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 일회용품 금지 장례식장, 쓰레기 80% 줄었다

Jtbc에서 일회용품을 금지한 서울의료원을 취재한 결과, 무려 쓰레기의 80%가 감소했다고 합니다! 게다가 상주가 부담하는 비용도 일회용품 구입 비용과 큰 차이가 없었고, 세척 서비스 업체에서 관리하므로 설거지를 직접 할 필요도 없고요. 도대체 왜 장례식장처럼 붙박이 장소에 일회용품 금지를 하지 않는 것일까요? 아, 그것이 궁금하다 궁금해… 이렇게 효과적이고 쉽고 가능한 대안이 현현해 있는데도 쓰레기 못 만들어 안달 난 것도 아니고요. 흐미 ㅠ

기사 인용

서울의료원에 따르면 코로나19 전인 지난 2019년 장례식장에서 배출된 쓰레기봉투(100리터 종량제봉투 기준)는 한 달 평균 836개였습니다. 빈소 당 평균 6.4개를 사용했죠.

올해 상반기(1~6월)에도 월평균 780개(빈소 당 평균 6.3개)의 쓰레기봉투가 버려졌습니다.

반면 다회용기를 쓰기 시작한 뒤 지난 7월 한 달 동안 버려진 쓰레기봉투는 136개. 빈소 당 1.3개를 사용했습니다.

다회용기를 사용한 뒤 쓰레기 배출량이 약 80% 줄어든 셈입니다.

음식물이 묻은 일회용 쓰레기가 사라지자 장례식장 환경도 더 쾌적해졌습니다.

전체 기사 보기 (Jtbc 이지현 기자, 2023년 8월 6일)

https://mnews.jtbc.co.kr/News/Article.aspx?news_id=NB12138348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소셜클럽

어떤 칫솔이 환경적으로 가장 나을까?

제로웨이스트 대표 아이템하면, 대나무 칫솔이나 고체치약이 딱 떠오른다. 일회용 플라스틱이나 새 플라스틱 용기를 대체하는 일상 생활용품으로서 젠더노소 누구나 사용하는 아이템. 왜 대나무 칫솔일까? 1) 플라스틱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