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웨이스트] 포장용기 안 쓰는 제로웨이스트 마켓 정착 토론회 자료집

토론회 개요

  • □ 일 시 : 2019년 12월 10일(화) 14:00~16:00
  • □ 장 소 :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실
  • □ 공동주최 : 신창현 국회의원실, (사)자원순환사회연대
  • □ 후 원 : 환경부, LH 토지주택연구원

프로그램

■ 발 제 ············································································ 11

  • 발제1. 환경부 녹색소비문화 개편 방향 ····················································· 11
    이율범 과장(환경부 환경산업경제과)
  • 발제2. 해외 제로웨이스트 마켓 현황 및 국내 도입방향 제언 ············· 21
    김태희 정책국장(자원순환사회연대)
  • 발제3. 서울시 플라스틱 줄이기 추진 사례 및 현황 ······························· 37
    최규동 과장(서울시 자원순환과)
  • 제로웨이스트 마켓 운영사례 향후 계획 ·············· 47
  • 송경호(더 피커 대표) ·················································································· 49
  • 최재숙(에코두레생협 상무이사) ································································ 58
  • 오귀순(아이쿱생협연합회 상무) ································································ 62

주요 내용

환경부 녹색소비문화 개편 방향

환경부 녹색소비문화 개편 방향
환경부 녹색소비문화 개편 방향

올가, 초록마을을 선정해 쓰레기 없는 제로 웨이스트 매장 운영, 포장재 제공 최소화, 포장재 수거 후 세척하여 재사용 하는 안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환경부 녹색소비문화 개편 방향

식품위생법 상 통 병조림, 전분, 식초, 알가공품, 유가공품, 어육제품이 / 위생용품 관리법 상 세척제, 헹굼보조제, 위생물수건이, 화장품 관리법 상 화장품류, 샴푸류가 소분 판매가 금지된 상태입니다.

그런데 이런 물건들이야 말로 전통시장이든 자기 통을 들고 가든 아무리 ‘노오력’해도 무포장으로 살 수 없는 품목입니다. 원칙적으로는 해외 제로 웨이스트 숍에서 파는 물건들이 국내에서는 판매 금지인 상태입니다.

해외 제로웨이스트 마켓 현황 및 국내 도입방향 제언

해외 제로웨이스트 마켓 현황 및 국내 도입방향 제언
해외 제로웨이스트 마켓 현황 및 국내 도입방향 제언

국내 생활폐기물 중 포장재는 약 30%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자원순환사회연대 김태희 국장님께서 제로웨이스트 매장의 세 가지 형태를 제안하셨습니다.

  • 기업형 슈퍼체인 내에 제로 웨이스트(플라스틱 프리) 매대 따로 운영
  • 소비자 협동조합, 유기농 매장 내 벌크 판매, 무포장 판매
  • 개인이 운영하는 제로 웨이스트 매장
영국 제로 웨이스트 매장 언패키지드(unpacked) 운영 방식
프랑스 제로 웨이스트 샵 ‘데이바이데이’ 프랜차이즈화로 펴준화된 제로 웨이스트 매장을 전국에 구현

제로웨이스트 마켓 운영사례 향후 계획

송경호(더 피커 대표)

국내 최초 제로 웨이스트 샵 ‘더피커’를 운영 중인 송경호 대표께서 다음을 제안해주셨습니다.

  • 제로 웨이스트 샵 내용적 확산 플랫폼 구축 (매장 인센티브, 기업 교육, MOU)
  • 액체류 소분판매에 대한 매장 형태 한정 규제 완화 및 관리
  • 제로 웨이스트 운영 콘텐츠 플랫폼

종로 에코두레생협의 벌크 판매 경험

종로매장은 ‘일회용품 안 쓰는 마켓’에 도전하고 있다. 가장 먼저 사과, 배 등 비닐봉지에 담겨오던 것을 10kg짜리 벌크로 진열해 조합원이 원하는 만큼 종이봉투에 다 담을 수 있도록 했다.


한번 사면 2kg 또는 3kg 비닐봉투에 담겨 선택의 여지가 없던 물품들이 1개나 2개 등 원하는 만큼 구매하도록 하니 비닐포장보다 인기가 더 좋아했다. 과일에 이어 수수, 팥, 기장 등 잡곡도 확대하고 양파, 고구마, 당근도 도전했다. 결과는 조합원의 대만족이었다.

벌크 진열된 품목은 평균 정형화된 비닐봉투에 담긴 것보다 3배가 상승했다. 1~2인 세대가 많은 것도 그 이유 중에 하나일 것이다.

최재숙 상무이사 글 중에서

최재숙 이사는 “현재는 1차 농산물에만 벌크 소분판매하고 있다. 매장 내에서 주방세제, 세탁세제, 화장품 등 액체류를 소분 판매를 하고 싶지만 제도적으로 막혀 있다. …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판매자가 건강기능 교육을 받고 판매를 한다. 화장품 소분판매도 이런 방식을 적용하면 좋을 것 같다.”는 제안은 내놓았습니다.

아이쿱 생협의 플라스틱 프리 로드맵

오귀순(아이쿱생협연합회 상무) 발제문 중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자료

[대안] 패스트패션의 대안, 이토록 힙한 재사용

세계 최대 중고 명품 거래 플랫폼 ‘베스티에르’ 에서 블랙프라이데이를 맞아 패스트패션 문제를 패셔니스타 스타일로 한방에 때려버립니다. 아이고 힙하다잉… 매년 92만 톤의 섬유가 폐기된다는 사실을 알고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