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바비’의 흥행으로 바비 인형의 판매가 급격히 증가했다고 합니다. 그레타 거윅 감독의 영화는 ‘바비’를 차용해 여성의 임파워먼트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영화 ‘바비’ 자체는 EMA(환경 미디어 인증) 골드 인증을 받았습니다. 이는 출연진과 제작진이 제작 전반에 걸쳐 지속가능한 영화 제작을 위해 노력했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마고 로비 바비’가 출시되자마자 아마존에서 판매 1위로 등극했다능... ???????? (마고 로비님, 치명적으로 매력적인 듯) 플라스틱 인형 바비를 사지 마시고, 영화 바비를 여러 번 보시거나 마고 로비 님이 출연한 주옥과 같은 영화를 보세요. 저는 특히 그분이 나오시지는 않아도 제작한 영화 ‘프랑미싱 영 우먼’을 추천합니다. ????????
영화 바비를 통해 젠더 이슈와 여성의 삶을 바라보는 것을 바비 인형의 물성인 ‘플라스틱’에 주목합니다. 바비 인형, 아무리 핑크핑크해도 결국은 플라스틱이었어! 플라스틱오반대연합(Plastic Pollution Coalition)에서 나온 글을 공유합니다.????????

바비 인형도 플라스틱이었어
- 플라스틱에 든 화학 첨가제와 유해화학물질 문제, 특히 어린이 건강에 주의!
-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된 DINCH 역시 비슷한 유해성을 보임
- 나노 미세플라스틱이 떨어져 나올 수 있고, 플라스틱 장난감을 접촉하는 경우 흡입하거나 섭취할 수 있음 (특히 장난감을 입에 대는 경우(인형과 뽀뽀 금지입니다!) ????????
- 새집증후군으로 유명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이 플라스틱 장난감에서 배출됨. 눈, 코, 목 자극은 물론 장기간 노출 시 두통, 장기 손상, 잠재적으로 암 등 여러 건강 문제를 일으키는 유해 성분!
- 플라스틱 장난감에는 여러 가지 색을 내기 위해 납이 사용되기도 함. 납은 아이들 지능을 낮추는 대표적인 신경독성물질임
- 플라스틱 장난감에 들어간 유해화학성분에 대한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음
- 오늘날 어린이 장난감의 약 90%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짐
- 플라스틱 장난감은 복합소재로 재활용되기 힘들어 쓰레기를 생산함
- 플라스틱을 생산하기 위해 원료인 석유를 추출하는 과정에서부터 생태계와 지역사회 오염, 건강 문제를 일으킴
- 바비 인형 뿐 아니라 악세사리 (바비 옷, 신발, 장신구 등) 등도 합성섬유로 플라스틱의 범주에 해당하며, 자주 사용하고 버리기 때문에 패스트 패션의 문제로 연결됨

원문 보기 (참고문헌이 주르륵 달린, 좋은 자료 ????)
같이 보면 좋을 자료
- 지속가능한 영화 제작 인증 EMA 과 ‘플라스틱 대본 뒤집기'(Flip the Script Iniciative) 이니셔티브 https://www.plasticpollutioncoalition.org/flipthescript
- 재활용 장난감 수거처 : 사단법인 더트루 http://www.tru.or.kr/, 코끼리공장 https://www.kogongj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