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띠] 그린워싱에 대응할 우리의 그린가이드

빠띠에 모인 청년들이 개최한 그린워싱 알아보기 공론장에 다녀왔어요. 그린워싱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한 후 자료를 모으고 그린워싱을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을 제안하는 그린가이드를 펴냈습니다. 그린가이드는 국내 상황을 토대로 구체적으로 제안하니 꼭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소비자의 주관에 맡겨진 판단: 친환경 vs 그린워싱

https://campaigns.do/discussions/525

????범람하는 친환경 인증마크, 진짜 ‘그린’일까?

https://campaigns.do/discussions/528

????대기업들의 탄소중립 선언 속 ‘그린워싱’을 찾아보자!

https://campaigns.do/discussions/524

????그린워싱에 대응할 우리의 그린가이드????

1.결국 일쓰 : ????생분해

생분해’ 또는 ‘자연분해’되니 걱정 말라고 하나요?

생분해, 자연분해는 제품이 생분해되는 조건을 명확히 안내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해요. 생분해가 되려면 퇴비화 조건을 갖춘 땅에 매립해야 하거든요. 국내 생분해 플라스틱의 경우 일반쓰레기와 동일하게 종량제 봉투에 넣어 버리도록 되어 있어요.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절반 이상의 일반쓰레기를 불에 태워 소각한다는 사실! 매립되어야 하는 쓰레기가 소각된다면 당연히 생분해될 수 없겠죠? 소각하지 않더라도 국내에는 아직 생분해 조건을 갖춘 매립 시설이 거의 없기 때문에 내가 버린 쓰레기가 생분해될 거라 기대하기는 어려워요. 대신 오래 쓰고 여러 번 쓸 수 있는 다회용 제품을 찾아보세요!

2. ????자연의 산물인 척

자연이나 친환경을 연상케하는 단어와 함께 그 근거가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나요? 지구, 녹색, 에코, 환경보호, 숲… 이 단어들을 들었을 때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해당 물건을 구입하는 것이 친환경적이라고 연상되는 단어나 문구를 발견한다면 구체적인 근거와 함께 적혀 있는지 확인해 봐야 해요. 탄소 감축과 자원순환을 위해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말이죠.

제로웨이스트’, ‘지속가능한’의 용어를 의미에 맞게 쓰고 있는지도 근거를 자세히 살펴보아야 합니다.????????

♻️ 3.정말 재활용하나요?

용기 수거 방법 등 자원순환 방법과 과정을 명시하고 있나요?

단순히 재활용 소재를 활용한다고 해서 자원순환을 잘 하고 있다고 볼 수는 없어요. 사용한 용기를 어떻게 수거하고 어떠한 방법으로 순환시키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단순히 분리배출로 인한 자원순환이 가능하다고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에서 적극적으로 시스템을 마련하고 알리는 것이 필요해요.

환경을 위한 수익금 기부 활동을 하고 있으니 친환경적인 제품이라고 하나요? ????????

4. 껍데기만 친환경????????

제품의 패키지(단상자, 포장비닐 등) 또는 택배 상자’만’ 친환경인가요?

친환경 완충재가 너무 많이 들어있나요?

리필 세트라는 이유만으로 친환경임을 강조하고 있나요?

5. 묻지마 친환경 인증마크 ????

인증마크처럼 보이는 그림에 대한 설명이 없거나, 친환경 활동과 관련해 수상 내역을 크게 광고하고 있나요? 국내 환경부 인증 마크가 가장 믿을 수 있는 친환경 마크입니다. 내가 만들고 내가 인증하는 마크(a.k.a. 내만내인 마크)와 수상내역을 조심하세요!

UN SDGs 협회처럼 UN과 무관한 사기업 또는 자사에서 만든 기준에 부합해 인증마크를 받거나 수상한 내역은 아닌지 잘 확인해 봐야 합니다. 사실 민간기업에서 만드는 마크와 수상들은 친환경과는 거리가 먼 기준들일지도 몰라요!

6. 지구와 동물은 다르니까 ????????????

비건’제품이라, 혹은 동물실험을 하지 않아서 친환경이라는 표현이 적혀있나요? 식품 외 일반 제품군에서 비건 또는 동물 실험을 하지 않는다고 홍보하는 것은 유의해서 봐야 해요. 친환경
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지 않다면 탄소 저감 등 친환경을 위한 활동이라고 볼 수는 없거든요. 동물에게는 좋지만 지구에게는 여전히 좋지 않은 소재를 썼다면 그린워싱일 수 있습니다!

식물유래, 자연유래 소재를 활용해 친환경이라고 말하고 있나요?

인체에 순하고 무해하다는 내용과 함께 환경에 대한 내용도 적혀있나요?

7. 그래도 플라스틱 ????????

산화 생분해 플라스틱을 사용했나요? 산화 생분해 플라스틱은 전혀 친환경적이지 않아요. 일반 ‘생분해 플라스틱’이 땅 속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플라스틱이라면, ‘산화 생분해 플라스틱’은 촉매제를 넣어서 햇빛과 자외선으로도 분해될 수 있게 만든 플라스틱이에요. 그런데, 산화 생분해 플라스틱은 일반 생분해 플라스틱과는 달리, 완전히 분해되는게 아니라 미세 플라스틱으로 남게 돼요.????????

바이오PET, 바이오HDPE, 바이오PP 등 바이오플라스틱을 사용했나요? 바이오 플라스틱은 식물이나 미생물같은 생물자원을 활용해 만든 플라스틱을 의미해요. 일반 플라스틱에 비해 제조와 소각과정에서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하지만 주의할 점이 있어요. 친환 경성을 개선한 바이오PET, 바이오HDPE, 바이오PP는 바이오 플라스틱 중 20~25%에 불과하고 나머지 는 일반 플라스틱입니다.????????

????그린팁

가이드에는 PCR 플라스틱, ESG 경영 같은 핫한 이슈도 포함하고 있답니다. PCR 플라스틱의 그린팁을 볼까요?

????폐플라스틱, 재활용/재생 플라스틱(PCR)은 플라스틱 문제의 만능 열쇠일까?


이미 한 번 사용된 후 분리배출된 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제작된 폐플라스틱, 재활용 플라스틱 제품의 경우 새로운 플라스틱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건 사실이에요. 하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플라스틱이 재활용되는 비율이 낮아 재생 원료를 수입해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한국의 플라스틱 사용을 줄였다고 보기도 어렵고, 수입 과정에서의 탄소 배출까지 고려한다면 환경에 도움되는 정도는 미미해요. 이렇듯 상황이 복잡하다보니 재활용 플라스틱이 좋은 건지 나쁜 건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은데요.

좋은 해결책이 있습니다. 플라스틱 사용량 자체를 최소화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 유리, 고철, 종이 등을 활용하여 플라스틱 자체를 대체한 제품을 선택한다면 고민도 줄고 환경에도 가장 좋답니다!

그린워싱이 아닌 좋은 예

가이드북 부록에 나와 있으니 끝까지 참고해보세요.

그린워싱에 대응하는 그린가이드 보고서

https://drive.google.com/file/d/1-AzNBglP2Q4aAMj0qAioQXfy8_jpVAyk/view?usp=drivesdk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