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성] 폴리스티렌 플라스틱 용기서 유해물질 검출

플라스틱 용기는 안 쓰는 게 좋고, 사용해야 한다면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위주로 사용하자. (그나마 안전하다고) 스티렌이라는 발암성 물질 명칭이 들어있는 폴리스티렌 용기에서 기준치를 넘긴 유해물질이 식품으로 전이된 것이 밝혀졌다. ㅠㅜㅠㅜ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8일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 100건을 검사한 결과 폴리스티렌(PS)재질 용기 3건이 안정성에 부적합하다고 발표했다. 음식점 배달 용기로 주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재질 용기 중 PS 용기 64개를 선별 조사한 결과 이 중 3개에서 음식물을 담았을 총용출량이 기준을 초과했다는 것이다.

총용출량은 플라스틱 용기에서 식품에 용출돼 나오는 비휘발성 물질의 양으로, 해당 제품에 음식물을 담았을 때 용기의 원료물질이 음식에 기준치 이상으로 묻어 나온다는 뜻이다.

아이스크림 가게의 분홍 스푼, 배달용기 그룻과 떡 받침 용기 등이 폴리스티렌이 많다. 이번 연구는 전자레인지 사용 시간 등을 제대로 지킨다는 전제로 진행되어서 실제로는 더 많이 용출될 가능성이 있다. 플라스틱 유해성, 미세 플라스틱과 더불어 환경호르몬 검출 등 되도록 사용을 줄이는 것이 답이다.

전체 기사 보기 : 뉴스토마토 조승진 기자 / 2022.4.8

구독하기
알림 받기

2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저는 사람들의 프라스틱사용을 억제하고자 경기도조례를 만든 유근식입니다
특히 미세프라스틱의 생성과정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에 프라스틱사용을 줄이고 궁극적으로는 프라스틱없는 세상이 오기를 바래 봅니다 그러나 현실은 프라스틱의 편리함이 너무 강해서 프라스틱의 유해성을 애써 외면하고 신문이나 방송등 언론에서 기획프로그램으로 한번씩 다루는 것으로 사명을 다했다고 볼수는 없을 것입니다 또한 정부나 기업역시 문제점을 알면서도 애써 외면하고 그틈에 소비자들은 편리함에 익숙해져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망각하고 몸은 병들어 가고 있습니다 ㅍ라스틱의 역사는 약 110년 정도 됐다고 합니다 과거로 돌아가자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은 4차산업시대 입니다 건강하게 행복한 삶을 위해서 이제는 편리함도 일부 포기하거나 다른 대체재가 가격 코스트가 높게 나와도 감내할정도는 됐다고 생각 합니다 일회용 사용 억제와 쓰레기 자원 분리수거부터 철저하게 했으면 합니다 특히 프라스틱용기에 음식을 담아 수백도의 온도로 가열하고 덮혀서 먹는 전자레인지 사용은 프라스틱을 열에녹여 통째로 먹는거와 같다고 봅니다 국민의 건강을 위해 애쓰시는 분에게 감히 졸렬한 소견을 올렸습니다 무례한점이 있었다면 용서를 바랍니다.

경기도 조례를 만드는데 앞장서주셨군요!! 반갑고 감사합니다. 플라스틱 프리 사회를 함께 노력해보아요!! 고맙습니다. 

다른 볼거리

보고서

제로웨이스트 인증 관련 제도와 사례

마포 자원순환네트워크 준비 모임에서 국제 소각반대네트워크 ‘가이아 GAIA’의 문도운 연구원 님을 모시고 들은 제로웨이스트 인증 관련 워크숍. 유럽 최초의 제로웨이스트 시티인 ‘까판노리’와 일본의 재활용 마을로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