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화장품 플라스틱 재활용 어려움 90%, 화장품 용기 재질개선이 시급하다.

2년을 기다렸지만 화장품 용기 재활용 어려움 90%


2021년 3월 24일부터 <포장재 재질·구조 등급평가 제도>가 시행된다. 화장품 용기는 90%가 <재활용 어려움>으로 평가되어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화장품 업계는 화장품 용기 예외 적용을 통해 오명을 피하려 했지만 오히려 시민들의 더 큰 반발에 부딪쳤다. 소비자들의 부정적인 여론을 의식한 대한화장품협회는 지난 1월 27일 <2030 화장품 플라스틱 이니셔티브> 선언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재활용 어려움 제품 100% 제거(Recycle) △석유기반 플라스틱 사용 30% 감소(Reduce) △리필 활성화(Reuse) △판매한 용기의 자체회수(Reverse collect).

화장품 용기는 성분과 기능에 따라 유리, 플라스틱, 도자기, 금속 등 다양한 재질이 혼합 사용되고있어 화장품 용기의 90%는 복합재질 및 기타(OTHER)로 재질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2년 전 환경부는 포장재 재활용률 제고를 위해 <포장재 재질·구조 등급평가 제도>를 도입하였다. 하지만 화장품업계는 아무런 대책없이 2년이라는 시간을 보내고 다시 10년을 기다려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더 이상 기업의 이윤을 따라 마냥 기다릴 수 없다. 화장품 용기 재질개선이 시급하다.

PET-G는 PET가 아닌 더 나쁜 플라스틱


2018년 전세계 화장품 용기 판매 기준, 전체 용기 중 플라스틱은 4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판매량으로 치면 659억개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쏟아져 나오는 셈이다. 플라스틱 용기 문제 해결은 지금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화장품에 사용된 플라스틱 중 PET 역시 문제다. PET의 재활용률이 높을 거라는 통념과 달리 화장품 용기로 쓰이는 PET-G는 기존 페트보다 두께가 두껍고 색깔이 들어 있어 일반 페트병 재활용을 방해한다. PET-G 또한 PET로 표기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서는 구별이 어려우며 용기 자체에 라벨이 인쇄되어 있는 경우 일반쓰레기로 분류되기 때문에 화장품 용기의 재활용률은 더욱 낮아진다. 화장품 중 샴푸, 린스, 바디워시 등 바디제품의 경우 기초화장품이나 색조화장품보다 부피도 크고 재질 단일화가 쉬워 더 빠른 재질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도 현재 더 좋은 제품처럼 보이기 위해 재활용이 되지 않는 PET-G 용기를 사용한다.

바이오 원료는 해결책이 아니다


또한 바이오 원료를 이용한 생분해 플라스틱 용기 역시 플라스틱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현재 국내 쓰레기 처리 방식은 소각이 대부분이라 생분해 플라스틱 처리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지 않다. 생분해 플라스틱 처리 인프라를 갖추지 않는 한 생분해 플라스틱은 결코 대안이 될 수 없다. 이미 화장품 기업 중 일부 친환경 브랜드는 재활용되기 쉬운 단일재질 용기를 사용하고 펌프에서 금속 스프링을 제거하는 등 다양한 대안을 시행하고 있다. 화장품 업계는 이러한 사례를 참고해 재활용이 가능한 재질로 포장재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화장품 플라스틱의 민낯, 재질개선으로 책임져야


한국의 화장품 산업은 세계 8위 규모로, ‘K-뷰티’라 할 만큼 전 세계적인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다. 화장품 시장이 성장하고 화려해진 만큼 화장품 업계가 아름다움 뒤에 감췄던 플라스틱 쓰레기의 민낯도 드러나고 있다. 화장품이 일상 필수품인 시대에 화장품 업계는 쓰레기 문제에 더 많은 책임감을 가지고 임해야 한다. 소비자는 분리배출 표시가 된 모든 화장품에 재활용 비용을 지불해왔다. 그러나 화장품 업계는 아무리 분리배출을 열심히 해도 애초에 재활용되지 않는 제품을 생산해왔다. 화장품 용기의 재질을 바꾸지 않는 한 답이 없다. 그동안 생산된 수많은 화장품 제품의 90%가 이미 재활용되지 못한채 버려졌다. 화장품 기업들은 지금 당장 재질 개선을 시작하라.

*문의: 녹색연합 허승은 (070-7438-8537, plusa213@greenkorea.org

2021년 2월 15일

녹색미래,녹색연합,인천녹색연합, 여성환경연대, 알맹상점, 네이버카페 제로웨이스트홈,매거진쓸

#화장품어택 #화장품용기재활용 #재사용 #기업이책임져라 #예쁜쓰레기 #재활용등급제 #야너두해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자료

사육제 마지막 날 여는 최규모 축제인 ‘마디그라’ 행사일, 행사다 보니 플라스틱 반짝이로 장식을 많이 한다. 이때 마디그라를 수놓는 행사의 정점은 바로 ‘던지기’! 모두들 축하하면서 풍선을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