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옷 사지 마!” 수선해 입으면 3만5000원 준다는 ‘패션의 국가’ 프랑스

이거이야말로 진실로 이르노니, 패셔니스타 파리지앵 부띠끄 스타일이라고 할 수 밖에 없는 간지 정책입니다.

기사의 핵심 내용을 공유드립니다. 이러한 제도 아래 수선 사업이 부흥하고 수선해서 더욱 멋지고 오래된 빈티지를 입은 파리지앵들이 패션을 선도해나가길! 국내에도 수리권 논의가 시작되었는데요. 전자제품을 넘어 옷, 신발 등 다양한 수리의 이야기가 펼쳐지면 좋겠습니다.

한국일보 기사 화면 캡처

올해 10월부터 5년간 1억5,400만 유로 계획
‘박리다매’ 패스트 패션 폐기물 저감 노려

한국일보 기사 읽기 (김현종 기자)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71316130005823?did=NA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Uncategorized

미세 플라스틱이 나오는 식품용기, 지퍼백과 배달음식!

미세 플라스틱이 어디서 나오겠어요. 플라스틱 용기에서 나옵니다. 사필귀정이랄까요. 뉴욕타임즈는 지퍼백에 음식이나 식재료를 보관하는 광고가 건강을 해칠 수 있다며 집단소송을 제기한 뉴스를 내보냈고, 헤럴드경제는 미세 플라스틱에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