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종이류 분리배출, 이렇게!

쓰레기 대란이 폐지 대란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폐지 대란에 대해서는 다음의 칼럼들을 참고해주세요. ‘찐’ 재활용을 위해서는 찐 분리배출! 그리하여 우리가 시민으로서, 소비자로서 해야 할 일은 바로 종이가 종이로 다시 태어나도록, 재활용이 되도록 제대로 분리배출하는 길입니다. 다음 문제를 풀어볼까요? O X 로 답해보아요. 비 오는 날 종이류를 분리배출했다. 반들반들해서 코팅된 종이처럼 보여서 종량제 봉투에 버렸다. 우편물 편지지 […]
[정책] 2019.12.25 재활용 등급제 시행! 올레!!

기쁘다 “재활용 포장 등급제 오셨네”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환경부)이 개정되어 재활용 등급제가 시행됩니다. 포장재의 재활용의무생산자는 해당 포장재에 대하여 포장재 재질ㆍ구조 평가 기준에 따라 자체평가를 실시한 후 포장재 재질ㆍ구조 평가 신청서에 자체평가 결과를 첨부하여 한국환경공단에 제출해야 합니다. 그에 따라 몸체, 라벨, 마개 및 잡자재 등을 재활용 여부에 따라 평가하여 포장재 재활용 용이성이 최우수, 우수, 보통, […]
[대안] 텀블러 커피 오피스 정기 배송 ‘텀블러리’

매일 아침 모닝 커피 테이크아웃하는 직장인이라면? 회의 때마다 커피 테이크아웃 컵에 사서 짜잔! 세팅한다면? 일회용 테이크아웃 음료 주문할 때는 편해도 결국 쓰레기 처리도 주문자의 몫… 음료가 남아있으면 음료 버리고 빨대 떼고 컵홀더 떼고 컵 캐리어 종이로 분리배출하고… 일회용품 한 두 개도 아니고 치우는 것도 일인데요. 합리적인 가격에 직접 배달도 해주고 내놓기만 하면 가져가고, 먹고 싶게 […]
[보고서] 제주연구원 폐기물 자원 전단계 관리방안 연구 호로록 요약

다소 긴 제목이고 우리와는 멀리 떨어져 들리지만(빅데이터라니!) 좋은 정책적 자료와 데이터가 응축되어 있습니다. 2023년 제주연구원에서 나온 <<빅데이터 기반 제주특별자치도 폐기물 자원 전단계 관리방안 연구>> 보고서를 공유합니다. 제가 가장 ‘삘’ 받은 부분은 역시 폐기물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이고도 검증된 방향은 기업, 소비자에게 모두 책임을 지우는 보증금제 (DRS) 시스템이라는 점이었어요! 소주맥주병을 제외하면 한국에서 처음 소비자 일회용품에 도입되는 일회용 […]
[그리니엄] G20 플라스틱 소비량, 추가 대책 없으면 2050년 4.5억 톤…“순환디자인 도입 필요”

증말 답이 없습니다. 신규 플라스틱 생산량을 줄이고 / 강력한 일회용품 금지 규제와 / 재활용생산자책임제도(EPR)을 강력히 부과해 기업 책임을 강조하는 수 밖에는요. 말랑말랑 캠페인이나 느린 전환으로는 쏟아지는 플라스틱의 문제를 해결할 방안이 없다고, 여러 보고서에서 경고하고 있습니다. 최신 나온 해외 보고서를 그리니엄에서 잘 요약해놓았습니다. 글 공유드려요! 정독을 권합니다. 주요 20개국(G20)의 플라스틱 공급 및 소비가 계속될 경우 2050년 […]
[서울환경연합] 월간 쓰레기! 쓰레기 박사님이 알려주는 2023년 2월 국내외 쓰레기 이슈

서울환경연합의 ‘월간 쓰레기’에는 쓰레기 박사님이 알려주는 2023년 2월 국내외 쓰레기 이슈가 실렸어요! 쓰레기 계(?)를 뒤흔들 환경정책의 정책적 변화가 담겨 있으니 아래 동영상을 시청해주세요. 서울환경연합에서는 이렇게 쓰레기 이슈를 다루는 ‘월간 쓰레기’ 유튜브를 달마다 오픈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2023 2월 월간쓰레기~! 💬첫번째 뉴스, EU 포장폐기물 지침 개정안 발표 관련 기사 https://c11.kr/1b1tu 유럽연합 애들이 또 한 발자국 앞서 […]
[해외 동향] 유해한 PVC 수도관 대신 안전한 소재를!

수돗물이 꼬불꼬불 저 멀리 수원에서 우리 수도꼭지까지 흘러오는 루트가 바로 수도관입니다. 예전에는 이 수도관이 금속관으로 만들어졌어요. 그러다 보니 오래 되면 녹이 슬고 수도관끼리 이어진 부분이 새고 금속에서 유출된 납이 수돗물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었습니다. 납은 지능저하, 신경 발달 저하 등 건강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유해 중금속입니다. 이런 문제로 금속 수도관은 PVC 수도관으로 교체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PVC는 […]
[매일경제-변화] 호텔서 사라지는 어메니티…진짜 일회용 칫솔 샴푸 안 준다

50인 이상의 숙소, 호텔에서 더이상 1회용 어메니티(샴푸, 린스, 바디워시 등)를 무료로 제공할 수 없도록 하는 자원재활용 법이 통과되었습니다. 짝짝짝!! 지난해부터 호텔 등 50실 이상의 숙박시설을 일회용 위생용품 무상제공 금지 대상 사업자에 포함시키려 했으나 법안이 계속 계류 중이어서 시행되지 못했는데요. 이제 보무도 당당히 국회를 통과해서, 국무회의 의결 등을 거쳐 빠르면 공포 직후, 길게는 공포 후 2년 […]
[SBS] 배달로 뜬 일회용기…미세 플라스틱 4.5배 더 많이 검출

배달로 뜬 일회용기…다회용기보다 미세 플라스틱 4.5배 더 많이 검출되었다는 기사. 이래도 드실래요? 다회용기를 직접 씻어야 하는 게 아니라 세척 전문 기업에서 씻어서 보내주니까 다회용기 쓰면 안 될까요? 근데 현재 서울에서도 6곳만 운영 중이라 제가 사는 마포구에서도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네요. 더 빨리 더 많아지면 좋겠어요! 다회용기 보증금과 이용료가 있지만 우리 건강과 지구를 위해 사용해보아요! […]
[보도자료] 자원재활용법 개정안으로 일회용컵 보증금제 완전체로 거듭나게!

현재 일회용컵 보증금제는 제주, 세종만 시행되고 있고 브랜드가 다른 일회용 컵은 반납이 안 되는 등 교차반납 금지, 편의점과 무인카페 등을 제외되어 저가형 프랜차이즈 카페들의 경쟁력이 약화되는 등 보완할 점이 있습니다. 이는 결코 일회용컵 보증금제의 문제가 아니라 일회용컵 보증금제가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도록 제도가 마련되지 않아서인데요. 그래서 민주당 이수진 의원실에서 제대로 된 일회용컵 보증금제를 시행하기 위한 자원재활용컵 […]
[쓰레기 탐방] 원료의 90%를 재생지를 쓰는 한솔제지 대전공장에 다녀왔어요

서울환경연합과 쓰레기 박사 홍수열 님께서 보우하사 한솔제지 대전 공장에 다녀왔습니다. 쓰레기 여행은 언제 어디로 가도 새로 보는 것, 새로 느끼는 것 투성인 거 같아요. 저는 아프리카 케냐 나쿠루에 가서도 관광객들이 있는 야생동물 보호구역 대신 쓰레기매립지에 다녀왔는데요. 😅😅 대전에서도 성심당 못 가보고 쓰레기 탐방에 매진 😅😅😅 (부추 소보로야 다음에 만나자) 휴게실에서 지퍼백에 호두과자도 사 먹었어요! 용기내 […]
[경향신문, 팜뉴스] ECHA, 의료기기 · 화장품 등 적용 ‘PFAS’ 사용 제한 보고서 채택

유럽화학물질관리청(ECHA)에서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고 영화 ‘다크 워터스’ 로도 알려진 과불화화합물의 단계적 사용금지를 검토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시행된다면 유럽 최대 화학물질규제가 된다고 합니다. 반도체 업체 등에서 강하게 반발하는 등 산업계의 거센 저항이 예상됩니다.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세상을 원하는 시민들이 관심을 갖고 규제를 지지해야 하지 않을까요. 보고서 검토에는 약 1년 정도가 소요된다 합니다. 기사 보기 경향신문 https://m.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302081422001#c2b 팜뉴스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8375 팜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