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20개 기업이 세계 플라스틱 폐기물의 55 %를 생산한다

플라스틱 사용을 조금씩 변화시키는 플라스틱 빨대어택, 스팸어택, 브리타 어택, 홈런볼 어택 등의 작은 승리는 우리에게 힘을 준다. 시민들의 활동이 모여 기존의 일회용 플라스틱 소비를 조금이라도 변화시켰다는, 반짝이는 희망 같은 거.

그러나 사실상 우리는 거대 석유화학기업에 날마다 ‘지는 싸움’을 하고 있다. 나는 잘 지고 잘 져서 결국 이기는 싸움이 되기를 바란다. 왜냐면 플라스틱의 기반인 석유화학산업의 전환을 이루지 못 하는 한, 인류는 기후위기에서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이다. 져서는 안 되는 싸움이지만 돈을 벌어 먹고 사는 경제활동이 석유화학산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쉽지 않다. 거대 석유화학기업은 플라스틱 프리 운동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신규 플라스틱 플랜트 공장 건설에 나서고 있다.

가디언지 최신 뉴스가 플라스틱과 석유화학산업의 고리, 그리고 거대 기업의 책임을 다뤘다.

20개 기업이 전 세계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의 절반 이상을 생산하여 기후위기를 불러 일으키고 환경 재앙을 일으킨다. 플라스틱 폐기물 지수(plastic waste maker index)는 포괄적 데이터를 분석해 전 세계 플라스틱 포장 폐기물의 55 %를 차지하는 석유화학기업을 발표했다.

전 세계 플라스틱 폐기물 생산 탑 20개 석유화학기업

일회용 플라스틱의 상위 20 개 생산 업체는 플라스틱의 기초 재료인 폴리머부터 일회용 마스크와 병 등의 소비재를 생산한다. 그리고 이들이 만드는 일회용 플라스틱은 강과 바다를 오염시키고 온실가스 배출로 기후위기를 일으킨다. 1위 기업은 거대 석유화학기업인 엑슨모빌이다.

  1. 엑슨모빌 5.9 % 
  2. 다우 5.6 %
  3. 시노펙 5.3 %
  4. Indorama Ventures 4.6 %
  5. 사우디 아람코 4.3 %
  6. 페트로 차이나 4 %
  7. 리옹 델 바젤 3.9 %
  8. 신뢰 산업 3.1 %
  9. 브라 스켐 3 %
  10. Alpek SA de CV 2.3 %
  11. 보리 얼리스 2.2 %
  12. 롯데 케미칼 2.1 %
  13. 이네 오스 2 %
  14. Total 1.9 %
  15. 강소 해륜 석유 화학 1.6 %
  16. 극동 신세기 1.6 %
  17. 포모사 플라스틱 주식회사 1.6 %
  18. 중국 에너지 투자 그룹 1.5 %
  19. PTT 1.5 %
  20. 중국 자원 1.3 %

일인당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 호주, 미국, 한국 순

2019년 수집된 자료에 따르면 일인당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 양이 가장 많은 나라는 호주로 약 59kg를 버린다. 그 뒤를 미국 53kg과 한국 44kg이 따른다.

20개 기업 중 11개 기업은 아시아, 4개는 유럽, 3개는 북미, 1개는 라틴 아메리카, 1개는 중동에 위치한다. 바클리즈, HSBC, 뱅크오브아메리카, 시티그룹, 제이피모건체이스와 같은 주요 은행에서 이 기업들의 플라스틱 생산에 투자한다.

글로벌 상위 20대 기업의 막대한 플라스틱 폐기물 발자국은 2019년에 버려진 일회용 플라스틱 중 절반 이상에 이른다. 일회용 플라스틱은 대부분 화석연료로 만들어져 기후위기를 유발하며 재활용하기 가장 어려운 품목에 속한다. 일회용 플라스틱의 10~15%만이 매년 전 세계적으로 재활용된다.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는 앞으로 더 확대될 것이다. 향후 5년 동안 일회용 플라스틱의 원료인 순수 폴리머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 역량은 30% 이상 증가하기 때문이다. 전 세계 플라스틱 산업은 최소한의 규제와 제한된 투명성으로 수십 년 동안 운영될 수 있었다. 바로 이 기업들의 생산 자체가 일회용 플라스틱 위기의 원인이다. 석유, 가스 등에서 새로운 폴리머가 생산될수록 플라스틱 폐기물도 늘어난다.

이는 재활용 폴리머 생산, 플라스틱 재사용 및 대체 원료 사용 등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막는다. 2019년에는 일회용 플라스틱의 2%만이 재활용 폴리머로 만들어졌다. 또한 2050년까지 플라스틱은 온실 가스 배출량의 5~10 %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사 보기

https://www.theguardian.com/environment/2021/may/18/twenty-firms-produce-55-of-worlds-plastic-waste-report-reveals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소셜클럽

어떤 칫솔이 환경적으로 가장 나을까?

제로웨이스트 대표 아이템하면, 대나무 칫솔이나 고체치약이 딱 떠오른다. 일회용 플라스틱이나 새 플라스틱 용기를 대체하는 일상 생활용품으로서 젠더노소 누구나 사용하는 아이템. 왜 대나무 칫솔일까? 1) 플라스틱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