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등급제가 우스워요?

2019년 말, 재활용 여부를 최우수, 우수, 보통, 어려움 4단계로 알려주는 재활용 등급제가 시행되었다. 순진하게도 이 등급제만 따라하면 밥 아저씨처럼 “참 쉽지요” 할 줄 알았다. 마치 통신사 결합할인 신청만 하면 쉽다고 하지만 신청하려고 상담사와 연결되는 시간 동안 이미 지쳐버리는 것처럼, 재활용 등급제도 실제 효력이 생기기까지 지난한 과정을 거쳐야 할 것 같다.

재활용 등급제만 따라하면 이렇게 될 줄 알았다. 아니라네….

이유인즉슨

등급제 표시를 안 해도 된다!

실제 재활용 등급제 표시가 코 뺴기도 안 보인다 했더니, 재활용 어려움 등급을 재외한 최우수, 우수, 보통 등급이 제품은 아예 표시 자체를 생략해도 오케이. 그런데 말입니다. 화장품 용기처럼 스프링에 펌프에 유백 유리 등의 이유로 재활용이 안 되는 제품도 재활용 어려움 대신 보통 등급을 받았다는 사실.

그래서 등급제 표시를 영 만나기 힘들고 등급이 안 써져 있으니 실제 재활용이 잘 되는 제품을 찾아 ‘돈쭐’을 내줄 수도 없는 상황이다. 모든 제품에 재활용 등급제 표시 팍팍 안 되겠니, 그렇게 하라고 생긴 제도 아니더냐.

기사 참고: 코스모닝 2020.2.19 재활용 최우수·우수·보통 포장재, 등급표시 안해도 OK!

이런 표시 본 적 있는 사람 모여라

재활용 어려움을 받아도 패널티가 낮으니 나 몰라라

제도 시행 5개월 후 결과가 공개되었다.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전체 신청자 661건 중 ‘최우수’ 등급은 단 2건에 불과한 반면 ‘어려움’ 등급은 529건에 달했다. 우수 등급의 경우 111건이었고 보통은 19건이었다. 재활용이 어려운 ‘어려움’ 등급을 받는 업체가 80%를 차지한다. (feat. 아오 장난해)

하지만 기업에게는 걍 재활용 어려움을 받고 기존의 포장재를 계속 사용하는 것이 친환경 포장재로 바꾸는 것보다 나을 수 있다. 패널티가 개미 콧구멍만큼 너무 낮기 때문이다. 기사에 따르면 실제 한 재활용 업체가 ‘어려움’ 등급을 받은 경우 기존 환경분담금인 ㎏당 141원(무색기준)에 30%를 더한 ㎏ 당 약 47원 가량만 추가로 부담하면 된다고. 그러니 재활용이고 뭐고 하던 대로 쓰레기를 만들어 내기로 한 것이다. 아니 이런 쓰레기 같은 패널티를 보았나. 가끔 길가에 씹던 껌만 버려도 대역죄 벌금을 매기는 싱가포르를 소환하고 싶어진다.

재활용 등급제 우습게 본 기업은 47원이 아니라 47억개의 플라스틱 쓰레기를 치우는 처벌이라도 받아야 할까. 그러면 재활용 최우수 80%는 이미 달성했을 텐데 말이다.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자료

[미세플라스틱] 난소에서 미세플라스틱 검출되다

이 지경까지 왔는데도, 일회용 플라스틱 규제가 헐렁해?? 엉?? 여전히?? 뉴시스 2025. 4.24 기사에 따르면 연구를 이끈 루이지 몬타노 로마대 교수는 “난자 발달에 필수적인 영양소를 제공하는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