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EP] 오염에서 해결까지: 해양 쓰레기 및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글로벌 평가

유엔환경계획 UNEP

COP26을 앞두고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플라스틱 오염 글로벌 평가 보고서 발간

플라스틱을 대폭 줄이는 순환 경제로의 구조적인 전환이 중요하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화석 연료에서 재생 에너지로의 가속화된 전환
  • 화석 연료 보조금 철폐
  • 순환경제로의 전환

플라스틱 오염

해양쓰레기 중 가장 크고 가장 유해하며 지속적으로 전체 해양쓰레기의 85% 이상 차지

지금 속도라면 현재 매년 바다로 유입되는 약 1,100만 톤의 플라스틱이 향후 20년 동안 3배가 될 것: 2040년까지 매년 2,300만~3,700만 톤의 플라스틱의 바다 유입

이는 해안선 1미터당 플라스틱 50kg에 해당

독성

  • 생태계 파괴, 해양동물 사망 및 고통
  • 사람: 공기, 음식,물, 피부를 통해 미세플라스틱 체내 유입, 인체의 폐, 간, 비장, 신장 뿐 아니라 신생아 태반에서 미세 플라스틱 검출
  • 메틸수은, 가소제 및 난연제와 같은 플라스틱 관련 화학 물질의 신체 유입, 특히 여성의 건강에 영향
  • 비스페놀 A, 프탈레이트 및 폴리염화비페닐(PCB)과 같은 플라스틱에서 발견되는 유해물질 체내 유입
  • 내분비계 장애(환경호르몬), 발달 장애, 생식 이상 및 발암성 관련

플라스틱과 기후 위기

플라스틱은 주로 화석연료인 석유와 가스에서 생산

전체 수명 주기에 걸쳐 온실 가스 배출

플라스틱에서 배출되는 2015년 온실 가스 배출량은 1.7기가톤(GtCO2e), 2050년까지 6.5기가톤(GtCO2e) 으로 전 세계 탄소 예산의 15%로 증가 (2021년 COP26 자료)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을 시 플라스틱 생산, 재활용 및 소각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2040년까지 온난화를 섭씨 1.5도로 제한하기 위한 파리협정의 총 허용 배출량의 19% 차지

플라스틱은 지구에서 가장 큰 탄소 흡수원인 바다를 손상시켜 탄소 흡수원으로서 기능하지 못하게 함 (바다 대기에 가둔 탄소의 90%와 산업 혁명 이후 생성된 이산화탄소의 1/3을 저장)

해결!

우리가 이미 지닌 기술과 방법을 제대로 활용하면 향후 20년 간 바다로 유입되는 80%의 플라스틱 감소가 가능하다!

우리가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솔루션은 이미 존재한다.

  • 글로벌 및 지역의 해양 보호 협약
  •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국가적 금지와 규제
  • 플라스틱 제품 저감과 재디자인 및 재사용 서비스를 창출하는 기업 및 정부의 노력
  • 총 플라스틱 생산량 감소

보도자료

https://www.unep.org/news-and-stories/press-release/comprehensive-assessment-marine-litter-and-plastic-pollution

내용 요약 및 시각화 자료

https://www.unep.org/interactive/pollution-to-solution/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소셜클럽

[쇼핑] 재활용 소재를 사용한 분리배출 봉지와 강아지 배변봉투

‘재활용’ 마크가 붙으면 친환경이라고 생각하지만,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말인지, 재활용 소재를 사용한 제품이라는 뜻인지 따져보아야 합니다. 영어로 하면 확실히 차이가 나는데요.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뜻의 ‘recyclable’과 재활용

동영상

[동영상] 쓰레기 소각장이냐, 전처리 시설이냐!

쓰레기 소각장(자원회수시설) 신설을 앞두고 예정지인 마포구에서 격렬한 주민 반대가 있는 등 문제는 있되 답은 보이지 않는 상황입니다. ‘언더스탠딩’에 출연한 홍수열 쓰레기박사님께서 쓰레기 소각장에 대한 의견을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