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 학교 재활용품 분리배출 현황 조사

???? 서울에 학교가 2천 2백 곳 넘게 있는 걸 알고 아셨나요?


학교마다 배출하는 재활용품의 양도 어마어마할텐대요. 과연 제대로 재/활/용/ 되고 있을까요? 기껏 몰아넣은 재활용품이 쓰레기로 버려지지 않기 위해선 이물질이 섞이지 않게 종류별로 분리하는 것이 핵심이라는데…

???? ‘투명 페트병 전용 수거함’은 설치되어 있을까요?

종이와 종이팩은 분리 되고 있을까요?


학교는 수거 업체를 선정해 직접 분리 배출 과정을 관리할 책임이 있답니다. 우리 학교는 잘 하고 있는지 우리가 나서서 조사하고 바꿔보아요.

교육청이 나서서 해야 할 일이지만… ????현황파악도 안 되어 있는 실정이어서.. 지금 꼭 필요한 통계, 현황, 실태 자료! 환경에 진심인 학생들, 선생님들, 시민분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모아진 정보들은 학교가 ????자원순환교육장으로 제 역할을 다 하도록 학교 공간 재구조화와 정책적 재정적 지원을 요구하는데 사용할 계획입니다.

아래 링크를 눌러 현황 조사에 참가해주세요. 그리고 다른 학교에 다니는 친구, 동료들에게도 전달해주세요!

우리 학교는 내가 조사한다! 조사표 작성


https://bit.ly/edu-trash (설문 링크)

???? 사진도 보내주세요! 온라인 사진전을 준비중입니다.


https://bit.ly/trash-photo (8월 중 오픈 예정)

위의 학교 조사는 지태민, 이진수 선생님이 주축이 되어 진행하고 있답니다.

이 활동은 유자학교 캠페인 ‘페트병 따로 수거’와 연결됩니다.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자료

[대안] 패스트패션의 대안, 이토록 힙한 재사용

세계 최대 중고 명품 거래 플랫폼 ‘베스티에르’ 에서 블랙프라이데이를 맞아 패스트패션 문제를 패셔니스타 스타일로 한방에 때려버립니다. 아이고 힙하다잉… 매년 92만 톤의 섬유가 폐기된다는 사실을 알고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