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제로웨이스트, 부엌으로 들어가다

[쓰레기로드] 한겨레 2021. 8. 3 구둘래 기자

‘제로웨이스트 키친-회복되는 부엌’
2주 참가기.. 냉장고에 넣고 우리가 잊은 것, 우리가 쓰레기봉투에 넣고 잊은 것

이 기사를 보니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와 냉장고 안 쓰기 프로젝트를 같이 하고 싶어서 근질근질해졌다!!! 언제 하지 언제하지? 하고 싶은 일은 많고 시간은 없는 시간 빈곤자라서 슬프네.

출처: 한겨레신문

2021년 7월11일 일요일 저녁, 첫 줌 회의 첫 만남

2010년의 독일 다큐멘터리 <테이스트 더 웨이스트>, 농부가 “농사를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슈퍼마켓 실무진)들이 와서 나에게 크기는 이래야 한다, 색깔은 이래야 한다고 가르친다”며 화낸다. 다큐멘터리는 멀쩡한데도 규격에 맞지 않는다고, 유통기한이 지났다고 버려지는 먹거리 실태를 고발한다. 이탈리아에서 활동하는 아티스트 류지현씨(당시 네덜란드 거주)도 보인다. 그는 다큐멘터리에서 부엌 곳곳에 보관해놓은 달걀, 사과, 감자, 당근 등을 보여준다. 사과와 감자는 같이 보관하면 사과가 감자 싹이 돋는 것을 방지한다. 그의 부엌이 특별한 것은 냉장고를 맹신하지 않아서다. “냉장고에다 음식을 넣으면 눈에 보이지 않으니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신경 쓰지 않게 된다.” 그의 프로젝트 이름은 ‘냉장고로부터 음식을 구하라’.

그의 첫 저서 <사람의 부엌>(2017)의 부제는 ‘냉장고 없는 부엌을 찾아서’이다. 사바나, 안데스, 쿠바, 이탈리아 등 전통 부엌을 찾아다녔다. 2021년 6월 말 그의 두 번째 책 <제로웨이스트 키친>(테이스트북스 펴냄)이 출판됐다. 철학을 실천하는 레시피가 함께하는 실용서이다. 출판을 계기로 ‘밑미’(생활 변화를 목표로 하는 플랫폼 https://nicetomeetme.kr)를 통해 ‘제로웨이스트×기록’ 미션 실천팀이 꾸려졌다. 제로웨이스트 매장인 피커 송경호 대표가 리추얼 메이커(활동에 도움말을 주는 이)로 참여했다. 나를 포함한 18명이 2주간 리추얼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줌(인터넷 화상회의 플랫폼) 만남을 가졌다. 첫 번째 주(7월12~18일)에 자신의 식재료 보관법을 검토해보고 두 번째 주(19~25일)에 보관법과 장기 음식 보관 레시피 등을 실행해보는 일정이다.

전체 기사 보기

https://news.v.daum.net/v/20210803111806120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보고서

[한겨레신문] 버린 옷에 추적기를 달았다

[한겨레신문] 버린 옷에 추적기를 달았다 다 아는 내용이라도 형식이 달라지면, 데이터와 팩트가 근거하면 이렇게 충격적인 사실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새 옷이 사고 싶을 때마다, 헌

자료

[슬슬라잎] 화장품 리필스테이션 확대를 위해 필요한 것은

슬슬라잎의 화장품 리필스테이션 확대를 위해 제도적, 사회적 개선사항을 잘 짚은 글. 화장품 리필 스테이션, 대체 뭔일?  리필스테이션의 과거 한때,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4년전쯤, 야심차게 출발했던 화장품 리필스테이션들- 제로웨이스트 활동의 일환으로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