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성] “검은색 플라스틱이 암 유발…초밥 용기·후라이팬 등 조심해야” 

뉴시스 기사에 초밥 용기나 편의점, 마트에서 즉석식품 용기로 흔히 사용되는 검정 플라스틱 용기에서 발암물질인 난연제가 검출되었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환경 및 건강 연구단체인 ‘독성물질 없는 미래(Toxic-Free Future)’와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VU)가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연구자들이 실험한 검은색 가정용품 20개 중 17개 제품에서 난연제가 검출됐다.
검은색 플라스틱에는 암 유발 및 호르몬 교란 물질인 난연제가 들어 있다. 난연제는 연소 저항력을 높이고 화염 확산을 늦추기 위해 제품에 첨가되는 화학 물질이다.

전자제품에 들어간 플라스틱이 가정용 제품 제조에 재사용되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번 연구의 공동 저자인 메간 리우 ‘독성물질 없는 미래’ 정책담당자는 “우리가 먹는 음식이 난연제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난연제는 첨가된 폴리머와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집안 공기 중으로 스며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가령 플라스틱 주방 도구를 가열하면 음식을 통해, 어린이가 장난감을 빨면 침을 통해 체내로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위의 사진처럼 이미 국내에서도 플리스티렌(PS) 재질 용기 3건이 지방성 식품을 대상으로 한 총용출량 기준을 기준을 초과한 적이 있다. 총용출량은 용기를 사용했을 때 용기로부터 식품에 용출되어 나오는 비휘발성 물질의 양을 측정한 값으로, 대상 식품별로 해당되는 용출용매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다.

실험을 진행한 서울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폴리스티렌 용기는 지방함량이 높은 식품에 대해 원료물질의 용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뜨거운 튀김 식품을 바로 포장하거나 용기째로 전자레인지를 돌리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

재질의 특성상 PS나 PET는 열에 취약하고 용기째로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데우면 용기가 변형되고 유해물질이 식품에 용출될 수 있다.

이런 유해성 문제를 걱정하지 않으려면 유해물질 규제가 필요하다. 워싱턴, 뉴욕, 캘리포니아를 포함한 미국 일부 주에서는 실내 전자제품에 난연제 사용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2006년부터 유럽연합은 다양한 난연제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실험을 진행한 단체에서는 “난연제 사용을 제한하는 연방 법률이 필요하다”며 소비자들에게 난연제를 피하는 방법을 소개했는데, 그 중 첫 번째는 플라스틱 주방 도구를 나무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철)로 교체할 것, 두 번째는 유해 첨가물에 대한 노출을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 프리 제품을 선택할 것이다. 역시 플라스틱 프리가 유해물질로부터 안녕하는 지름길인 것을!

뉴시스 최희정 기자 2024.10.8

https://v.daum.net/v/20241008120455686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