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옷은 우리를 병들게 하는가?

패스트 패션은 더이상 패션이 아니다.

(FAST FASHION IS OUT OF FASHION)

이 보고서를 여는 플라스틱수프재단의 이사 Maria가 한 말입니다.

옷장을 열어도 입을 옷이 없다고 생각이 들면 인터넷을 통해 혹은 직접 매장에 방문해 옷을 사는 것이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 되었습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만큼 유행도 빠르게 바뀌는데요, 이 ‘패션’이 우리를 병들게 하고 있다면 지금처럼 새로운 옷을 흔쾌히 구매할 수 있을까요?

이 보고서는 패스트 패션와 합성 섬유의 미세 플라스틱 문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얼마나 많은 미세 플라스틱 섬유가 우리를 위협하고 있을까요?

투명 공백

옷은 우리를 병들게 하는가?

Plastic Soup Foundation; 2022

투명 공백

패션 산업은 세계의 가장 큰 오염원 중 하나입니다. 수질 오염, 독성 화학물질 및 온실 가스 배출, 토양 오염, 열대 우림 파괴 같은 엄청난 환경적 영향을 미치고 있죠. 패션 브랜드에서 제조한 의류의 약 70%와 실내 장식(소파, 커튼, 카펫 등)의 대부분은 합성 소재(폴리에스터, 나일론, 아크릴)로 만들어집니다. 이런 제품을 제조, 사용, 세탁할 때 미세 플라스틱 섬유가 공기 중으로 방출되고, 우리가 마시고 먹는 물과 음식에도 가라앉게 됩니다.

자, 그럼 우리는 의문을 제기해 봅니다. 미세 플라스틱 섬유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요.

패스트 패션은 우리를 아프게 할까요?

패션 산업은 생산하는 옷에서 떨어져 나오는 미세 플라스틱 섬유의 양을 줄이기 위해 긴급하고 과감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와 동시에 미세 플라스틱 섬유로부터의 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광범위하고 구속력 있는 정책도 필수적으로 시행되어야 합니다. 패션 브랜드가 전 세계적인 플라스틱 오염에 일조한 것에 책임지기 위해서라면 말이죠.

우리의 옷은 우리를 아프게 할까요? 일상에서 노출되는 미세 플라스틱 섬유를 피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오염의 발생 원인인 미세 플라스틱을 환경에서 제거하는 것 또한 불가능한 일이죠. 그래서 미세 플라스틱 섬유의 배출을 줄이기 위해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가 필수적입니다. 지금 당장 변화해야 합니다!

서론

전 세계 의류 소재의 2/3 이상이 폴리에스터, 아크릴, 나일론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화석 연료를 사용해 플라스틱 문제와 기후위기를 동시에 발생시키죠. (2020년 기준 5,970만 톤의 순수 화석 기반 섬유 필요)1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소재는 폴리에스터입니다. 생산량이 5,700만 톤인 폴리에스터는 2020년 세계 섬유 시장의 52%를 차지했어요. 2030년까지 전 세계 섬유 수요는 연간 1억 3,500만 톤! 이 중 75% 이상이 합성 소재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엘렌 맥아더 재단에 따르면, 2000년, 500억 벌의 새 의류가 만들어졌는데 약 20년 후에는 그 수치가 두 배로 늘어났다고 합니다. 매년 전 세계적으로 1,000억 벌의 의류가 생산되죠. 이는 지구상 모든 사람에게 14벌씩 주어진다는 거예요. 소비자들은 매년 60% 더 많은 의류를 구매했지만 15년 전에 비해 그 절반만 사용합니다.

패션 산업은 생산 공정부터 중고, 미사용 의류의 폐기에 이르기까지 엄청난 환경발자국을 남깁니다. 의류를 제조하는 과정에는 상당한 양의 에너지, 자원이 필요하고 식수를 오염시키는 독성 염료/기타 화학 물질을 사용하며, 화석 연료로 만든 합성 소재가 필요하죠. 저렴한 의류의 생산 증가는 의류의 품질 저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는 필요했던 양보다 더 많은 의류를 구매하게 되었고, 저렴한 의류는 품질이 좋지 않아 자주 교체해야 하죠. 유행 상품을 생산하고 소비자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효율적이고 가속화된 공급망을 만드는 것에 중점을 둔 비즈니스 전략인 패스트 패션은 환경발자국을 증가시켰습니다. 패스트 패션은 세계 탄소배출량의 1/10을 발생시킬뿐더러 미세 플라스틱 섬유를 방출합니다. 또한 인권 문제강제 노동 문제와도 연관되어 있어요.

매년 900만 톤의 플라스틱이 바다로 유입되는데 그중 80%는 해안과 강에서 발생합니다. 방출된 플라스틱은 더 작은 입자, 즉 5mm 미만의 크기 또는 0.1μm 미만의 더 작은 조각(나노 플라스틱)으로 파편화됩니다. 각각의 환경에서 마모되고 생성된 나노 플라스틱의 특성은 섭취, 흡입, 흡수 가능성이 높을 때 미세 플라스틱이 인간과 환경에 초래할 수 있는 다양한 잠재적 위험에 원인이 됩니다. 인간의 건강 문제가 해양 환경오염 문제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이죠.

21세기 초부터 나노 플라스틱이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에게 건강 위험을 초래한다는 과학적 증거가 엄청나게 증가했습니다. 미세 플라스틱 문제는 엄청난 화제를 모았고, 전 세계적으로 이 문제에 대해 인식하고 있죠. 플라스틱 생산의 폭발적인 성장, 일상생활에서의 플라스틱 사용 중독은 미세 플라스틱에 대한 노출을 엄청나게 증가시켰습니다. 이제 우리는 매일 어디서나 플라스틱을 먹고, 마시고, 숨 쉬고 있어요.

미세 플라스틱 섬유도 여러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미세 플라스틱 입자 중 하나일 뿐이죠. 여러분은 이 보고서를 통해 합성 섬유 노출과 인간의 건강 위험에 관련된 현재의 과학적 지식, 미세 플라스틱 섬유로 발생되는 위험의 노출을 줄이기 위해 산업계와 정책 입안자들이 해야 할 일에 대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p. 7

섬유

미세 플라스틱 섬유는 자연 환경에서 발견되는 모든 미세 플라스틱 중 도시&인간 생활 반경에서 멀리떨어진 지역에서 가장 흔히 검출되는 유형입니다. 알프스의 정상에 있는 눈과 북극의 얼음에서도 합성 섬유가 발견되었고, 오스트리아 알프스의 눈 샘플에서 유일하게 나노 미터 범위에서 발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는 공기 중 가장 지배적인 미세 플라스틱이 폴리에스테르 섬유라는 것을 보여줍니다.2

2011년, 전 세계 18개 지역(호주, 일본, 아라비아 반도, 아프리카, 유럽, 북미, 남미)에서 해안 퇴적물 샘플을 수집하고, 하수 처리 시설에서 나오는 물과 세탁기 폐수를 샘플링하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퇴적물 샘플에서의 합성 섬유 중 85%가 폴리에스터, 아크릴, 나일론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이는 하수 처리 시설의 샘플과 유사했어요. 이를 통해 해안 퇴적물에서 발견된 미세 플라스틱 섬유가 주로 세탁을 통해 하수에서 유래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3 연구원들은 가정용 세탁기의 폐수 샘플을 분석해 한 벌의 의류가 세탁 1회당 1,900개 이생의 미세 섬유를 발생시킴을 입증했습니다. 다양한 유형의 직물은 서로 다른 양의 미세 섬유를 발생시키고, 물의 온도·세제 사용·분당 회전 수가 높을 수록 더 많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4 또한 드럼 세탁기보다 통돌이 세탁기가 약 7배 더 많은 미세 섬유를 발생시킨다고 합니다.5

섬유 그리고 우리

미세 플라스틱, 특히 합성 섬유가 이곳 저곳에 존재함에 따라 인간은 어디에서나 미세 플라스틱 입자에 노출되고 있으며 우리는 매일 플라스틱을 먹고 마시고 호흡하고 있습니다. 꿀, 설탕, 소금, 맥주, 우유, 생수, 굴, 홍합, 조개, 생선 등에도 미세 플라스틱이 포함되어 있죠.

공기를 통한 미세 플라스틱 흡입 가능성은 음식 섭취를 통한 것보다 상당히 높아요. 오염된 대기의 파리와 런던의 공기에서 합성 섬유가 발견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죠. 공기 중 미세 플라스틱의 가장 핵심적인 공급원으로 합성 섬유가 꼽히고 있으며, 실내 공기 중 나노 플라스틱 농도는 실외보다 더 높습니다.

아주 작은 합성 섬유는 폐 깊숙이 침투할 수 있습니다. 셀룰로오스, 미세 플라스틱 섬유는 모두 다양한 유형의 폐암 환자로부터 채취한 폐 조직에서 발견되었죠. 이러한 질병 환자의 폐 조직을 현미경으로 연구한 결과 표본의 97%에서 섬유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섬유의 길이는 평균 50μm였지만 때로는 250μm보다 길었죠.6

미국과 캐나다의 나일론 플록 공장 노동자의 4%가 장기간 합성 섬유에 노출된 후 폐 질환(기침, 호흡곤란, 간질성 폐 질환)에 걸렸습니다.7 인체로 유입된 합성 섬유는 기침 등의 방법으로 폐에서 완전히 제거될 수 없으며 지속되면 급성 혹은 만성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6세 미만의 어린이는 성인보다 3배 많은 미세 플라스틱을 흡입합니다.8 어린아이가 발달 행동의 일부로 자연스럽게 손을 입으로 가져가는 활동이 더 많고, 바닥을 기어다니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합성 섬유를 포함한 미세 플라스틱 입자에 노출될 위험이 더 높은 것입니다. 그러나 어린이의 신체는 완전히 발달되지 않았기에 위험에 대한 부작용에 가장 많이 노출되죠. 신생아와 1세 영아는 성인에 비해 체내 PET 입자 농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9 젖병, 장난감과 같은 플라스틱 제품을 광범위하게 사용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권고 사항

패스트 패션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패션 트랜드와 더불어 낮은 품질의 제품을 갖추었습니다. 플라스틱 원사는 점점 더 짧아지는 수명을 가진 의류를 만드는 데 이상적인 소재이죠. 그 결과 미세 섬유의 배출과 의류 생산과 소비 후 폐기물의 양은 막대해졌습니다. 패션 산업은 세계에서 가장 오염이 심한 부문 중 하나가 되었고요.

관련 정책은 주로 초기 단계, 즉 생산 감소, 더 나은 디자인, 제조 기술 등에 초점을 맞춰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예방을 우선시할 때 모든 단계에서 미세 플라스틱 섬유를 줄이는 가장 큰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죠.

(편집자 주 : 보고서는 유럽 위원회에 대한 권장 사항을 작성했지만, 모든 정책적인 권장 사항으로써도 적합하다고 생각해 유럽 위원회 관련 내용을 주로 다루지 않겠습니다.)

정책 입안자들에게 전하는 권고 사항

  1. 미세 플라스틱 섬유가 환경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짐을 인정하고, 예방 원칙을 완전히 준수하기 위한 법적으로 구속력 있는 조치를 취할 것
  2. 신재 플라스틱에 세금을 부과하는 등으로 생산되는 합성 섬유의 양을 줄일 것
  3. 섬유 및 관련 제조 기술에 대한 최소 설계 요구 사항을 설정, 미세 플라스틱 배출에 대한 법적으로 구속력 있는 최대 임계값을 설정할 것
  4. 의무적으로 미세 플라스틱 정보 라벨을 포함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것
  5. 제조 단계 전체에서 섬유의 산업용 사전 세척 및 폐수 여과를 의무화할 것
  6. 가정용, 산업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의 도임을 법률화할 것
  7. 의류 및 신발 제품의 환경발자국 평가에 미세 플라스틱 배출도 포함할 것

패션 산업을 위한 권고 사항

  1. 패스트 패션 비즈니스 모델에서 벗어날 것
  2. 미세 플라스틱 방출을 방지하기 위한 목표를 자체적으로 할달할 것
  3. 수리, 재활용을 위해 설계된 의류를 만들고 폐기물의 발생을 최대한 줄여 섬유 제품에 대한 전적인 책임을 질 것
  4. 의류의 미세 플라스틱 방출 위험에 대한 투명한 정보를 제공할 것
  5. 패션 산업계에서 미세 플라스틱 방출, 폐기물 감소, 투명성에 대한 진보적인 입법 과정에 공개적으로 지원할 것

결론

옷은 우리를 병들게 할까요?

솔직히 말해서 우리는 아직 확신할 수 없습니다만, 과학적 증거가 늘어나고 있고 공기 중의 미세 플라스틱 섬유는 잠재적인 건강 위험을 가지고 있어요. 우리는 매일 공기 중의 미세 플라스틱 입자에 노출되어 이를 흡입하고 있으며, 바다나 육지에서 자란 음식을 먹으면서 섭취하기도 하죠. 특히 어린이는 미세 플라스틱의 부작용에 가장 취약해 주의해야 합니다.

자연 환경 내 미세 플라스틱 섬유의 수가 증가하며 인간이 노출되는 빈도와 양이 함께 증가함에 따라 플라스틱 입자가 몸 속에 축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인간의 자연적인 생물학적 시스템은 배설, 기침 등을 통해 입자를 배출할 수 있지만, 이러한 제거 과정으로 우리가 섭취한 독성 입자의 전부를 제거할 수 있을지는 불분명합니다. 플라스틱 섬유의 생산과 폐기물 관리를 전면적으로 점검하기 위한 진지한 시도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공기 중 미세 플라스틱의 양은 계속해서 늘어날 것입니다.

의심할 여지 없이 옷에서 배출되는 플라스틱은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며 환경(물, 공기, 토양)의 미세 플라스틱과 나노 플라스틱의 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미세 섬유를 피할 수 없어요. 그렇기 때문에 근본적인 원인(생산, 제조 등)에서부터 필수적으로 미세 플라스틱 섬유의 발생을 줄이기 위한 완화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보고서 원문

https://www.plasticsoupfoundation.org/wp-content/uploads/2022/10/Do-clothes-make-us-sick-Fashion-fibers-and-human-health-PSF2022.pdf

관련 문헌

  1. Textile exchange, 2021. Preferred Fiber & Materials. Market Report 2021. ↩︎
  2. Materić, D., A. Kasper-Giebl, D. Kau, M. Anten, M. Greilinger, E. Ludewig, E. van Sebille, T. Röckmann, and R. Holzinger, 2020. Micro- and Nanoplastics in Alpine Snow: A New Method for Chemical Identification and (Semi)Quantification in the Nanogram Range.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54(4): p. 2353. ↩︎
  3. Browne, M.A., P. Crump, S.J. Niven, E. Teuten, A. Tonkin, T. Galloway, and R. Thompson, 2011. Accumulation of Microplastic on Shorelines Woldwide: Sources and Sink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5(21): p. 9175. ↩︎
  4. Zambrano, M.C., J.J. Pawlak, J. Daystar, M. Ankeny,
    J.J. Cheng, and R.A. Venditti, 2019. Microfibers generated from the laundering of cotton, rayon and polyester based fabrics and their aquatic biodegradation. Marine Pollution Bulletin. 142(November 2018): p. 394. ↩︎
  5. Hartline, N.L., N.J. Bruce, S.N. Karba, E.O. Ruff, S.U. Sonar, and P.A. Holden, 2016. Microfiber Masses Recovered from Conventional Machine Washing of New or Aged Garment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50(21): p. 11532. ↩︎
  6. Pauly, J.L., S.J. Stegmeier, H.A. Allaart, R.T. Cheney, P.J. Zhang, A.G. Mayer, and R.J. Streck, 1998. Inhaled cellulosic and plastic fibers found in human lung tissue.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and Prevention.
    7(5): p. 419. ↩︎
  7. Eschenbacher, W.L., K. Kreiss, M.D. Lougheed, G.S. Pransky, B. Day, and R.M. Castellan, 1999. Nylon flock- associated interstitial lung disease.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59(6): p. 2003. ↩︎
  8. Soltani, N.S., M.P. Taylor, and S.P. Wilson, 2021. Quantification and exposure assessment of microplastics in Australian indoor house dust. Environmental Pollution. 283: p. 117064. ↩︎
  9. Zhang, J., L. Wang, L. Trasande, and K. Kannan, 2021. Occurrenc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carbonate Microplastics in Infant and Adult Fece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Letters. ↩︎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