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대선] 환경운동연합 / 환경정의 자원순환 정책 제안!

선거의 묘미는 바로 여러 가지 정책들의 향연이다. 누구를 뽑든, 누가 뽑히던 간에 선거의 과정에서 어떤 사회를 만들기를 원하고 어떤 정책이 필요한지 더 자주, 더 많이 이야기되면 좋겠다. 그게 바로 민주주의! 

국내의 대표적인 환경단체인 환경운동연합과 환경정의에서 2022 대선의 환경정책을 거국적으로 내놓았다. 짝짝짝! 성실하고 꼼꼼하게 잘 차려진 보고서를 밥상에 앉아서 받는 기분이란. 이런 정책들이 실현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가슴 설레이며 정책 제안을 읽었다.

환경정책 전반을 총망라한 보고서를 전체 다 읽어보시길, ‘피프리미’에서는 자원순환 부분을 발췌했다.

환경운동연합: 생산부터 폐기까지 자원순환 사회 실현


1) 사업장 폐기물 국가 책임제

  • 『폐기물관리법』 개정을 통한 ‘산업폐기물 국가 관리 책임 원칙’ 명시
  • 『공공폐자원관리시설의 설치 운영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 개정을 통한 산업
  • 폐기물 매립장에 대한 주민 지원과 사후관리 강화
  • 산업폐기물 매립ㆍ소각량 감량을 위한 정책 강화

2) 플라스틱세(폐기물 부담금) 현실화

  • 플라스틱 생산·유통·소비 단계에서 ‘플라스틱세(폐기물 부담금)’ 현실화 : ※ 현 폐기물 부담금 150원/kg ⇔ EU 플라스틱세(€0.8/kg=약 1,000원)
  •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 강화를 통한 ‘기업의 플라스틱 생산 감축’ 의무화
  • 2030년까지 국가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 50% 감축, 재활용 70% 상향에 따른 ‘탈 플라스틱 사회로의 전환 로드맵’ 마련
  • ‘1회용 플라스틱 사용제한’, ‘생산자 재생원료 사용 의무화’ 등 플라스틱 선순환을 위한 규제 강화

<현황과 문제점>


1) 사업장 폐기물 국가 책임제


○ 대한민국 전체 폐기물 중에서 생활계 폐기물은 11.7% 수준임(2019년 기준), 나머지는건설폐기물 44.5%, 사업장배출시설계 폐기물 40.7%, 지정폐기물(의료폐기물 포함)3.1% 순임. 산업폐기물 중에서 사업장배출시설계 폐기물의 경우 대부분 민간업체가위탁 처리(45.96%)하거나, 사업장에서 자가처리(35.55%)하는 형태로, 공공처리 비율은18.49%에 불과함. 유해성이 높은 지정폐기물의 경우에는 위탁처리비율이 88.85%, 자가처리비율이 10.97%인 반면 공공처리 비율은 1.8%에 불과함.

○ 강원도 영월ㆍ정선, 충북 괴산ㆍ음성ㆍ충주ㆍ청주ㆍ진천ㆍ제천, 충남 당진ㆍ서산ㆍ천안ㆍ홍성, 전북 김제, 전남 보성, 경북, 경기도 연천과 화성 등 전국 곳곳에서 민간업체들이 산업폐기물 매립장들이 들어서거나 추진되려 하고 있음, 그로 인해 땅과 물이오염될 우려가 커지고, 지역주민들은 환경오염, 농업 피해, 주민건강 피해가 발생하고 있음.

○ 반면, 산업폐기물매립장이 막대한 이윤을 챙길 수 있는 사업으로 알려지면서, 민간업체들이 지역 곳곳에서 무분별하게 산업폐기물매립을 건설하고 추진하고 있음. 이런 상황에서 산업폐기물매립장을 둘러싼 환경오염, 주민건강 우려등이 발생하고 있음. 또한, 지역주민을 배제한 입지 선정, 주민협의체를 통한 지원 및 감시 부재, 무분별 지역 간 이동으로 지역 분쟁, 사업자와 주민(지자체)간 소송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

○ 이에 『폐기물관리법』 에 산업폐기물에 대한 국가 관리 책임 개념을 도입하고, 『공공폐자원관리시설의 설치 운영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 개정을 통해 산업폐기물 사업 주체를 공공성이 확보할 수 있도록 주체를 제한하고, 권역별 공공처리시설의 설치를 추진해 폐기물의 지역 간 이동을 원칙적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음. 또한, 환경부 장관은 산업폐기물에 대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산업폐기물 배출량을 줄이고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입법과 정책이 강화되어야 함.

2) 플라스틱세(폐기물 부담금) 현실화


○ 코로나 19영향으로 배달음식이나 택배 물량 증가, 일회용품 사용이 증가하면서 오히려 2019년 전체 생활폐기물 중 플라스틱 양은 2018년(323만 톤/년) 대비 24% 증가(402만 톤/년) 증가함. 한국 정부는 2030년까지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률은 50% 감축, 폐플라스틱 재활용비율을 현재 54%에서 70%로 상향하겠다고 발표함, 하지만, 정부의 대책은 ‘폐기물 감량’, ‘재활용 확대’, ‘대체 플라스틱 전환’ 등 개별 대응책 나열에 불과하며, 생산단계에서 플라스틱 감축 대책보다 재활용·폐기물 관리대책에만 국한되어 있음. 이에, 자원순환 전 과정에 대한 ‘탈 플라스틱 사회로의 전환 로드맵’ 마련과 함께, 산업계 전반에 직접적인 제재를 취할 수 있는 규제 및 입법 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

○ 세부 정책 도입방안으로 플라스틱 발생 원천 저감을 위해 플라스틱의 생산ㆍ유통ㆍ소비전 과정에서 폐기물 부담금(플라스틱세) 요율 현실화(국내 폐기물부담금 150원/kg ⇔EU 플라스틱세 €0.8/kg=약 1,000 원)할 필요가 있음. 또한, 플라스틱 사용 저감 및 재생원료 사용촉진을 위해 생산자에게 재생원료 사용의무 비율을 직접적으로 부여하는 등 생산자의 책임 강화 수단이 필요함. 마지막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저감을 위해 현행규제를 강화하고, 규제대상에서 제외된 업종 및 일회용품에 대해서도 단계적으로 사용금지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

환경운동연합 2022 정책 제안 전체 보고서 읽기

http://kfem.or.kr/?p=222159

2022환경정의 대선 정책 제안 ‘위기에 대응하는 사회 전환 정책 제안’

 산업폐기물처리장 관리의 공공성 확보  
– 공공폐자원처리시설의 설치 촉진 및 처리대상 폐기물 범위의 확대
– 불법폐기물의 신속하고 적정한 대집행 등 처리를 위한 폐기물처리기금의 설치
– 산업폐기물처리장을 포함한 환경오염시설의 사후관리 및 피해배상을 위한 공영보험 제도 도입
– 민간 폐기물처리시설 운영에 따른 초과이익 환수제도 도입

환경정의 대선 정책 제안 보고서 전체 보기

https://www.eco.or.kr/activity/?idx=9506289&bmode=view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자료

[미세플라스틱] 난소에서 미세플라스틱 검출되다

이 지경까지 왔는데도, 일회용 플라스틱 규제가 헐렁해?? 엉?? 여전히?? 뉴시스 2025. 4.24 기사에 따르면 연구를 이끈 루이지 몬타노 로마대 교수는 “난자 발달에 필수적인 영양소를 제공하는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