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당신이 하던 분리수거 방법은 뼛속까지 틀렸다

왜 재활용이 플라스틱 프리의 대안이 될 수 없는지 쉽게 잘 설명한 기사입니다. 그리고 진짜 분리수거를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방법이 들어 있습니다.

목요일 아침 잠에서 깨어나면서부터 `오늘은 분리수거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저를 사로잡습니다. 왜냐하면 한 주라도 분리수거를 하지 않으면 저희 집은 쓰레기더미로 가득 찰 것이기 때문입니다.

큰 부피를 차지하는 생수 페트병, 각종 택배박스, 뭘 사든 나오는 비닐까지.. 매주 목요일마다 버리는데 월요일이면 어느새 쓰레기가 가득 찹니다.

하지만 종이, 플라스틱, 비닐, 유리, 캔 등으로 쓰레기들을 하나하나 선별하다 보면 `지구를 위해 좋은 일`을 하고 있다는 뿌듯함을 느끼기도 합니다. 그런데 최근 제가 하던 분리수거 방식이 틀렸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렇게 분리수거를 하면 모두 재활용이 되겠지`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분리수거를 한 것의 상당수가 소각장으로 가고, 분리수거를 했다고 한 것이 오히려 재활용업체에는 도움이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쓰레기를 `재활용해서 만들어지는 원료(recycled material)`가 `새롭게 만들어진 원료(virgin material)`와 비교해서 얼마나 저렴하고 품질이 우수하냐가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아무리 분리수거가 친환경적이고 필요한 것이라고 해도 실제로 중요한 것은 `재활용 원료`가 `신원료`에 비해서 얼마나 싸고 품질이 중요한지가 민간 업체들에는 중요합니다.

이렇게 종이와 플라스틱을 제대로 분리수거하는 방법을 정리하다 보니 이런 생각이 자연스럽게 듭니다. 제가 분리수거를 철저히 하는 것은 결국 기업들이 정상적으로 지불해야 할 돈을 지불하지 않아서가 아닐까요?

사실 우리나라는 이미 분리수거가 굉장히 잘되는 나라인데 재활용 업체나 제조업체들을 위해 우리가 이런 것까지 해줘야 하는 것일까요.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Uncategorized

미세 플라스틱이 나오는 식품용기, 지퍼백과 배달음식!

미세 플라스틱이 어디서 나오겠어요. 플라스틱 용기에서 나옵니다. 사필귀정이랄까요. 뉴욕타임즈는 지퍼백에 음식이나 식재료를 보관하는 광고가 건강을 해칠 수 있다며 집단소송을 제기한 뉴스를 내보냈고, 헤럴드경제는 미세 플라스틱에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