권리 법안 통과!

애플과 구글 등 초거대 글로벌 IT 기업이 위치한 캘리포니아에서 ‘수리할 권리’법이 통과되었습니다. 👏👏 2023년 10월, 캘리포니아 주지사 개빈 뉴섬(Gavin Newsom)은 SB244, 즉 수리 권리법(Right to Repair Act)에 서명했습니다 .

출처 https://www.plasticpollutioncoalition.org/blog/2023/11/9/in-california-its-now-your-right-to-repair

이 법안은 소비자와 수리점을 위한 전자제품 및 가전제품 수리에 필요한 접근을 열어 젖혔습니다. 전자제품이 더 이상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규정한 것입니다.

교체보다는 수리를 통해 전자 제품을 더 오래 사용하면 매립지로 보내지는 전자 폐기물의 양을 줄이고 자원 생산과 채굴량을 줄이며, 궁극적으로 인간과 지구의 건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CALPIRG에 따르면, 수리권리법은 수리 시장에 더 많은 경쟁과 소비자 선택권을 가져오고 캘리포니아 주민들에게 연간 약 50억 달러(총 금액)를 절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미국에서는 작년에 뉴욕 , 콜로라도 , 미네소타는 모두 자체 수리법을 통과시켰으며. 2023년에는 30개 주에서 관련 법안을 고려했거나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캘리포니아에서 ‘수리법’이 통과됨에 따라 2021년 7월 1일 이후에 제조 및 판매되는 전자제품부터 적용되어 2024년 7월부터 시행됩니다. 앞으로 100달러 이상의 제품의 경우 전자제품 제조업체는 생산 후 최소 7년 동안 제품 설명서 등의 문서, 부품, 장비, 소프트웨어 등을 갖추고 수리할 권리를 보장해야 합니다. (100달러 미만의 전자제품의 경우 3년). 캘리포니아의 새로운 법은 대부분의 전자제품 및 가전제품을 포괄하며, 게임 콘솔 및 경보 시스템과 같은 일부 품목만 면제하고 있습니다.

전체 기사 보기

https://www.plasticpollutioncoalition.org/blog/2023/11/9/in-california-its-now-your-right-to-repair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Uncategorized

미세 플라스틱이 나오는 식품용기, 지퍼백과 배달음식!

미세 플라스틱이 어디서 나오겠어요. 플라스틱 용기에서 나옵니다. 사필귀정이랄까요. 뉴욕타임즈는 지퍼백에 음식이나 식재료를 보관하는 광고가 건강을 해칠 수 있다며 집단소송을 제기한 뉴스를 내보냈고, 헤럴드경제는 미세 플라스틱에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