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미칼뉴스] 플라스틱 도마, 식품과 함께 먹는 미세 플라스틱 공급원?

<환경호르몬의 습격 >이라는 다큐를 보고 많은 사람들이 플라스틱 반찬통을 스텐이나 유리로 바꿨는데요. 이제 미세플라스틱 섭취를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 도마를 교체해야겠습니다. 플라스틱 도마를 사용할 때 미세플라스틱이 떨어져 나오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플라스틱 도마, 식품과 함께 먹는 미세 플라스틱 공급원?

  • 지난달 미국화학학회(ACS) 간행물 ‘생태독성학 및 공중보건’에 게시된 연구
  • 1인당 연간 폴리에틸렌 도마에서 7.4–50.7g, 폴리프로필렌 도마에서 49.5g의 미세 플라스틱 노출 추정
  • 한 사람이 연간 1450만~7190만 개의 폴리에틸렌 미세 플라스틱에 노출 가능 추정

플라스틱 도마는 물기를 흡수하지 않아 세균에 강하고 냄새도 잘 배지 않아 위생적이라는 장점이 있어 주부들에게 인기가 있는 편이다. 보통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이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수지 등을 소재로 한다. …

식품을 칼로 자르기가 진행됨에 따라 자르는 스타일이 미세 플라스틱 방출에 미치는 영향이 분명해졌다고 했다. 폴리프로필렌 도마에서 방출되는 미세 플라스틱의 양과 개수는 폴리에틸렌보다 각각 5~60%와 14~71% 더 많았다.

연구팀은 폴리에틸렌 도마에서 자르는 것은 야채 없이 자르는 것보다 야채와 함께 있는 미세 플라스틱의 더 많은 배출과 관련이 있다고 말한다.

기사 읽기

http://www.chemica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76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소셜클럽

[우산] 재활용 소재 활용 모듈형 우산 / 재사용 수리 우산

우산은 생활 필수품이지만, 재활용이 어렵고 수리하는 곳이 많지 않고 요즘은 일회용 비닐우산까지 판을 치는 형국인데요. 제로웨이스트를 위해서 어떤 우산을 구입해서 사용해야 할까요? 다행히 국내에서도 모든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