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 드립커피는 역시 다회용 커피필터

세계 3위 규모의 커피 소비국 한국. 홈카페를 즐기는 분들도 나날이 늘어가는만큼 일회용 커피필터 사용도 늘어가는 현실. 쓰레기 문제 뿐만 아니라 표백한 커피 필터의 경우 뜨거운 물을 부을 때에 유해물질이 방출될 우려도 있습니다.  쓰레기를 만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더욱 깊은 풍미를 느끼게 해줄 다회용 커피필터를 알아볼까요?  융 필터 & 소창 필터 (플라넬 드립) 융이나 소창을 이용해 […]

[대안] 빨대를 꼭 사용해야 한다면

일회용 컵과 함께 대두되었던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 바다 거북의 코에 플라스틱 빨대가 꽂힌 모습이 널리 알려지기도 했는데요. 재활용이 아닌 일반쓰레기로 분류할 수 밖에 없는 현실 속에서 스타벅스 등 일부 업체는 종이빨대를 내세우기도 했습니다. 일치감치 빨대 사용량이 많은 동남아 국가에서는 공심채, 대나무 등 식물을 활용한 빨대를 사용하기도 했구요. 일회용 빨대를 쓰지 않는게 가장 좋겠지만 어린이, 환자, […]

[아크릴 수세미 대안] 다양한 천연 수세미

환경을 생각해 친환경 세제를 만들어 쓰시나요? 혹은 세제를 사용하지 않으시나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거지를 할때마다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한다는 사실! 범인은 바로 ‘수세미’.  아크릴 등의 섬유를 직조하여 만드는 수세미는 설거지 과정에서 지속적인 마찰을 통해 섬유가 풀리고 헤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해서 나오는 작은 미세플라스틱, 마이크로 화이버 섬유는 그대로 하수구로 흘러들어가곤 합니다. 아직까지 미세플라스틱 처리 공정이 미비한 하수처리장을 거쳐, 바다로까지 […]

[대안] ‘랩퍼’ 탈출, 비닐랩 말고 비즈왁스랩!

남은 반찬도 쫙, 식재료도 쫙, 전자렌지에 음식을 데울때도 쫙- 부엌에서의 비닐랩 사용은 너무나 당연해졌습니다. 배달음식 시장이 커지면서 더더욱 많이 쓰이고 있는데요. 가정에서 쓰이는 PE(폴리에틸렌) 소재의 랩과 달리, 업장에서 사용하는 PVC(폴리염화비닐) 소재의 랩은 소각시 유독물질이 발생합니다. 물론 가정에서 사용하는 PE 소재의 랩 역시 음식물이 묻거나 하는 등의 문제로 재활용 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한번 쓰면 무조건 버리게 […]

[정책/쓰레기] 일회용 월경용품, 아기 기저귀, 물티슈의 환경적&경제적 영향

<The environmental & economic costs of single-use menstrual products, baby nappies & wet wipes> Report by ReZero, Zero Waste Europe, ReLoop and Break Free From Plastic. 유럽 28개국의 사례를 통해 일회용 월경용품, 기저귀, 물티슈의 환경적 & 경제적 영향에 대해 살펴본 보고서입니다. 막연하게 생각했던, 때문에 마구마구 썼던 일회용품들이 미치는 영향력을 구체적인 수치와 분석을 통해 알아볼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