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유럽연합, 제약·화장품 업계에 미세 플라스틱 비용 부과하기로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europe/1126476.html

Pixabay로부터 입수된 Stefan Schweihofer님의 이미지 입니다.

‘오염자 부담 원칙’이 EU 의약품과 화장품 판매 기업에 적용됩니다.

하수도 처리 시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비용을 부담하라는 것인데요, 해당 지침에는 하수와 처리된 하수의 미세 플라스틱 농도까지 감시해야 한다는 내용까지 담겨있답니다. 🚰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29일(현지시각) 유럽의회와 회원국 대표로 구성된 이사회가 도시 하수 처리 비용을 오염 유발자에게 부과시키는 내용의 ‘도시 하수 처리 지침’ 개정안에 잠정 합의했다고 밝혔다. 유럽의회와 이사회는 인구 1천명 이상의 도시 지역 하수 처리에 새로운 미세 오염물질 기준을 적용하고 오염 물질 처리에 드는 추가 비용의 80%를 배출 기업에 부과하기로 했다. 나머지 20%는 정부가 부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의약품과 화장품을 판매하는 기업들이 미세 플라스틱 처리 비용을 부담하게 될 것이라고 영국 가디언이 전했다.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보고서

[한겨레신문] 버린 옷에 추적기를 달았다

[한겨레신문] 버린 옷에 추적기를 달았다 다 아는 내용이라도 형식이 달라지면, 데이터와 팩트가 근거하면 이렇게 충격적인 사실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새 옷이 사고 싶을 때마다, 헌

자료

[슬슬라잎] 화장품 리필스테이션 확대를 위해 필요한 것은

슬슬라잎의 화장품 리필스테이션 확대를 위해 제도적, 사회적 개선사항을 잘 짚은 글. 화장품 리필 스테이션, 대체 뭔일?  리필스테이션의 과거 한때,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4년전쯤, 야심차게 출발했던 화장품 리필스테이션들- 제로웨이스트 활동의 일환으로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