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 헉 가짜 꽃, 미세플라스틱에 이어 유해물질까지 검출!!

가짜 꽃, 실은 어글리했어!!! ㅠㅜ 합성재료로 만들어져 미세플라스틱이 떨어져 나온다. 이번에는 몸에 안 좋은 유해화학물질까지 검출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고 했던가. 가짜 꽃으로도 헌화도 하지 말자.

값싸고 시들지 않아 대거 사용…인체·환경 위협 ‘부메랑’

 

소비자원 안전실태 조사

25% 오염물질 기준치 초과 ‘단쇄염화파라핀’ 최대 71배

화훼자조금협의회 연구

미세플라스틱·벤젠 등 검출 시간 지날수록 오염도 심화

중국산 수입량 매년 증가세 국내 안전기준 마련 등 시급

주요 내용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 최근 공개한 가짜꽃 안전실태조사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시중에 판매·유통되는 가짜꽃 20개 제품 가운데 5개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단쇄염화파라핀과 다이옥신 등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이 검출됐다. 특히 단쇄염화파라핀은 준용기준(1500㎎/㎏)을 최대 71배(3250㎎/㎏∼10만6000㎎/㎏)나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쇄염화파라핀은 자연 분해되지 않고 동식물 체내에 축적돼 생태계를 위태롭게 할 수 있는 유해물질로, 184개국이 스톡홀름 협약을 통해 근절을 추진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단쇄염화파라핀을 발암가능물질(2B군)로 분류하고 있다.

특히 새 가짜꽃에서는 미세플라스틱 220개가 발생했으며 헌화용으로 외부에 방치된 가짜꽃에서는 평균 1284개가 나와 증가율이 약 5.8배에 달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미세플라스틱 방출량과 토양 오염 위험이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를 맡은 권송 서울대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 책임연구원은 “성분분석 결과 유해물질이 검출됐는데 중요한 것은 외부에 방치할 경우 미세플라스틱이 훨씬 많이 발생한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환경과 인체에 피해를 줄 여지가 있고 특히 헌화는 고인을 추모한다는 의미기 때문에 조화 사용을 지양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농민신문 2022.5.27 기사

https://www.nongmin.com/news/NEWS/ECO/CMS/356309/view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자료

[변화] 아이폰, 그때는 틀리고 지금은 맞다!

애플 아이폰 15 출시를 앞두고 ‘앱등이’이라는 단어 앞에서도 끝까지 아이폰만 써왔던 친구들의 성토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분노 폭발 🔥🔥 이번에 발표된 애플의 최신 스마트폰 ‘아이폰 15’

Action

[참여] 화장품 과대포장, 너를 뜯어볼게 (신청하기!)

화장품 포장지 분해해보고 탄소배출량을 측정한다니! 제로웨이스트 실험실, 함께 하실 분? 6명 선착순 모집이라니 어여 고고!! 신청은 https://tally.so/r/wkeKqr 화장품 과대포장, 너를 뜯어볼게  우리의 생활 속에 가장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