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비나] 플라스틱 오염과 건강

‘비욘드 플라스틱 (Beyond Plastics)’에서 웹 세미나인 웨비나를 열었습니다. 주제는 바로 ‘플라스틱 오염과 건강’이었어요. 해외에서 따끈따끈 최신 발행된 이태리 환자들에 대한 충격적 연구를 소개해주셨어요. 한 시간 동안 짧고 굵직하고 의미 있는 강의와 질의응답이 이어졌는데요. 웨비나 내용을 공유드립니다. 줌으로 열린 해외 연사의 강연이라 아래 강연 이미지가 주로 영어인 점 이해해주세요!

플라스틱 생산량 증가, 10% 이하만 재활용

플라스틱 생산량은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그리고 2000년대 이후 가파르게 증가합니다. 2030년부터 2050년까지 생산량이 2배 더 증가할 예정입니다. 우리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플라스틱의 성장세는 더 가팔라지고 있습니다.

플라스틱 생산 증가의 가장 큰 원인은 일회용 플라스틱이고 현재 생산량의 35~40%가 바로 한번 쓰고 버려지는 일회용 플라스틱입니다. 전세계 재활용률은 10%가 되지 않고, 특히 쓰레기 관리체계가 부실한 저소득국가는 재활용 비율이 더 낮습니다. 플라스틱의 행방인 소각, 재활용, 현재도 사용 중, 어딘가 버려져 있는 비율 중 가장 많은 것은 바로 지구 어딘가 버려져 떠도는 플라스틱입니다.

플락스틱 속 유해물질, 건강 영향

플라스틱 자체가 석유화학물질로 만들어지는 화학물질이지만, 색을 내고 자외선에 쪼개지지 않도록, 말랑말랑 부드러운 플라스틱이 되도록 여러 화학물질이 첨가됩니다. 이렇게 플라스틱에 사용되는 물질은 신경독성물질, 발암물질, 환경호르몬 등이 있습니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점차 밝혀지는 미세 플라스틱의 건강영향을 짐작할 수 있는 연구이며, 인체 내 영향을 보여주는 결과라 치명적으로 느껴지네요!

우리가 할 일은! 개인적으로, 각 국가 수준에서, 글로벌 수준에서 플라스틱 생산량과 사용량 줄이기!

결론은 이미 알고 계시죠? 플라스틱을 재활용해서 문제를 해결하겠다? 아닙니다. 플라스틱은 생산부터 소비,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생태계와 인간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생산부터 줄여야 하며, 필수적인 사용이 아닌 일회용 플라스틱은 지금 당장!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이미 우리에게는 병 재사용, 리필 시스템이 있습니다. 큰 돈 들지도 않고 엄청난 기술이 있어야 하는 것도 아니랍니다. 해결책은 오래된 미래처럼 우리가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것들입니다.

  • 플라스틱 오염은 환경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생태계와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다. 특히 어린이와 저소득 국가의 인구 등 가장 취약한 계층에 가장 나쁜 영향을 주는 사회적 정의의 문제다.
  • 플라스틱 오염 문제 해결책은 강력한 국제 플라스틱 협약을 통해 플라스틱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생산량은 2배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재활용 등의 잘못된 해결책에 의지해서는 플라스틱 오염을 끝낼 수 없다.
  • 국제 플라스틱 협약은 플라스틱에 첨가되는 유해화학물질을 규제해야 한다. 화학물질 규제 강화, 시장 출시 전 유해성 테스트 의무화, 정보 투명성 강화 등이 필요하다.
  • 모든 플라스틱 제품에 생산자재활용책임제도 (EPR)이 적용되어야 한다.
  • 플라스틱 유해물질와 폐기물과 관련된 기존 국제 협약들 (바젤협약, 스톡홀름 협약, 런던 협약)이 강화되어야 한다.
  • 산업계 입김으로부터 독립적인 과학자 자문 위원회의 활동이 보장되어야 한다.

전 세계적 수준의 규제도 필요하지만, 한 국가 수준이나 지역 수준의 규제도 중요합니다. 현재 뉴욕 주 법안으로 “포장 감량 및 재활용 인프라 구축법” 올라와 있다고 합니다. 뉴욕주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웨비나 발표자들은 당신이 뉴욕에 살고 있거나 뉴욕에 사는 지인이나 가족을 알고 있다면 이 법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뉴욕주 상원의원에게 편지를 써달라고 하네요.

https://www.nysenate.gov/legislation/bills/2023/A5322/amendment/B

웨비나 보기

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팩트시트

https://www.beyondplastics.org/fact-sheets/plastics-and-human-health?link_id=7&can_id=0c39146766287c87771b74c59ae8770b&source=email-recording-of-last-nights-webinar-on-the-human-health-impacts-of-plastics-with-dr-phil-landrigan-2&email_referrer=email_2304946&email_subject=recording-of-last-nights-webinar-on-the-human-health-impacts-of-plastics-with-dr-phil-landrigan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소셜클럽

어떤 칫솔이 환경적으로 가장 나을까?

제로웨이스트 대표 아이템하면, 대나무 칫솔이나 고체치약이 딱 떠오른다. 일회용 플라스틱이나 새 플라스틱 용기를 대체하는 일상 생활용품으로서 젠더노소 누구나 사용하는 아이템. 왜 대나무 칫솔일까? 1) 플라스틱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