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뉴스] 2025년 한강공원 일회용품 반입 막는다

서울시가 일회용품 사용 절감을 위해 몇 가지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2025년부터는 한강 전역에서 일회용 배달 용기의 반입이 불가한데요, 그렇다면 한강에서 판매되는 ‘한강 라면’, 노점상, 편의점 등의 음식물 등은 허용되는지 궁금하네요.

2025년부턴 일회용 컵 사용 시 보증금 300원을 부과

– 2023년 9월부터 시범운영 중인 ‘개인 컵 추가 할인제’ 촉진

다회용기에 음식을 담아주는 ‘제로식당 서비스’도 현재 강남 서초 등 10개 자치구에서 서울 전역으로 확대

– 배달앱에서 다회용기로 주문 가능한 지역을 26년까지 서울 전역으로 확대, 다회용 용기로만 음식을 배달하는 식당도 26년까지 5천 개소로 늘릴 것

2025년 한강공원 전역 일회용 배달용기 반입 금지

– 2023년 9월부터 시범 시행 중인 잠수교 일대 공원을 시작으로, 내년엔 뚝섬과 반포, 2년 뒤인 2025년엔 한강공원 전역이 반입 금지 대상

다회용기 사용 장례식장 확대

– 2023년 7월 서울의료원에서 시작된 다회용기 사용이 64개 민간 장례식장으로 점차 확대

투명 공백

일회용 컵 보증금제의 경우 이미 시행되어야 하는 정책인데 당장 준비해서 시행해야 2025년까지 정착이 될 텐데 2025년부터 시행하겠다고 하면 그동안은 이런 일회용 컵 더미에서 살아야 한다는 건가요😭💢

감사원 결과도 나온 마당에 2025년까지 완전한 도입을 목표하는 것이 아닌 2025년부터 시작하겠다는 점이 굉장히 아쉽습니다.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Uncategorized

미세 플라스틱이 나오는 식품용기, 지퍼백과 배달음식!

미세 플라스틱이 어디서 나오겠어요. 플라스틱 용기에서 나옵니다. 사필귀정이랄까요. 뉴욕타임즈는 지퍼백에 음식이나 식재료를 보관하는 광고가 건강을 해칠 수 있다며 집단소송을 제기한 뉴스를 내보냈고, 헤럴드경제는 미세 플라스틱에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