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칫솔이 환경적으로 가장 나을까?
제로웨이스트 대표 아이템하면, 대나무 칫솔이나 고체치약이 딱 떠오른다. 일회용 플라스틱이나 새 플라스틱 용기를 대체하는 일상 생활용품으로서 젠더노소 누구나 사용하는 아이템. 왜 대나무 칫솔일까? 1) 플라스틱 칫솔은 칫솔모는 나일론, 바디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손잡이 고무는 폴리우레탄 등의 복합 소재로 만들어져 재활용이 되지 않을 뿐더러 잘 마모되어 교체주기가 짧다. 한마디로 썩지 않는 쓰레기가 끊임없이 발생하는데 이빨을 안 닦고 […]
[라이프인] 나노플라스틱이 체내에서 독성물질을 만났을 때
미세플라스틱이 쪼개져 눈에 보이지 않는 사이즈로 작아진 나노플라스틱. 나노플라스틱이 실은 미세플라스틱보다 훨씬 유해하다는데 그 근거들이 점차 드러나고 있다. 생수 1L에 들어있는 플라스틱 입자는 11~37만 개, 그중 90% 이상이 나노플라스틱이었다는 연구결과(국제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PANS)’에 실린 미국 컬럼비아대의 연구결과)를 접했기 때문이다. 나노플라스틱 입자 크기는 1㎛(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 분의 1m) 미만으로, 5㎛ 미만인 미세플라스틱보다 훨씬 작다. 많이 섭취해도 극소량이라고 […]
[한겨레신문] 버린 옷에 추적기를 달았다
[한겨레신문] 버린 옷에 추적기를 달았다 다 아는 내용이라도 형식이 달라지면, 데이터와 팩트가 근거하면 이렇게 충격적인 사실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새 옷이 사고 싶을 때마다, 헌 옷을 의류 수거함에 넣으면 재활용한다고 생각할 때마다 꺼내 보아야 할 기사. 기사 보기 https://campaign-hani.campaignus.me/Usedclothes
[슬슬라잎] 화장품 리필스테이션 확대를 위해 필요한 것은
슬슬라잎의 화장품 리필스테이션 확대를 위해 제도적, 사회적 개선사항을 잘 짚은 글. 화장품 리필 스테이션, 대체 뭔일? 리필스테이션의 과거 한때,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4년전쯤, 야심차게 출발했던 화장품 리필스테이션들- 제로웨이스트 활동의 일환으로 기업이 앞다퉈 설치했던 매장이에요.국내 화장품 브랜드의 레거시 기업인 아모레퍼시픽은 2020년 플래그십 스토어, 아모레 스토어 광교를 오픈하며 업계 최초로 리필스테이션을 운영한다는 광고를 대대적으로 실시했습니다. 클린뷰티의 선두주자인 아로마티카도 사옥 1층에 카페와 함께 경험할 수 있는 […]
[서울경제]젊은층 암 발병률 증가 이유 ‘이것’ 때문?…車타이어 등 미세 플라스틱 ‘위험’
영국 데일리메일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UCSF) 연구진이 미세 플라스틱과 각종 암 발병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최근 보도! 미세 플라스틱이 불임, 대장암, 폐 기능 저하, 만성 폐 염증과 잠재적 연관성이 있다고 밝혀. [기사 출처] (2024. 1.13 서울경제신문 서정명 기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2GNODJT6TL
국내 자원효율등급제 시행을 기다리며!
유럽에서는 최근 포장재법(PPWR)이 의회를 통과하면서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 사회로 성큼 다가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또 하나의 강력하고 멋진 법이 있는데요. 바로 에코디자인 정책입니다. 보통 제로웨이스트 정책으로 5R 거절하기 Refuse, 줄이기 Reduce, 재사용 Reuse, 재활용 Recycle, 썩히기 Rot 을 드는데요. 이렇게 쓰레기를 줄이려면 애초에 쓰레기가 되지 않게 디자인되는 방향으로 생산해야만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재활용 되지 않게 여러 […]
음식물 쓰레기 자연 퇴비화하려면 낙엽이 필요해!
낙엽은 어떻게 처리될까요? 도심에 떨어지는 무수한 낙엽들 어떻게 처리하는지 아세요? 집 마당에서 나온 식물 잔재물은 종량제 봉투에 넣어 내놓으면 일반 쓰레기처럼 소각됩니다. 길과 도로에 떨어진 낙엽들도 별다르지 않아요. 마대에 담긴 후 소각되거나 매립됩니다. 이를 서울환경환경연합 유튜브에서 짧게 잘 설명해주셨는데요. 낙엽을 쓸어 담아 마대에 담으면 유기물 쓰레기로 분류됩니다. 결국에는 일반 쓰레기와 똑같이 소각되거나 매립되어 처리됩니다. […]
[임팩트온] EU이사회, 포장재 폐기물 개정안 승인…플라스틱 재활용⋅재사용 의무 목표 제시
국제 플라스틱 협약은 파토가 났지만 유럽연합에서는 혁신적인 포장재 폐기물 개정안이 의회를 통화함으로써 새로운 시대를 열어 젖혔습니다! 유렵연합의 PPWR 개정안에 부합하는 규제가 국내에도 생기기를 비나이다 비나이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사 원문 : 임팩트온 송준호 에디터 2024.12.18 https://www.impacton.net/news/articleView.html?idxno=13415
[미세플라스틱]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 대장암 발병 위험 높인다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수록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도 점점 밝혀지는 것 같습니다! 후생신보 기사에 따르면 미국화학회(ACS) 저널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에 미세플라스틱이 대장암과 폐암 발병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논문이 게재됐다.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로 타이어가 마모되면서 쌀 한톨보다 작은 5mm 이하의 미세플라스틱이 생성될 수 있으며 미세플라스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3,000여건의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되면 불임과 […]
내 모든 것의 탄소발자국 : 화장품 용기 편
화장품 용기의 탄소발자국, 얼마나 될까요? 화장품 리필하면 과연 환경적으로 효과가 있을지, 있다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궁금했답니다. 그래서 알맹상점에서 다 쓴 화장품 용기를 수거하고 기후변화행동연구소에서 수거된 용기들의 탄소발자국을 계산해보았습니다. 화장품 용기 탄소발자국 설명하시는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이윤희 박사님 왜 화장품 용기일까? 왜 너만 이렇게 재활용이 어려운데? 한국소비자원의 화장품 용기의 재활용 등급 및 표시 실태를 조사한 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