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옷 사지 마!” 수선해 입으면 3만5000원 준다는 ‘패션의 국가’ 프랑스

이거이야말로 진실로 이르노니, 패셔니스타 파리지앵 부띠끄 스타일이라고 할 수 밖에 없는 간지 정책입니다.

기사의 핵심 내용을 공유드립니다. 이러한 제도 아래 수선 사업이 부흥하고 수선해서 더욱 멋지고 오래된 빈티지를 입은 파리지앵들이 패션을 선도해나가길! 국내에도 수리권 논의가 시작되었는데요. 전자제품을 넘어 옷, 신발 등 다양한 수리의 이야기가 펼쳐지면 좋겠습니다.

한국일보 기사 화면 캡처

올해 10월부터 5년간 1억5,400만 유로 계획
‘박리다매’ 패스트 패션 폐기물 저감 노려

한국일보 기사 읽기 (김현종 기자)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71316130005823?did=NA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보고서

[한겨레신문] 버린 옷에 추적기를 달았다

[한겨레신문] 버린 옷에 추적기를 달았다 다 아는 내용이라도 형식이 달라지면, 데이터와 팩트가 근거하면 이렇게 충격적인 사실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새 옷이 사고 싶을 때마다, 헌

자료

[슬슬라잎] 화장품 리필스테이션 확대를 위해 필요한 것은

슬슬라잎의 화장품 리필스테이션 확대를 위해 제도적, 사회적 개선사항을 잘 짚은 글. 화장품 리필 스테이션, 대체 뭔일?  리필스테이션의 과거 한때,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4년전쯤, 야심차게 출발했던 화장품 리필스테이션들- 제로웨이스트 활동의 일환으로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