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일본의 성인용 기저귀 재활용

고령화 사회가 급속히 진행되는 일본에서 급증하는 성인 기저귀를 연료로 재활용하려고 노력한다고 한다. 일본보다 더 빠른 속도로 초초 고령화로 날라가는 우리도 준비가 필요하지 않을까.

기사에 나온 말처럼 “칵테일 빨대와 우산 장식물은 쉽게 없앨 수 있지만, 기저귀를 없앨 수는 없다”

호우키 지역 당국은 공중목욕탕의 난방비 등을 줄이기 위해 마을에 있는 소각장 2곳 중 한 곳을 기저귀 재활용 공장으로 전환해 연료를 생산하기로 했다. 수거된 기저귀는 350도 열에서 24시간 동안 살균·발효된다. 기저귀는 보풀로 바뀌고 기계 처리를 거쳐 2인치 길이의 회색 알갱이, 즉 펠릿 연료가 된다. 온천에서 작업자가 큰 깔때기에 펠릿을 부으면, 이는 플라스틱 튜브를 통해 보일러로 전해진다. 태워진 펠릿은 극도의 열을 내며 목욕물을 데운다. 이 과정에서 탄소가 배출되지만 보일러 원료로 쓰였던 석탄이나 석유 가스보다 배출량이 적다고 정부는 밝혔다.

급속하게 고령화되고 있는 일본에서 기저귀 쓰레기 문제는 골칫거리다. 일본의 65세 이상 고령자 비율은 지난 9월15일 기준 29.1%로, 201개 국가·지역 가운데 가장 높다. 기저귀 주 사용자는 요실금이 있는 고령층으로, 일본 환경부에 따르면 성인용 기저귀 쓰레기양은 지난 5년 동안 13% 가까이 증가해 연간 150만톤에 달한다. 기저귀에는 플라스틱, 면 펄프가 다량 함유돼 있는데, 오염되면 당초 무게의 4배까지 부풀어 오르기 때문에 다른 폐기물보다 태우는 데 더 많은 연료가 든다. 고비용, 다량의 탄소 배출로 이어진다. 고령 인구가 전체의 3분의 1에 달하는 2030년까지 성인용 기저귀 쓰레기는 23% 더 늘 것으로 전망됐다. 크레메나 엠 론코바 세계은행 도시개발 선임 전문가는 “칵테일 빨대와 우산 장식물은 쉽게 없앨 수 있지만, 기저귀를 없앨 수는 없다”고 말했다.

[출처] 전체 기사 보기

https://m.khan.co.kr/world/japan/article/202111161723001#c2b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Uncategorized

미세 플라스틱이 나오는 식품용기, 지퍼백과 배달음식!

미세 플라스틱이 어디서 나오겠어요. 플라스틱 용기에서 나옵니다. 사필귀정이랄까요. 뉴욕타임즈는 지퍼백에 음식이나 식재료를 보관하는 광고가 건강을 해칠 수 있다며 집단소송을 제기한 뉴스를 내보냈고, 헤럴드경제는 미세 플라스틱에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