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쓰레기] aT ‘세상을 바꾸는 한 끼’ 실천

저도 출근해서 구내식당서 밥을 먹으면 왜 직원들이 이렇게 습관적으로 음식을 남기는지 아까워서 한참 쳐다보고는 합니다. 그래서 다 먹은 식판을 놓는 곳에 서 있다가 빈그룻을 실천한 사람에게 선물을 주는 이벤트를 열어보고 싶다고 생각은 했지만, 매번 밥을 먹고 완장 차고 2시간 씩 다른 분들 식판 검사를 할 수도 없는 노릇이라… 머리로만 상상을 했죠. 에휴…

그런데 그 역할을 해주는 인공지능 제로 웨이스트, 제로 헝거 기계가 선보였네요. 식판을 3D로 스캔해 남은 음식물을 양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기계는 비싸겠지만, 기계에만 의존하면 요식행위로 그치겠지만! 이 기계를 설치하고 선물도 주고 캠페인도 하고 왜 음식물 쓰레기가 정말 문제인지 사내에서 알리는 홍보도 하고 제로 웨이스트 구내식당 대회도 열면, 즐겁게 빈그룻 운동이 퍼져 나갈 수 있지 않을까요?

기사출처: 서울파이낸스 이주연 기자 2020. 10.16

https://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398195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Uncategorized

미세 플라스틱이 나오는 식품용기, 지퍼백과 배달음식!

미세 플라스틱이 어디서 나오겠어요. 플라스틱 용기에서 나옵니다. 사필귀정이랄까요. 뉴욕타임즈는 지퍼백에 음식이나 식재료를 보관하는 광고가 건강을 해칠 수 있다며 집단소송을 제기한 뉴스를 내보냈고, 헤럴드경제는 미세 플라스틱에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