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뉴스] 2025년 한강공원 일회용품 반입 막는다

서울시가 일회용품 사용 절감을 위해 몇 가지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2025년부터는 한강 전역에서 일회용 배달 용기의 반입이 불가한데요, 그렇다면 한강에서 판매되는 ‘한강 라면’, 노점상, 편의점 등의 음식물 등은 허용되는지 궁금하네요.

2025년부턴 일회용 컵 사용 시 보증금 300원을 부과

– 2023년 9월부터 시범운영 중인 ‘개인 컵 추가 할인제’ 촉진

다회용기에 음식을 담아주는 ‘제로식당 서비스’도 현재 강남 서초 등 10개 자치구에서 서울 전역으로 확대

– 배달앱에서 다회용기로 주문 가능한 지역을 26년까지 서울 전역으로 확대, 다회용 용기로만 음식을 배달하는 식당도 26년까지 5천 개소로 늘릴 것

2025년 한강공원 전역 일회용 배달용기 반입 금지

– 2023년 9월부터 시범 시행 중인 잠수교 일대 공원을 시작으로, 내년엔 뚝섬과 반포, 2년 뒤인 2025년엔 한강공원 전역이 반입 금지 대상

다회용기 사용 장례식장 확대

– 2023년 7월 서울의료원에서 시작된 다회용기 사용이 64개 민간 장례식장으로 점차 확대

투명 공백

일회용 컵 보증금제의 경우 이미 시행되어야 하는 정책인데 당장 준비해서 시행해야 2025년까지 정착이 될 텐데 2025년부터 시행하겠다고 하면 그동안은 이런 일회용 컵 더미에서 살아야 한다는 건가요😭💢

감사원 결과도 나온 마당에 2025년까지 완전한 도입을 목표하는 것이 아닌 2025년부터 시작하겠다는 점이 굉장히 아쉽습니다.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소셜클럽

어떤 칫솔이 환경적으로 가장 나을까?

제로웨이스트 대표 아이템하면, 대나무 칫솔이나 고체치약이 딱 떠오른다. 일회용 플라스틱이나 새 플라스틱 용기를 대체하는 일상 생활용품으로서 젠더노소 누구나 사용하는 아이템. 왜 대나무 칫솔일까? 1) 플라스틱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